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5948Y1 -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 Google Patents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48Y1
KR200385948Y1 KR20-2005-0008061U KR20050008061U KR200385948Y1 KR 200385948 Y1 KR200385948 Y1 KR 200385948Y1 KR 20050008061 U KR20050008061 U KR 20050008061U KR 200385948 Y1 KR200385948 Y1 KR 200385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ceramics
buried
metal protective
protective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Priority to KR20-2005-0008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4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과 같은 바닥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매립한 다음, 그 상부에 금속 보호캡을 고정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전, 정전 및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보행자를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Fill-up Type Photoluminescent Ceramic for Direction Inducing}
본 고안은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과 같은 바닥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매립한 다음, 그 상부에 금속 보호캡을 고정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전, 정전 및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앞을 보기 어려운 보행자를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건물 복도나 공항 또는 지하철 등의 공공 시설물과 같이 사람이 많이 활동하는 공공 시설물의 내부 공간은 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감재를 이용하여 시공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이런 공간 내에서 정전이나 추락 또는 화재와 같은 여러 가지 긴급 상황에 의해 인명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의 벽면이나 바닥 등에 요철이나 비상 유도등을 이용한 방향 지시 표시부재를 설치하여 사람이나 교통수단의 진행 경로를 원활히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때, 상기 요철은 방향 표시가 없기 때문에 안전한 장소로의 진행 방향을 알기 힘들고, 상기 비상 유도등은 일반적으로 표면을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화재시에 열에 의해 수지표면의 변형이 발생하여 식별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내부 형광등이나 전장 부속품등이 파손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충분한 방향 지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현재 각 국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상시 대형 재난의 우려가 있는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해 사전에 비상 탈출 통로를 인도할 수 있는 특수 조명 시설 및 축광성 비상 안내표지를 충분히 갖출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즉, 유럽 공동체(EC) 국가들은 1994년 7월 1일부터 이미 모든 건축물에 축광 재료를 이용한 비상 탈출 경로를 갖출 것을 규정화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비상탈출 경로로서 축광 제품을 택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상기 축광이란, 햇빛 또는 전등빛 등의 빛의 자극을 받아 에너지를 흡수한 다음, 이를 가시광으로 환원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는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런 축광을 가지는 물질은 빛이 소진되면 재축광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고, 오랫동안 잔광 휘도를 낼 수 있는 축광 물질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축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 표시부재가 종래 실용신안등록 제241301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355891호 등에 개시된 바가 있다.
즉,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41301호에서는 타일의 표면에 별도의 축광 물질을 단순 도포하거나, 축광지를 부착시킨 다음, 다른 마감재와 함께 바닥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유도 타일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 경우 축광지 또는 축광 물질의 마모가 발생하여 타일 수명이 짧고, 자주 보수를 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55891호에서는 바닥재의 결합공 내부에 보호판, 축광판, 특정 모양이 천공된 방향 지시판 및 투명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적층 한 방향 지시 블록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 경우 다층 적층에 의해 바닥으로부터의 블록의 높이가 상승하여 보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다층 간의 층간 결합을 위하여 실리콘 수지와 같은 접착제로 측면을 밀봉하기 때문에,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 밀봉된 사이로 물이 침투되어 축광 물질의 축광성이 약화될 수 있고, 화재나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 수지가 녹아 층간 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향 지시 표시부재의 효과가 감소하며, 축광판 전면에 축광 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고, 더하여 축광 물질 및 이에 따른 휘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개시한 바가 없어 축광 물질의 휘도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여러 가지 유도 표시부재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던 중,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개념의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개발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은 