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5621Y1 - 사출금형의 성형틀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621Y1
KR200385621Y1 KR20-2005-0004329U KR20050004329U KR200385621Y1 KR 200385621 Y1 KR200385621 Y1 KR 200385621Y1 KR 20050004329 U KR20050004329 U KR 20050004329U KR 200385621 Y1 KR200385621 Y1 KR 200385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injection
molding
positioning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재
Original Assignee
제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6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얇은 판형의 모니터 전면 패널과 같은 얇은 두께의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상,하부 금형의 가장자리면에 위치결정블럭이 결합될 수 있는 블럭홈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블럭홈부를 상,하부 금형의 성형부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사출 금형시의 문제 즉, 용융수지의 주입으로부터 초래되었던 위치결정블럭 및 상부금형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사출 성형품에 대한 불량율을 개선함은 물론, 상,하부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 및 시간과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용융수지가 성형부위에서 가장자리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사출 성형품의 가장자리에서 불필요한 후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출 금형시의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 금형의 성형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성형틀{Forming cast of a injection mold}
본 고안은 얇은 두께의 제품(예; 얇은 판형의 모니터 전면 패널 등)을 사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이루어져 형합되는 금형의 가장자리부에 사출부위와 분리되는 블럭홈부를 형성하여 위치결정블럭을 통해 상,하로 이루어진 금형의 형합에 대한 위치를 정교하게 잡아줌은 물론, 상하의 금형이 형합될 때 유동 방지를 통해 사출 성형품의 사출 불량을 방지하고, 아울러 사출 성형품을 사출하는데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사출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상호 형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의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사출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합하는데 있어, 상기 하부금형의 모서리면에는 상부금형의 형합을 안내하는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이 형합되는 하부금형의 성형부위에는 가장자리면과 단차부를 통해 구분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부위와 위치결정돌기부는 단차부의 높이를 통해 가장자리면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장자리면은 절삭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부위에는 상부금형의 형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자리면으로 연장되는 위치결정돌기부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으로 상부금형이 형합될 때 그 형합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이 결합핀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홈부를 형성한 후, 상기 결합핀을 통해 위치결정블럭을 고정하였으며, 이때 상기 위치결정블럭은 하부금형의 성형부위보다 그 높이를 높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면, 상기 위치결정블럭에 의해 상부금형은 하부금형의 성형부위에서 그 형합위치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하부 금형에 대한 형합구조는, 하부금형의 가장자리면에 대한 정밀 절삭가공이 필요로 하는 바,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 및 시간과 인력 낭비가 초래되었다.
아울러, 상기의 결합핀에 의해 위치결정블럭이 상부금형의 형합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의 주입구로 소정온도의 용융수지를 주입할 때 상부금형을 지지하는 결합핀의 변형이 초래되었고, 이는 곧 위치결정블럭과 이에 지지되는 상부금형의 좌우 유동이 초래되면서 사출 성형품에 대한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종래에는 하부금형의 성형부위로 상부금형이 형합되어 성형품에 대한 사출이 이루어질 때, 하부금형의 성형부위와 위치결정블럭의 사이의 틈새로 용융수지의 누수가 초래되었으며, 이에따라 사출 성형품에 대한 사출이 완료되어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그 사출 성형품의 가장자리에 불필요한 후렌지가 형성되었고, 종래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하부 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이 결합될 수 있는 블럭홈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블럭홈부를 상,하부 금형의 성형부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사출 금형시의 문제 즉, 용융수지의 주입으로부터 초래되었던 위치결정블럭 및 상부금형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사출 성형품에 대한 불량율을 개선함은 물론, 상,하부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 및 시간과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용융수지가 성형부위에서 가장자리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사출 성형품의 가장자리에서 불필요한 후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출 금형시의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 금형의 성형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사출금형의 상부금형에 대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사출금형의 하부금형에 대한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위치결정블럭에 대한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상,하부 금형의 결합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상,하부 금형에 위치결정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위치결정블에서 상부금형이 이탈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품의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를 형성한 후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제품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위치결정블럭(13)에 의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은 제 1 블럭부(A)와 제 1 경사부(D1)를 가진 제 2 블럭부(B)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상부금형(11)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13)의 제 1 블럭부(A)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 1 블럭홈부(20)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금형(12)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13)의 제 2 블럭부(B)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제 2 경사부(D2)를 가진 제 2 블럭홈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블럭홈부(20)(30)는 상,하부 금형(11)(12)의 성형부위(a11)와 분리되도록 외측방향으로만 개구된 ⊂자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은,
