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4963Y1 -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 Google Patents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963Y1
KR200384963Y1 KR20-2005-0000669U KR20050000669U KR200384963Y1 KR 200384963 Y1 KR200384963 Y1 KR 200384963Y1 KR 20050000669 U KR20050000669 U KR 20050000669U KR 200384963 Y1 KR200384963 Y1 KR 200384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dder
sides
rotatable
elev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관병
오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Priority to KR20-2005-0000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96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 계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차 사다리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탑승자가 승강기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방차의 턴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용되어 하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캐스터가 하단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대향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후방의 양측 지지대 상부에 일단은 볼트 너트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사다리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전방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지지대에 양측 전후의 측면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도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며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개가 층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설치는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계단과;
상기 계단의 지지대 상단과 후방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고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 상면 전방 및 일측면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지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Elevator access stair moving together with ladder angle}
본 고안은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 계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차 사다리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탑승자가 승강기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 건물과 같은 인명구조가 어려운 높은 장소에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방차에는 고가 사다리가 설치되며, 이 고가 사다리에는 사다리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가 사다리는 인명구조의 위치에 따라 사다리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때 그때 승강기의 탑승 위치는 변동되기 마련이며, 또한 승강기의 위치는 손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승강기의 탑승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승강기 탑승자가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다리를 마련해 두고 구조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운반하여 승강기에 올라갈 수 있도록 걸쳐놓고 사다리를 타고 승강기에 탑승 해야만 하므로 초를 다투는 임명구조 작업이 늦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일일이 사다리를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다리의 각도 변화에 따라 연동되는 접근계단을 소방차에 고정 설치하여 승강기 탑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인명구조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 계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방차의 턴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용되어 하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캐스터가 하단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대향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후방의 양측 지지대 상부에 일단은 볼트 너트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사다리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전방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지지대에 양측 전후의 측면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도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며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개가 층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설치는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계단과; 상기 계단의 지지대 상단과 후방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고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 상면 전방 및 일측면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지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판의 양측면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캐스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부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근계단(1)은, 턴테이블(60)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과 연결 설치되면서 사다리(4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승강기(50) 탑승자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개의 발판(22)으로 구성되는 계단(20) 및 상기 계단(20)의 상측으로 연결 설치되는 상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10)은, 턴테이블(6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단(20) 하단에 설치되는 캐스터(26)를 수용하여 캐스터(26)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0)의 양측에는“ㄷ”와 같은 형태의 절곡부(11)가 형성되어 하판(10)에 수용된 채로 전후로 이동되는 캐스터(26)가 하판(10)의 양측 또는 상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단(20)은, 상기 하판(10)의 상측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판(10)에 수용되어 하판(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스터(26)와, 상기 캐스터(26)가 하단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상판(30)의 후방과 힌지축(25)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24) 및 상기 지지대(24)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는 발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26)는, 상기 하판(10)에 수용되어 하판(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24)의 하단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지지대(24)는, 상기 발판(22)의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4개가 전후 양측으로 경사지게 대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4))는, 상단이 상기 상판(30)의 디딤판(32) 후방 양측으로 힌지축(25)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단은 캐스터(26)가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4개의 지지대(24) 중 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4)의 상부에는 연결대(23)가 설치되는데 이 연결대(23)의 일단은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대(24)와 볼트 너트의 체결수단(27)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사다리(4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25)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전방의 일측 지지대(24)에는 승강기(50)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난간(21)이 설치된다.
상기 발판(22)은, 승강기(50) 탑승자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각의 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개의 지지대(24)에 의해 양측의 전후 측면이 지지된다.
즉, 전후 양측면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25)에 의해 지지대(24)에 결합되며 승강기(50) 탑승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상판(30)은, 상기 승강기(50)에 탑승이 용이한 승강기(50)와 근접된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계단(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단(20)의 지지대(24) 상단과 후방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25)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디딤판(32)과, 상기 디딤판(32)의 전방과 일측면에 설치되는 난간(3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대(23)와 지지대(24)의 연결부위는 체결수단(27)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발판(22)과 상판(30)은 지지대(24)와 연결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25)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발판(22)과 상판(30)은 항상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근계단(1)은 소방차에 고정설치되어 사다리(40)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발판(22) 및 상판(30)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승강기(50) 탑승자가 안전하게 승강기(5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근계단(1)은 연결대(23)와 지지대(24)의 연결부위를 제외하고는 힌지축(2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다리(40)가 회전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발판(22) 및 상판(30)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승강기(50) 탑승이 용이하다.
즉, 만일 발판(22) 및 상판(30)이 지지대(24)와 고정설치될 경우 지지대(24)가 기울어지면 발판(22)과 상판(30)도 동일하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탑승자가 경사진 발판(22)을 밟고 올라가기가 매우 불안정하다.
그리나 본 고안의 접근계단(1)은 회전축(70)을 중심으로 사다리(40)가 회전하게 되면 캐스터(26)가 하판(10)을 따라 후방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면서 지지대(24)가 하향으로 눕혀지게 되는데, 이때 각 지지대(24)에 설치된 발판(22)들은 힌지축(25)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대(24)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24)가 하향으로 눕혀 지더라도 발판(22)은 수평 상대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판(30) 또한 발판(22)과 마찬가지로 후방이 힌지축(25)에 의해 지지대(24) 상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24)의 기울짐과 관계 없이 항상 수평상태가 유지 된다.
따라서, 사다리(40)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24)는 눕혀지지만 발판(22)과 상판(30)은 이와는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승강기(50) 탑승자가 안전하게 발판(22)을 따라 승강기(50)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조작업이 완료되어 사다리(40)를 원상태로 접을 경우에도 캐스터(26)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대(24)는 상향되나 발판(22)과 상판(30)은 역시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다리의 각도 변하더라도 발판과 상판은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어 승강기 탑승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승강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접근계단 10:하판 11:절곡부
20:계단 21:난간 22:발판
23:연결대 24:지지대 25:힌지축
26:캐스터 27:체결수단 30:상판
31:난간 32:디딤판 40:사다리
50:승강기 60:턴테이블 70:회전축

