[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7065Y1 - 낚시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65Y1
KR200387065Y1 KR20-2005-0007968U KR20050007968U KR200387065Y1 KR 200387065 Y1 KR200387065 Y1 KR 200387065Y1 KR 20050007968 U KR20050007968 U KR 20050007968U KR 200387065 Y1 KR200387065 Y1 KR 200387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lange
fishing
eccentric shaft
widt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달
Original Assignee
문경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달 filed Critical 문경달
Priority to KR20-2005-0007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낚시장소 또는 낚시대상에 따라 낚시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구를 가지는 낚시대에 대해 개시한다.이는 제1낚시대(100)의 내부에 동심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낚시대(200)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플랜지(311)와, 제1플랜지(311)에 편심으로 형성되는 편심축(313)과, 편심축(3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플랜지(311)에 대향되는 제2플랜지(312)와, 제1,2플랜지 및 편심축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스토퍼(314)를 구비하는 고정블럭(310)과; 그 몸체의 편심된 위치에 편심공(323)이 형성되어 편심축(3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스토퍼(314)에 걸리는 제1,2걸림턱(321)(322)이 형성된 회전블럭(320);을 구비하여서, 제1,2낚시대를 상대 회전시킬때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낚시대 조립체는 편심축 및 스토퍼를 가지는 고정블럭과, 편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제1,2낚시대를 간단하게 상대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제1,2낚시대를 상호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임의 길이로 낚시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낚시대 조립체{A fishing rod assembly}
본 고안은 길이조절구를 가지는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낚시장소 또는 낚시대상에 따라 낚시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구를 가지는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시대는 그 사용장소와 목적에 따라 단절(30~40㎝)과, 중절(60㎝ 전후) 및 장절(1m)등의 여러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이러한 낚시대는 그 구조상 다단 접철식으로 인출되어지고, 인출된 낚시대의 총길이는 결합된 낚시대의 수에 따라서 길이가 일정하게 제한된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낚시대를 나타낸 것으로써, 손잡이 역할을 하는 메인낚시대(10)에 서브낚시대(20)(30)(40)들이 순차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낚시대들은 통상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출된 상태에서 상호 단부 부분이 압입되어 결합되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형 낚시대들이 상호 결합단부에서 벗어나게 되면 그 압입력들이 풀리게 되므로 임의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하게 낚시바늘을 드리워서 낚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길이가 다른 다양한 길이의 낚시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입비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이들을 휴대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위해서 낚시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 낚시대들이 제안되고 있는 바, 도 2 및 도 3은 그 일예의 낚시대를 나타낸다. 이는 메인낚시대(50)의 선단에 콜릿(collet)형상의 조임부(60)를 마련하고, 서브낚시대(80)를 메인낚시대(50)의 임의 길이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커버(70)로 조임부(60)에 결합고정하여 길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길이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커버(70)를 나사조임시키고 푸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야외에서 사용되는 만큼 사용중에 조임부(60)의 나사부에 이물질이 게재되게 되므로 사용상 주의가 요구등 이용이 번거롭다.
또한, 메인낚시대를 다른 서브낚시대와는 다른 장치에 의해서 제작하여야 하므로 추가 설비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서 간편한 작동으로 낚시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길이 조절구를 가지는 낚시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일면은 직경이 다른 통형의 낚시대들이 순차적으로 동심으로 결합되는 낚시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낚시대 조립체는 제1낚시대의 내부에 동심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낚시대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편심으로 형성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에 대향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2플랜지 및 편심축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고정블럭과; 그 몸체의 편심된 위치에 편심공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제1,2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블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2낚시대를 상대 회전시킬때, 상기 회전블럭의 외주면이 상기 제1낚시대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분리된다.