바닥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장착한 다음, 상부에 금속 보호캡을 고정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써, 단전, 정전 및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보행자를 안전한 장소로 유도할 수 있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바닥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매립하고, 그 상부에 금속 보호캡을 설치하여 축광성 세라믹스를 고정한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금속 보호캡을 설치하기 전에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이 매립된 홈 내부에 모르타르 층을 충전하여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물 등이 축광 세라믹스 상부로 스며들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 공정으로 후속 시공되는 금속 보호캡의 하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에 축광성 유약 조성물(7)이 특정 형태로 충전된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9)을 금속 보호캡(13)으로 고정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축광성 유약 조성물은 본 출원인의 특허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6860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SrAl2O3 화합물을 포함하는 축광성 형광체 20∼60중량%와 프리트 40∼80중량%를 포함하는 야광 유약 조성물이나,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4-9343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결정으로 MAl2O4 화합물을 포함하는 축광성 형광체 50∼90 중량%와 프리트 10∼50 중량%를 건식 혼합시켜 제조한 축광성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때, 상기 M은 (i)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또는 이들의 합금이거나, (ii) 상기 (i)의 금속과 마그네슘(Mg)의 합금이며, 상기 축광성 형광체는 부활제 및 공부활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리트는 실리카와 용해융제(soluble flux)를 소성한 후 분말화한 상업적 혼합물로서,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단일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미분쇄(200 메쉬)한 후 건조시켜 일정 크기(60 메쉬)의 입자를 만든 후, 상기 축광성 형광체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축광성 세라믹스는 1,250∼1,300℃로 1차 소성한 세라믹스 상부에 (i) 주형 성형(cast molding) 또는 조각법을 이용하여 약 0.3∼2.0㎜ 깊이의 특정 형상을 갖는 홈을 형성한 다음, 그 홈 내부에 상기 축광성 유약 조성물을 충전하고 그 상부에 표면 보호용 프리트(베트로사)를 코팅하거나, (ii) 실크 스크린 법으로 0.3∼2.0㎜ 두께의 축광성 유약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표면 보호용 프리트를 코팅한 다음, 600∼1200℃의 온도에서 2차 소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광성 세라믹스를 이용하여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대리석과 같은 바닥부(1)에 소정의 크기의 홈(3)을 형성한 다음, 상기 홈(3) 내부에 축광성 유약 조성물(7)이 충전된 축광성 세라믹스(5)와 강화 유리판(9)을 순차적으로 매립한다.
이때, 상기 홈은 크기의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의 너비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한다.
상기 강화 유리판은 필요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강화 유리판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 다음, 상기 축광성 세라믹스(5)와 강화 유리판(9) 주변에 남아있는 공간을 모르타르로 충전하여 상기 축광성 세라믹스(5)와 강화 유리판(9)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대리석과 같은 바닥부와 결합시킴으로써, 축광성 세라믹스 상부로 오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축광성 세라믹스 측면에 고정 수단인 금속 보호캡의 하판(11)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보호캡의 하판(11) 상부에 금속 보호캡의 상판(13)을 장착하여 축광성 세라믹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금속 보호캡은 보행자의 통행에 따른 불편을 해소함과 동시에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 각각의 두께가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각 1.2㎜의 두께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보호캡 제조 물질은 특별한 제한 없이, 신주(brass) 또는 스탠레스 등 여러 가지 금속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보호캡의 하판은 강화 유리판의 높이와 평형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보호캡 상판의 안쪽은 강화 유리판 상부에 형성되어 축광 세라믹스를 고정시키며, 상판 외부 가장자리는 바닥과 직각 형태로 형성되거나, 결합성과 보행 편이를 위하여 경사진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8㎜ 정도의 너비를 가진다.
상기 금속 보호캡의 상판 및 하판의 결합은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으나, 나사(15) 또는 본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로 시공된 상기 도 1의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바닥부(1)에 형성된 홈 내부에 축광성 유약 조성물이 상부에 충전된 축광성 세라믹스(5)와 강화 유리판(9)을 매립하고, 그 주변에 모르타르(17)를 충전한 다음, 금속 보호캡의 하판(11)과 금속 보호캡의 상판(13)이 설치된 형태로 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고안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축광성 세라믹스의 제조 방법.
제조예 1. 축광성 유약 분말의 제조
본 고안의 축광성 유약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축광성 형광체는 모결정으로 SrAl2O3 40중량%와 800℃ 용의 프리트(혜광 요업사 제품)를 미분쇄(200 메쉬)한 후 건조시켜 일정 크기(60 메쉬)의 입자를 제조한 프리트 60중량%를 혼합하여 축광성 유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1-1) 세라믹스의 원료 분말을, 특정 무늬가 파여진 금형으로 성형하고, 1250℃로 소성하여 특정 무늬의 홈이 파진 타일을 제조하였다.