상부금형(11)의 제 1 블럭홈부(20)에 제 1 블럭부(A)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된 후 볼트(41)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블럭(13)에는,
볼트(41)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단차면을 가진 소정갯수의 체결구멍(13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블럭홈부(20)에는,
볼트(41)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위치결정블럭(13)의 체결구멍(13a)과 대응하는 갯수의 체결홈부(2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 경사부(D1)(D2)는 그 경사각도를 15°로 정밀 가공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14는 상부금형(11)과의 형합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금형(12)의 기둥부를 나타내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15는 상기의 기둥부(14)가 관통되도록 상부금형(12)에 형성된 기둥삽입구멍을 나타내며, 미설명된 도면부호 16은 용융수지의 주입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상부금형(11)의 가장자리면에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자형의 제 1 블럭홈부(2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블럭홈부(20)에는 소정갯수의 체결홈부(21)를 가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블럭홈부(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위치결정블럭(13)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위치결정블럭(13)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의 체결홈부(21)에 대응하는 갯수의 체결구멍(13a)을 형성하는 한편,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으로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 1,2 블럭부(A)(B)로 구분하고, 상기 제 2 블럭부(B)에는 제 2 경사부(D2)를 형성하여 둔다.
이후, 도 5,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블럭홈부(20)에 위치결정블럭(13)의 제 1 블럭부(A)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의 높이는 제 1 블럭홈부(20)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는 바,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의 제 1 블럭부(A)가 제 1 블럭홈부(20)로 삽입될 때 제 2 블럭부(B)는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제 1 블럭홈부(20)와 위치결정블럭(13)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홈부(21)와 단차면을 가진 체결구멍(13a)은 동일한 수직라인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의 체결구멍(13a)으로 볼트(41)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볼트(41)의 머리부위는 체결구멍(13a)의 단차면에 의해 상기의 체결구멍(13a)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체결구멍(13a)내에 위치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볼트(41)는 제 1 블럭홈부(20)의 체결홈부(21)로 삽입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은 제 1 블럭홈부(20)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금형(11)을 도 2의 하부금형(12)으로 형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금형(11)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기둥삽입구멍(15)으로 하부금형(12)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기둥부(14)를 삽입한 후, 상기 상부금형(11)을 하부금형(12)으로 형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11)의 제 1 블럭홈부(20)에 결합 고정된 위치결정블럭(13)의 제 2 블럭부(B)는 하부금형(12)의 가장자리면에 위치하는 ⊂자형의 제 2 블럭홈부(30)에 형성된 제 1 경사부(D1)를 따라 삽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2 블럭부(B)에는 제 2 경사부(D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금형(12)의 제 2 블럭홈부(30)에도 제 1 경사부(D1)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 블럭부(B)가 제 2 블럭홈부(30)로 삽입될 때, 상기 제 2 블럭부(B)는 제 1,2 경사부(D1)(D2)에 의해 그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11)은 제 1,2 블럭홈부(20)(30)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블럭(13)의 제 1,2 블럭부(A)(B)에 의해 하부금형(12)과의 형합이 정교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유동이 방지되면서 사출성형을 위한 제품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블럭(13)이 삽입된 제 1,2 블럭홈부(20)(30)는 상,하부 금형(11)(12)의 성형부위(a11)와 분리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이 형합이 이루어진 상,하부 금형(11)(12)의 사이로 주입구(16)를 통해 소정온도의 용용수지를 주입하더라도, 상기 용융수지에 의해 위치결정블럭(13)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상기 용용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은 보다 정교하게 그 사출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사출금형의 성형틀은, 상,하부 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이 결합될 수 있는 블럭홈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블럭홈부를 상,하부 금형의 성형부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는 위치결정블럭 및 상부금형의 좌우 유동을 방지시켜 사출 성형품에 대한 불량율을 개선함은 물론, 