또한, 본 고안 낚시대 조립체는 상기 편심축에 대하여 제1플랜지의 단폭부를 A, 장폭부를 B라 하고, 상기 편심공에 대하여 상기 회전블럭의 장폭부를 C, 단폭부를 D라 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플랜지의 장폭부(B)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회전블럭의 장폭부(C)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회전블럭의 단폭부(D)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낚시대 조립체는 상기 회전블럭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폭부(D)에 절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축의 직경보다 상기 센터공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블럭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낚시대 조립체는 제1,2낚시대를 간단하게 상대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제1,2낚시대를 상호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임의 길이로 낚시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낚시대 조립체는 낚시대를 원하는 낚시 지점에 드리운 후, 정확한 지점에 낚시 바늘이 위치할 수 있도록 낚시대의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일 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통상의 낚시대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다른 통형의 제1,2낚시대(100)(200)들이 순차적으로 동심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제1,2낚시대(100)(200)들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직경이 제1낚시대(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낚시대(200)의 단부에는 일단이 결합고정되는 고정블럭(310)과, 고정블럭(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분리되는 회전블럭(320)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310)은 제2낚시대(200)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플랜지(311)와, 상기 제1플랜지(311)에 편심으로 형성되는 편심축(313)과, 상기 편심축(3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311)에 대향되는 제2플랜지(312)와, 상기 제1플랜지(311) 및 편심축(313)에 형성되는 스토퍼(314)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플랜지(312)는 후술되는 회전블럭(3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직경 정도로 형성되며, 제1플랜지(311)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311)는 제2낚시대(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도 3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블럭(320)은 그 몸체의 편심된 위치에 편심공(323)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3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314)에 걸리는 제1,2걸림턱(321)(3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축(313)에 대하여 제1플랜지(311)의 단폭부를 A, 장폭부를 B라 하고, 상기 편심공(323)에 대하여 상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를 C, 단폭부를 D라 하면, 상기 스토퍼(314)는 상기 제1플랜지(311)의 장폭부(B)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321)은 상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턱(322)은 상기 회전블럭(320)의 단폭부(D)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1걸림턱(321)이 스토퍼(314)에 위치하게 될때 단폭부(A)(D)들이 대응 위치하게 되고, 장폭부(B)(C)들이 대응 위치하게 되어서, 제1플랜지(311)의 내측에 회전블럭(320)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제1,2낚시대(100)(2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2걸림턱(322)이 스토퍼(314)에 위치하게 될때 단폭부(A)에 장폭부(C)가 대응 위치하게 되고, 장폭부(B)에 단폭부(D)가 대응 위치하게 되어서, 제1플랜지(311)로부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 부분이 돌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어서 제1,2낚시대(100)(20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블럭(320)의 편심공(323)이 고정블럭(310)의 편심축(313)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 부분이 돌출되게 되는 경우 제1플랜지(311)로부터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제1낚시대(100)의 임의 지점에 회전블럭(32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블럭(3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폭부(D)에는 절단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축(313)의 직경보다 상기 센터공(32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블럭(320)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제1,2낚시대(100)(200)의 무리한 상대 회전에 의해서 회전블럭(320)과의 과도한 밀착으로 낚시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324)가 탄성변형을 주지 아니하고 최대 벌어진 상태에서는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최대직경 외주면에 슬립가능하게 접촉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절단부(324)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오므라진 상태)는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최소직경 외주면에 슬립가능하게 접촉되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110은 제1낚시대(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으로서 제2낚시대(200)의 이탈을 방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의 낚시대 조립체의 길이 조절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낚시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으로써, 제2낚시대(200)를 손으로 파지하여 고정시키고 제1낚시대(10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블럭(320)이 함께 편심축(3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반향으로 회전되어서 제1걸림턱(321)이 스토퍼(314)에 걸리게 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단폭부(A)(D)들이 대응 위치하게 되고, 장폭부(B)(C)들이 대응 위치하게 되어서, 제1플랜지(311)의 내측에 회전블럭(320)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제1,2낚시대(100)(2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때, 회전블럭(320)은 편심축(313)에 헐겁게 편심결합됨으로써 회전블럭(320)의 자중에 의해서 제1플랜지(3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되고, 