Claims (2)

  1. 소방차의 턴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용되어 하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캐스터가 하단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대향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후방의 양측 지지대 상부에 일단은 볼트 너트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사다리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전방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지지대에 양측 전후의 측면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도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며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개가 층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설치는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계단과;
    상기 계단의 지지대 상단과 후방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지지대가 움직이더라고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 상면 전방 및 일측면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지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양측면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캐스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KR20-2005-0000669U 2005-01-10 2005-01-10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Expired - Fee Related KR200384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69U KR200384963Y1 (ko) 2005-01-10 2005-01-10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69U KR200384963Y1 (ko) 2005-01-10 2005-01-10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963Y1 true KR200384963Y1 (ko) 2005-05-24

Family

ID=4368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6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4963Y1 (ko) 2005-01-10 2005-01-10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9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94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태커 붐의 승강계단 수평유지장치
KR101211277B1 (ko) 2010-11-22 2012-1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캐스터를 구비한 사다리
KR102084127B1 (ko) * 2018-10-25 2020-03-03 주식회사 에버다임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CN111206874A (zh) * 2020-02-21 2020-05-29 四川川消消防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云梯的辅助梯、云梯装置和消防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94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태커 붐의 승강계단 수평유지장치
KR101211277B1 (ko) 2010-11-22 2012-1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캐스터를 구비한 사다리
KR102084127B1 (ko) * 2018-10-25 2020-03-03 주식회사 에버다임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CN111206874A (zh) * 2020-02-21 2020-05-29 四川川消消防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云梯的辅助梯、云梯装置和消防车
CN111206874B (zh) * 2020-02-21 2025-01-07 四川川消消防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云梯的辅助梯、云梯装置和消防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205241002U (zh) 楼道吊杆座椅电梯
CA2655377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CN109476454A (zh) 用于克服高度差的移动辅助设备
KR200418543Y1 (ko) 고소작업 리프트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JP5143105B2 (ja)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KR101668977B1 (ko) 경사각도에 따른 가변형 발판 및 난간을 구비한 안전계단
CN220247425U (zh) 一种新型组装式房屋用建筑楼梯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KR102084127B1 (ko)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JP3044915U (ja) 折畳式角変昇降階段
KR10271742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이동작업 사다리장치
US7100334B2 (en) Conveyor for conveying people
CN221896093U (zh) 一种电动楼梯用坡度调整结构
KR102517284B1 (ko) 계단 리프트 장치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CN213948630U (zh) 一种具有上下楼梯辅助功能的电动代步机器人
JP3067008B2 (ja) エスカレータ作業用足場台
JP2007145546A (ja) 昇降システム
JP3982807B2 (ja) 階段
CN212001994U (zh) 一种可折叠预制装配式钢结构楼梯
CN209835351U (zh) 一种具有护栏的可上下楼梯站架
JP484974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保守・点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