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2868Y1 -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868Y1
KR200382868Y1 KR20-2005-0004121U KR20050004121U KR200382868Y1 KR 200382868 Y1 KR200382868 Y1 KR 200382868Y1 KR 20050004121 U KR20050004121 U KR 20050004121U KR 200382868 Y1 KR200382868 Y1 KR 200382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icle
fixation system
screw
rod
cros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우
Original Assignee
박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우 filed Critical 박경우
Priority to KR20-2005-0004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49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로스 바를 척추경 스크류의 헤드부상에 결합시킴으로써 로드의 유동이나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거치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인접한 척추경에 박혀지며, 상부에 수납홈을 갖는 헤드부를 구비한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와; 상기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를 연결하는 한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에 사용되는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추경 스크류의 수납홈내에서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서 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가압수단에 끼워지도록 중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중공홀 양측으로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와셔; 및 상기 지지와셔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로드와 척추경 스크류의 위치와 방향을 척추경 교정배열대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위치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A cross bar connection apparatus to be used in spinal fixation system}
본 고안은 손상되거나 변형된 척추경을 교정한 상태에서 이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척추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척추를 교정한 로드의 간격을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로드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바를 척추경 스크류의 헤드부에 결합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로드가 유동되거나 비틀리지 못하도록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통상 24개(천추골제외)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관절마디로 연결되어 있고, 각 관절사이에는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척추는 완충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자세를 지탱해 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의 모든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척추가 외부의 인위적인 요인, 퇴행성, 또는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랫동안 지속됨에 따라, 척추가 손상되거나 틀어질 경우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는 개인생활에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이로 인하여, 척추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부위에 척추경 고정장치를 삽입하여 그 손상된 부분이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척추경 고정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상의 수납홈(101a)과, 상기 수납홈(101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을 갖는 헤드부(101)와,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102)를 구비하여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 스크류(100)와; 각각의 척추경 스크류(100)를 통해 연결되어 척추경 교정역할을 하는 로드(200)와; 상기 수납홈(101a)에 끼워지고, 그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체결되어 로드(200)를 고정하며, 상부에 렌치삽입홈(300a)이 형성된 세트 스크류(300) 및 상기 척추경의 양측에 박혀진 척추경 스크류(100)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쌍의 로드(200)를 가로질러 거치되는 크로스 바(400)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경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경 스크류(100)의 나사부(102)를 각각의 척추경(500)에 삽입고정시키고, 헤드부(101)에 형성된 U자 수납홈(101a)에 로드(200)를 삽입하여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납홈(101a)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세트스크류(300)를 체결시킨 후, 세트스크류(300)의 상부에 형성된 렌치삽입홈에 육각렌치등을 삽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세트스크류(300)의 저면이 로드(200)의 외경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로드(200)는 척추경 스크류(100)의 수납홈내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즉, 척추경(500)과 척추경(50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로드(200)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척추경 스크류에 연결된 로드(200)간에는 크로스 바(400)의 양단이 걸쳐져 조여짐으로써 상기 로드(200)의 횡간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 바(400)는 신체의 허리를 좌우로 뒤트는 동작을 행할 때, 좌,우측 로드(200)가 벌어지거나 뒤틀림 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척추경이 미소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척추경의 미소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크로스 바(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0)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식 하우징(410) 및 이동식 하우징(420)과; 상기 로드(200)와 면접촉하는 간격유지바(430) 및 상기 고정식 하우징(410)과 이동식 하우징(420)에 체결되며, 간격유지바(430)가 로드(200)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세트스크류(4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식 하우징(410) 및 이동식 하우징(420) 각각은 로드(200)에 걸쳐져 결합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갈코리형태로 형성된 반원형 오목홀(410a, 420a))과; 상기 오목홀(410a, 420a)의 연장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간격유지바(430)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홀(410b, 420b)과, 상면에 세트 스크류(440)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홀(410c, 420c)을 갖는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크로스 바는 일측 로드(200)에 고정식 하우징(410)의 오목홀(410a)이 걸쳐진 후, 간격유지바(430)의 일단이 지지홀(410b)에 끼워지고, 이어서 이동식 하우징(420)이 타측 로드(200')에 걸쳐진 후, 간격유지바(430)의 타단이 지지홀(420b)에 끼워진다. 