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6497Y1 -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497Y1
KR200386497Y1 KR20-2005-0007137U KR20050007137U KR200386497Y1 KR 200386497 Y1 KR200386497 Y1 KR 200386497Y1 KR 20050007137 U KR20050007137 U KR 20050007137U KR 200386497 Y1 KR200386497 Y1 KR 200386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ynthetic resin
socks
sanitary socks
fol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호 filed Critical 한정호
Priority to KR20-2005-0007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테두리(50)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는 발목부(20)와 발바닥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부(30)는 상기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목부(20)와 상기 발바닥부(30)가 연결되는 발목 접힘부(24)와 발뒤꿈치 접힘부(22)에 오목부(26)와 볼록부(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발바닥부가 발목부의 중심축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게 제조됨으로써, 기존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설비(예:비닐장갑)만으로도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원단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위생 버선 외의 파지(scrap) 부분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합성수지 필름 원단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위생 버선 제조 시 파지 부분의 제거 시킬 때 완성된 위생 버선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열융착을 통해 테두리의 접합 및 절단함과 동시에 발뒤꿈치 접힘부와 발목 접힘부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여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생 버선이 접혀 주름지게 함으로써,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의 당김없이 자연스럽게 구부려지게 되어 당김에 의한 열융착된 테두리의 파손으로 물이나 오염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Disposable Sanitary Sock made from Synthetic Resin}
본 고안은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간단하고, 합성수지 필름 원단의 로스(loss)가 적으며, 특히 사용 중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위생 버선의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가 당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접혀 주름지게 되어 열융착된 테두리가 파손되지 않음으로써, 착용감이 안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이나 유독성물질 등이 외부로부터 침수되는 것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 1의 일회용 위생 버선(1)은 위생적이고, 편리하도록 발목부가 넓은 구조로 되어 있어 발을 끼고 벗기에 용이하게 되어 있지만, 사용 시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가 당겨지게 되어 파손됨으로써 발의 오염이나 착용감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고안들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6725호(공고일자 2002. 8. 24.)로 발 전체에 대해 피부 각질 제거를 위해 착용하는 위생버선에 있어서, 상기 1회용 위생 버선은 비닐지 또는 엠보싱 비닐지로 발가락부위부터 발목부위까지 발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위생버선의 끝단 개구부에 조임을 발휘할 수 있는 부재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위생버선"과,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857호(공고일자 2002. 11. 4.)로 발을 감싸는 부위와 이를 발목에 묶을 수 있는 부위가 있는 "일회용 위생비닐양말"이 공고되었으나, 이러한 고안들은 위생 버선의 착용시 흘러내려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들로서, 여전히 위생 버선의 사용 시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발뒤꿈치부분이 당겨지게 되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특히 먼저,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의 제조 공정을 고려해 보면,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 필름 원단이 롤러를 통해 안내되게 함과 동시에 이의 상부에서 상하작동하는 성형 금형에 의해 프레싱 시켜 절단 성형 및 열융착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의 도 1과 같은 고안들은 이런 통상의 제조 공정이 고려되지 않아, 통상의 합성수지 성형 가공(예컨대, 비닐 장갑) 생산 설비를 적용할 수 없고,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의 손실이 많으며, 파지(scrap)를 완성된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1)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위생 버선의 90° 굴곡 부분이 파손되기 쉬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통상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발바닥부와 발목부로 구분할 때 종래 도 1과 같은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1)은 발바닥부가 발목부의 중심축에서 90°가량의 각을 이루는 구조로 성형 금형 폭이 발바닥 길이(31)만큼 넓어야 하므로 통상 생산 설비와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이 넓어져 파지(scrap)부분이 많이 발생하여 소실되는 원단이 많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원단으로 부터 절단, 접합된 제품을 분리 시 발목부와 