돌출된 부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과 마찰회전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임의 위치에서 제1,2낚시대(100)(200)를 상호 고정시키는 동작으로써, 제2낚시대(200)를 손으로 파지하여 고정시키고 제1낚시대(10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블럭(320)이 함께 편심축(313)을 중심으로 시계반향으로 회전되어서 제2걸림턱(322)이 스토퍼(314)에 걸리게 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단폭부(A)에 장폭부(C)가 대응 위치하게 되고, 장폭부(B)에 단폭부(D)가 대응 위치하게 되어서, 제1플랜지(311)로부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 부분이 돌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제1낚시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어서 제1,2낚시대(100)(20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블럭(320)의 편심공(323)이 고정블럭(310)의 편심축(313)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 부분이 돌출되게 되는 경우 제1플랜지(311)로부터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되어서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제1낚시대(100)의 임의 지점에 회전블럭(32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낚시대 조립체는 편심축 및 스토퍼를 가지는 고정블럭과, 편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제1,2낚시대를 간단하게 상대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제1,2낚시대를 상호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임의 길이로 낚시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낚시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낚시대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 실시예에 채용되는 고정블럭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 실시예에 채용되는 회전블럭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낚시대 200...제2낚시대
310...고정블럭 320...회전블럭

Claims (3)

  1. 직경이 다른 통형의 낚시대들이 순차적으로 동심으로 결합되는 낚시대 조립체에 있어서,
    제1낚시대(100)의 내부에 동심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낚시대(200)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플랜지(311)와, 상기 제1플랜지(311)에 편심으로 형성되는 편심축(313)과, 상기 편심축(3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311)에 대향되는 제2플랜지(312)와, 상기 제1,2플랜지 및 편심축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스토퍼(314)를 구비하는 고정블럭(310)과;
    그 몸체의 편심된 위치에 편심공(323)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3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314)에 걸리는 제1,2걸림턱(321)(322)이 형성된 회전블럭(3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2낚시대를 상대 회전시킬때 상기 회전블럭(320)의 외주면이 상기 제1낚시대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313)에 대하여 제1플랜지(311)의 단폭부를 A, 장폭부를 B라 하고, 상기 편심공(323)에 대하여 상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를 C, 단폭부를 D라 하면,
    상기 스토퍼(314)는 상기 제1플랜지(311)의 장폭부(B)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321)은 상기 회전블럭(320)의 장폭부(C)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턱(322)은 상기 회전블럭(320)의 단폭부(D)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럭(3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폭부(D)에 절단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축(313)의 직경보다 상기 센터공(32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블럭(320)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조립체.
KR20-2005-0007968U 2005-03-24 2005-03-24 낚시대 조립체 KR200387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68U KR200387065Y1 (ko) 2005-03-24 2005-03-24 낚시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68U KR200387065Y1 (ko) 2005-03-24 2005-03-24 낚시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65Y1 true KR200387065Y1 (ko) 2005-06-20

Family

ID=4368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68U KR200387065Y1 (ko) 2005-03-24 2005-03-24 낚시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4433C2 (ru) С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воротным рычагом и оборудован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80805B1 (ko) 릴 구조
US5146813A (en) Installation and removal tool for fiber optic connectors
JPH05200136A (ja) ゴルフクラブの矯正用グリップ
US10575512B2 (en) Outrigger clamp with attachment point
US10036416B2 (en) Swivel connector assembly
KR200387065Y1 (ko) 낚시대 조립체
US4011648A (en) Bearing puller device
US6223410B1 (en) Pulling device
US5352060A (en) Attachable handle
CN110225701A (zh) 线管理工具
US11475806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otatably securing an object to a fixture
US11351406B2 (en) Anchoring stick
JP3197817U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ハンドルキャップラインストッパー、及びハンドルキャップ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JP2811040B2 (ja) 縄跳び用の跳び縄のロープの長さ調節用止め具
KR20160008437A (ko) 텐트고정용 팩
US20250017190A1 (en) Jaws assembly for a fly tying vise
KR200241487Y1 (ko) 콤파스
US20050050744A1 (en) Retractable point compass
JP3543215B2 (ja) 管継手
CN209628429U (zh) 一种鱼线收放手轮
CA1138177A (en) Clasping device with a yoke tightened by a conical screw
JP4138139B2 (ja) 釣糸係止具
JP4484786B2 (ja) 釣竿緊締具
JPH0626736Y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3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0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