최종적으로 상기 세트 스크류(440)가 고정식 및 이동식 하우징(410, 420) 각각의 나사홀(410c, 420c)에 체결되어 간격유지바(43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간격유지바(430)에 로드(200)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시된 종래의 크로스 바 구조는 오목홀(410a)의 직경이 연결로드(20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식 하우징(420)이 고정식 하우징(4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로드중 어느 하나가 기울어져 편차가 발생하거나, 상기 로드(200)간의 간격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크로스 바는 이러한 기울어짐이나 어긋난 평행도에 대하여 대응하기가 곤란한 문제를 초래한다. 즉, 로드(200)간의 평행도가 어긋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식 하우징(420)과 고정식 하우징(410) 각각의 지지홀(410b, 420b)의 평행도도 어긋나게 되므로 간격유지바(430)를 끼울 수가 없게 된다. 설령 간격유지바(430)의 평행도를 억지로 맞출 경우에는 이동식 하우징(420)의 위치를 틀어야만 가능하므로 결국 오목홀(420a)로부터 로드(200)의 일부가 이탈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에 세트스크류(440)로 이동식 하우징(420)의 나사홀(420c)에 체결한다 하더라도, 간격유지바(430)와 연결로드(200)가 견고하게 밀착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 바가 갖는 구조적인 문제점은 수술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고, 또한 크로스 바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생략하는 경우도 있는 등, 수술의 하자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크로스 바를 척추경 스크류의 헤드부상에 결합시킴으로써 로드의 유동이나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거치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척추경 스크류상에서 크로스 바의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척추경 스크류가 일률적으로 박혀 있지 않아 발생되는 로드간 상하 기울기 편차나, 상기 로드간의 좌우 평행도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크로스 바를 설치할 수 있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의 인접한 척추경에 박혀지며, 상부에 수납홈을 갖는 헤드부를 구비한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와; 상기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를 연결하는 한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에 사용되는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추경 스크류의 수납홈내에서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서 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가압수단에 끼워지도록 중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중공홀 양측으로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와셔; 및 상기 지지와셔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로드와 척추경 스크류의 위치와 방향을 척추경 교정배열대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위치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4 내지 도7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는 척추경 스크류의 배열이 일률적이지 않거나 로드의 평행도가 어긋난 경우에도 크로스 바를 쉽게 거치시키면서 신뢰적으로 척추경 스크류의 헤드부에 로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척추고정시스템에 있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21a)을 갖는 수납홈(21)이 형성된 "U"자 형태의 헤드부(22)와, 상기 수납홈(21)의 바닥부에 병렬형태로 형성된 로드 안내홈(23)을 구비하여 손상된 척추에 박혀져 그의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 스크류(2)와; 상기 헤드부(22)의 로드 안내홈(23)에 안착되어 인접하는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2)간을 연결하여 척추의 어긋난 배열을 교정하는 로드(4); 및 상기 수납홈(21)의 암나사산(21a)과 체결되며, 수납홈(21)과의 체결력으로 상기 로드(4)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가압하는 세트 스크류(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드(4)는 분절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부(22)에 형성된 병렬의 로드 안내홈(23)에 교호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절 로드(4)를 매개로 척추경 스크류(2)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트 스크류(6)는 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사각, 육각 또는 팔각형태중 어느 하나의 나사홀(6a)이 형성되며, 상기 세트 스크류(6)의 나사홀(6a)에는 고정볼트(8)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볼트(8)는 머리부와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는 후술할 지지와셔가 자유롭게 유동하기 위한 유격부(8a)가 형성된다. 상기 세트 스크류(6)는 그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홀(6a)에 맞는 별도의 사각, 육각 또는 팔각렌치를 이용하여 척추경 스크류(2)의 수납홈(21)의 암나사(21a)와 체결된다.
상기 고정볼트(8)에는 지지와셔(10)가 끼워진다. 상기 지지와셔(1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고정볼트(8)가 끼워지는 중앙홀(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10a)의 저면 양측에는 후술할 크로스 바가 자유롭게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호로 이루어진 안내홈(12)이 가공되어 있다.
상기 지지와셔(10)의 안내홈(12)에는 로드(4)와 척추경 스크류(2)에 대하여 위치와 방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티탄늄 재질의 크로스 바(cross bar)(14)가 삽입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크로스 바(14)는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척추경 스크류(2)와 로드(4)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유동과 비틀림에 대응하는 강도를 가짐으로써 한쌍의 로드(4)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U"자 크로스 바(14)는 통상 Φ2mm, Φ2.5mm, Φ3mm 직경중 선택된 하나의 직경을 가지되, 길이는 50mm ∼ 100mm까지 10mm단위 간격으로 길이가 설정된다.