발바닥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파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기존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설비만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원단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 원단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고, 파지(scrap) 부분의 제거 시 완성된 위생 버선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생 버선의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가 접혀 주름지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구부려지게 되어 당김에 의해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의 접합이 파손되어 물이나 오염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에 관한 것으로 기존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설비만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원단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합성수지 필름 원단의 로스(loss)가 적으며, 특히 사용 중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위생 버선의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가 당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접혀 주름지게 하여 열융착된 테두리가 파손되지 않음으로써, 착용감이 안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이하, '위생 버선'이라 한다)은 테두리(50)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는 발목부(20)와 발바닥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부(30)는 상기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목부(20)와 상기 발바닥부(30)가 연결되는 발목 접힘부(24)와 발뒤꿈치 접힘부(22)에 오목부(26)와 볼록부(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생 버선(10)은 발바닥부(30)가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게 제조됨으로써, 통상의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라인과 원단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발바닥부(30)가 기울어진 만큼 성형 금형의 폭을 좁게 제작할 수 있어 위생 버선(10)의 성형 작업시 발생하는 위생 버선(10) 외의 파지(scrap) 부분이 적어지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고, 파지 부분의 제거 시 완성된 위생 버선(10)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위생 버선(10)은 열융착을 통해 테두리(50)의 접합 및 절단 함과 동시에 발목 접힘부(24)와 발뒤꿈치 접힘부(22)에 오목부(26)와 볼록부(28)를 형성함으로써, 추가 작업 공정없이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좋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는 위생 버선(10)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통상 합성수지 필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부직포, 면사, 종이 등에 합성수지 필름을 합지하거나 합성수지 코팅한 소재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소재는 합성수지 필름 부분을 절단, 융착하여 형성되므로 단일의 합성수지 필름 소재로만 제조하는 위생 버선(10)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위생 버선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개구부(40)를 통해 위생 버선(10)을 신을 수 있고, 테두리(50)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는 발목부(20)와 발바닥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부(30)는 상기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도 2에서는 150°로 기울어져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위생 버선(10)은 상기 발바닥부(30)가 상기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서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 금형의 폭이 넓게 형성되지 않고도 제작 가능하므로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을 사용하면서 통상의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고, 위생 버선(10)과 또 다른 위생 버선(10) 사이의 공백이 적어져 위생 버선(10) 외의 파지(scrap) 부분 발생이 적어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성형 후 절단된 위생 버선(10)을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으로 부터 분리 시에도 상기 발바닥부(30)와 상기 발목부(20)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어 파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발목부(20)와 상기 발바닥부(30)가 연결되는 발뒤꿈치 접힘부(22)와 발목 접힘부(24)에 다수의 오목부(26)와 볼록부(28)를 구비하여 이루지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목 접힘부(24)가 접혀질 경우에는 발뒤꿈치 부분과 발뒤꿈치 접힘부(22)가 당겨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발목 접힘부(24)에 구비된 상기 오목부(26)와 볼록부(28)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 주름지게 됨으로써, 발뒤꿈치 부분과 발뒤꿈치 접힘부(22)의 당김이 방지되어 열융착된 테두리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 접힘부(22)가 접혀질 경우에는 상기 발목 접힘부(24)가 당겨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발뒤꿈치 접힘부(22)에 구비된 상기 오목부(26)와 볼록부(28)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 주름지게 됨으로써, 상기 발목 접힘부(24)의 당김이 방지되어 열융착된 테두리의 파손이 방지되고,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발뒤꿈치 