(1-2)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축광성 형광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물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고안의 축광성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3) 상기 세라믹스 상부에 형성된 홈을 상기 축광성 유약 조성물로 충전한 다음, 축광성 유약 분말이 충전된 부위의 상부를 표면보호용 프리트 (Vetrosa, 한국 세라믹사)로 도포하고, 이를 800℃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본 고안의 축광성 세라믹스를 제조하였다.
II. 축광성 세라믹스의 잔광 휘도 측정 시험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축광성 타일의 잔광휘도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잔광휘도는 25W 형광등 빛을 축광성 타일로부터 20㎝ 거리에서 20분 동안 조사한 후 욱성화학(주)의 휘도계 TOPCON BM-8렌즈의 시도2°로 측정한 것이며, 시험은 21±1℃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표 1>
경과시간(분) 잔광휘도 (mcd/㎡)
초기 (0) 11,000
2 8,050
4 6,200
6 4,780
8 3,540
10 2,210
20 1,180
30 810
60 640
120 530
180 430
240 28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축광성 유약 조성물과 함께 고온에서 소성된 세라믹스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이를 바닥부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 시에 주변 환경이 고온으로 상승하여도 표시 부재가 녹거나 훼손되는 바가 없으므로, 방향 유도용 표시부재의 효과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향 유도용 표시부재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고, 보행 장애에 따른 문제점뿐만 아니라, 표시부재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지하철이나 건물 등의 지하 시설물에 적용하는 경우 단전, 정전 및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보행자를 안전한 장소까지 유도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으로 제조된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의 시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으로 제조된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1 : 바닥부 3 : 홈
5 : 축광성 세라믹스 7 : 축광성 유약 조성물
9 : 강화 유리판 11 : 금속 보호캡의 하판
13 : 금속 보호캡의 상판 15 : 고정 나사
17 : 모르타르

Claims (6)

  1. 바닥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축광성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매립하고, 그 상부에 고정 수단으로 금속 보호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는 금속 보호캡을 설치하기 전에 세라믹스와 강화 유리판이 매립된 홈 내부를 모르타르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성 세라믹스는 세라믹스 상부에 홈을 형성한 후, 홈 내부에 축광성 유약을 충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호캡은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호캡의 상판은 가장자리가 바닥면과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호캡의 하판과 상판은 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KR20-2005-0008061U 2005-03-24 2005-03-24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Expired - Fee Related KR200385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61U KR200385948Y1 (ko) 2005-03-24 2005-03-24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61U KR200385948Y1 (ko) 2005-03-24 2005-03-24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48Y1 true KR200385948Y1 (ko) 2005-06-03

Family

ID=4368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5948Y1 (ko) 2005-03-24 2005-03-24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50B1 (ko) * 2013-10-31 2015-05-08 김규현 축광식 유도 표시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50B1 (ko) * 2013-10-31 2015-05-08 김규현 축광식 유도 표시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1762A (en) Luminous panel
JP2007186967A (ja) 蓄光性又は蛍光性模様を施した積層材及び壁床材
KR200385948Y1 (ko)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JP3580653B2 (ja) 発光表示用路面部材
JP5749097B2 (ja) 蓄光式標識とその製造法
JP2002167943A (ja) 災害対策用蓄光壁床材
KR20050019609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KR20060122398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4643B1 (ko) 축광표시체
JP2018010353A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JP2007200036A (ja) 蓄光式誘導表示体
JPH08133868A (ja) 蛍光・蓄光塗膜を有する煉瓦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7436B1 (ko) 장축광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축광 타일
KR200363113Y1 (ko)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JP2007113327A (ja) 安全で耐久性のある標識材を固着した建造物の階段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70075Y1 (ko) 보도블럭형자기발광구난유도표시소자
JP3229683U (ja) 点字タイル
KR200346098Y1 (ko) 축광블록
JP3036050U (ja) 階段の踏板夜光装置
JP2007224680A (ja) 避難誘導用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223445U (ja) 蓄光タイル
KR200333973Y1 (ko) 야광 타일
JP2005307717A (ja) 発光性ガラス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5264A (ko) 축광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T103915B (pt) Pavimentos cerâmicos fotoluminescentes para áreas de risco e emergência de portadores de deficiência e processo para a sua obten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3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