상,하부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 및 시간과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용융수지가 성형부위에서 가장자리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사출 성형품의 가장자리에서 불필요한 후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출 금형시의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사출금형의 상부금형에 대한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사출금형의 하부금형에 대한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위치결정블럭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상,하부 금형의 결합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상,하부 금형에 위치결정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위치결정블에서 상부금형이 이탈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상부금형 12; 하부금형
13; 위치결정블럭 13a; 체결구멍
20; 제 1 블럭홈부 21; 체결홈부
30; 제 2 블럭홈부 41; 볼트

Claims (4)

  1. 제품의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를 형성한 후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제품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위치결정블럭에 의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블럭은 제 1 블럭부와 제 1 경사부를 가진 제 2 블럭부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상부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의 제 1 블럭부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제 1 블럭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금형의 가장자리면에는 위치결정블럭의 제 2 블럭부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제 2 경사부를 가진 제 2 블럭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블럭홈부는 상,하부 금형의 성형부위와 분리되도록 외측방향으로만 개구된 ⊂자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블럭은,
    상부금형의 제 1 블럭홈부에 제 1 블럭부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블럭에는,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단차면을 가진 소정갯수의 체결구멍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럭홈부에는,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위치결정블럭의 체결구멍과 대응하는 갯수의 체결홈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성형틀.
KR20-2005-0004329U 2005-02-17 2005-02-17 사출금형의 성형틀 Expired - Fee Related KR200385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29U KR200385621Y1 (ko) 2005-02-17 2005-02-17 사출금형의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29U KR200385621Y1 (ko) 2005-02-17 2005-02-17 사출금형의 성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621Y1 true KR200385621Y1 (ko) 2005-06-01

Family

ID=4368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5621Y1 (ko) 2005-02-17 2005-02-17 사출금형의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62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54Y1 (ko) * 2010-09-07 2011-04-25 주식회사 금성정공 사각 가이드축이 구성된 몰드프레임용 사출금형
KR20140124626A (ko) * 2013-04-17 2014-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금형
CN110978422A (zh) * 2019-11-26 2020-04-10 苏州冬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定位结构的显示器前壳注塑模具型腔
KR102405833B1 (ko) 2020-12-16 2022-06-07 경성정밀주식회사 코터가 구비된 사출금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54Y1 (ko) * 2010-09-07 2011-04-25 주식회사 금성정공 사각 가이드축이 구성된 몰드프레임용 사출금형
KR20140124626A (ko) * 2013-04-17 2014-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금형
KR102004762B1 (ko) 2013-04-17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금형
CN110978422A (zh) * 2019-11-26 2020-04-10 苏州冬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定位结构的显示器前壳注塑模具型腔
KR102405833B1 (ko) 2020-12-16 2022-06-07 경성정밀주식회사 코터가 구비된 사출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3797B2 (ja) 樹脂製品の成形方法
US5874116A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a divided degassing pin
KR200385621Y1 (ko) 사출금형의 성형틀
KR200418301Y1 (ko) 금형의 접촉 면상에 마모 방지편을 갖는 사출금형
US7413433B2 (en) Laminant hot runner manifold
JP5640872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法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JP2014008638A (ja) デリバリパイプの成形方法
KR101797640B1 (ko) 좌우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수직분할된 원판구조와 이의 록킹구조를 구비한 금형
KR101205199B1 (ko) 사출금형장치
US11173641B2 (e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KR200194537Y1 (ko) 사출금형의 절단형 런너 게이트구조
CN109562549B (zh) 用于形成模制部件的模具和方法
KR101380027B1 (ko) 사출금형의 캐비티와 코어의 형합 위치를 설정하는 인로우의 설치구조
KR101386090B1 (ko) 금형 조립체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KR20090009961U (ko) 금형조립체의 스프루장치
JP4375384B2 (ja) 樹脂成形体製造用金型
JP2002018898A (ja) 中空成形体及び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KR970006611Y1 (ko)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KR100869267B1 (ko) 플랜지용 스테인레스 후판 제조 금형 및 장치
JPH0724884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01198954A (ja) ホットランナー付き射出成形金型
KR20090003252U (ko) 금형조립체
CN113977872A (zh) 用于制造塑料结构部件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50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