접힘부(22) 및 발목 접힘부(24)에 구비된 오목부(26)와 볼록부(28)는 열융착을 통해 테두리(50)의 접합 및 절단 함과 동시에 형성되어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생 버선(10)이 접혀 주름지게 함으로써, 착용이 편안하고, 당김없이 발뒤꿈치 접힘부(22) 및 발목 접힘부(24)가 자연스럽게 구부려지게 되어 당김에 의해 발뒤꿈치 접힘부(22) 및 발목 접힘부(24)의 접합이 파손되어 물이나 오염물로 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생 버선(10)을 개구부(40)를 통하여 착용 시 발목부(20)를 잡아 당기게 될 경우에는 상·하, 좌·우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도 1에 나타낸 위생 버선(10)에 비하여 폭을 더욱 좁게 하여도 발의 삽입이 가능하여 더욱 밀착감을 줄 수 있어 위생 버선(10)의 착용이 안정적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발바닥부가 발목부의 중심축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게 제조됨으로써, 기존 합성수지 성형 가공 생산 설비만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원단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위생 버선 외의 파지(scrap) 부분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합성수지 필름 원단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고, 파지 부분의 제거 시 완성된 위생 버선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은 열융착을 통해 테두리의 접합 및 절단함과 동시에 발뒤꿈치 접힘부와 발목 접힘부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여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생 버선이 접혀 주름지게 함으로써, 발뒤꿈치 접힘부 및 발목 접힘부의 당김없이 자연스럽게 구부려지게 되어 당김에 의한 열융착된 테두리의 파손으로 물이나 오염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위생 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위생 버선 20 : 발목부
22 : 발뒤꿈치 접힘부 24 : 발목 접힘부
26 : 오목부 28 : 볼록부
30 : 발바닥부 40 : 개구부
50 : 테두리 60 : 중심축
70 : 합성수지 필름 원단

Claims (3)

  1. 테두리(50)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는 발목부(20)와 발바닥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부(30)는 상기 발목부(20)의 중심축(60)에 대해 140 내지 160°의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와 상기 발바닥부(30)가 연결되는 발뒤꿈치 접힘부(22)와 발목 접힘부(24)에 오목부(26)와 볼록부(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필름 원단(70)은 부직포, 면사, 종이에 합성수지 필름을 합지하거나 합성수지 원료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KR20-2005-0007137U 2005-03-16 2005-03-16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KR200386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37U KR200386497Y1 (ko) 2005-03-16 2005-03-16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37U KR200386497Y1 (ko) 2005-03-16 2005-03-16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497Y1 true KR200386497Y1 (ko) 2005-06-13

Family

ID=4368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137U KR200386497Y1 (ko) 2005-03-16 2005-03-16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58B1 (ko) 2010-10-22 2012-11-19 정진열 덧버선 제조방법
KR101657985B1 (ko) * 2015-08-20 2016-09-20 주식회사 성도엠씨 수치료를 위한 일회용 비닐 피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58B1 (ko) 2010-10-22 2012-11-19 정진열 덧버선 제조방법
KR101657985B1 (ko) * 2015-08-20 2016-09-20 주식회사 성도엠씨 수치료를 위한 일회용 비닐 피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6616B1 (en) Disposable sanitary mask
JP2007501672A (ja) 摩擦減少装置
JP2008272253A (ja) 使い捨て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KR200386497Y1 (ko)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버선
KR200458722Y1 (ko) 절취후 개봉하여 사용하는 양 손발용 미용팩
KR101431984B1 (ko) 벗겨짐 방지용 덧신양말 및 그 제조방법
JP6347761B2 (ja) 使い捨てエプロン
JP6201103B1 (ja) 足指のための吸水性包帯
KR100871000B1 (ko) 손목 조임부가 형성된 일회용 비닐장갑 및 그 제작방법
KR20150025989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3145U (ko) 고무장갑
KR101875728B1 (ko)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599276B1 (ko) 덧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덧신
JP2008297652A (ja) ソックスカバー
JP2009100878A (ja) 吸収性物品
NL2012456B1 (en) Disposable hand cover.
JP7475653B2 (ja) フットカバー
KR200386469Y1 (ko) 손목 착용감을 안정시킨 합성수지 일회용 위생 장갑
IT202000008728A1 (it) Mascherina facciale in tessut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JP2005163201A (ja) 補強靴下
KR101879942B1 (ko) 발가락 양말
JP3072268U (ja) サイズ調整機能つき靴中敷
ITTV20030020U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le ginocchia e/o per i gomiti, particola rmente per impieghi nei cantieri edili.
JP2015048557A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3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