상기 크로스 바(14)의 고정은 고정볼트(8)의 조임력에 의해 지지와셔(10)에 접촉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와셔(10)의 저면이 척추경 스크류(2)의 헤드부(22) 상면에 지지되되, 고정볼트(8)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크로스 바(14)가 지지와셔(10)의 저면과 헤드부(22) 상면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해, 상기 로드(4)가 척추경간의 간격 및 각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척추를 교정한 상태에서 허리를 뒤틀었을 때, 또는 허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U"자 크로스 바(14)의 강도에 의해 로드(4)가 유동하거나 틀어질려고 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로드(4)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척추교정 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의 설치과정 및 작용상태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상되거나 변형된 복수의 척추경 구간을 교정하는 과정은 기존의 시술과정을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척추경 스크류(2)를 척추경에 수직방향으로 박아 결합시킨다. 그리고, 한쌍의 로드(4)를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2)의 수납홈(21)에 삽입하고, 내, 외경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세트스크류(6)를 수납홈(21a)에 체결하여 로드(4)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척추경 교정작업을 완료한다.
다음에, 상기 한쌍의 로드(4)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된다. 즉, 고정볼트(8)에 지지와셔(10)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한쌍의 척추경 스크류(2)의 수납홈(21)에 각각 체결된 상기 세트 스크류(6)의 나사홀(6a)에 상기 고정볼트(8)를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크로스 바(14)를 지지와셔(10)의 안내홈(12)에 삽입하여,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8)가 세트 스크류(6)의 나사홀(6a)에 완전히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지와셔(10)가 고정볼트(8)의 유동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지지와셔(10)의 안내홈(12)에 삽입된 크로스 바(14)의 간격 및 방향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볼트(8)를 세트스크류(6)의 나사홀(6a)에 완전히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척추경 스크류(2)의 배열이 조금 어긋나거나, 로드(4)의 평행도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지지와셔(10)를 돌려 방향을 맞추고, 지지와셔(10)의 안내홈(12)내에서 크로스 바(1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측 척추경 스크류(2)의 간격에 맞추게 된다.
다음, 상호 대향하는 척추경 스크류(2)의 방향 및 간격에 맞게 크로스 바(14)의 길이가 조절된 다음, 고정볼트(8)로 조이게 되면, 상기 지지와셔(10)의 하단부가 크로스 바(1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바(14)는 헤드부(22)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 외경에 이중 나사구조를 갖는 세트스크류(6)를 조이는 작업과 지지와셔(10)와 크로스 바(14)의 방향 및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으로 로드(4)와 크로스 바(14)를 함께 척추경 스크류(2)의 헤드부(22)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척추교정시술 작업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경,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척추경 스크류와 한쌍의 로드의 기울기 편차가 발생하거나 평행도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에 설치된 한쌍의 로드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크로스바를 척추경 스크류의 헤드부상에 위치시킨 후, 세트스크류와 고정볼트의 결합으로 간단히 크로스 바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척추교정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로스 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본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의 요부인 크로스 바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 바 결합부의 조립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척추경 스크류 4: 로드
6: 세트 스크류 8: 고정볼트
10: 지지와셔 12: 안내홈
14: 크로스 바 21:수납홈
22: 헤드부 23: 로드 안내홈

Claims (6)

  1. 복수의 인접한 척추경에 박혀지며, 상부에 수납홈을 갖는 헤드부를 구비한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와; 상기 복수의 척추경 스크류를 연결하는 한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에 사용되는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추경 스크류의 수납홈내에서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서 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가압수단에 끼워지도록 중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중공홀 양측으로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와셔; 및
    상기 지지와셔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로드와 척추경 스크류의 위치와 방향을 척추경 교정배열대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위치 유지수단
    을 포함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내,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세트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머리부와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세트 스크류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지지와셔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유격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위치 유지수단이 티탄늄 재질의 크로스 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가 "U"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시스템용 간격유지장치.
KR20-2005-0004121U 2005-02-16 2005-02-16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KR200382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21U KR200382868Y1 (ko) 2005-02-16 2005-02-16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21U KR200382868Y1 (ko) 2005-02-16 2005-02-16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34A Division KR100585212B1 (ko) 2005-02-15 2005-02-15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868Y1 true KR200382868Y1 (ko) 2005-04-25

Family

ID=4368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121U KR200382868Y1 (ko) 2005-02-16 2005-02-16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8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97B1 (ko) 2010-04-27 2010-08-10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뼈 고정장치
CN110811800A (zh) * 2019-11-05 2020-02-21 云南欧铂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脊柱强力矫形固定装置
CN111904614A (zh) * 2020-09-17 2020-11-10 奥派梅森(江苏)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脊柱手术用透视定位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97B1 (ko) 2010-04-27 2010-08-10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뼈 고정장치
CN110811800A (zh) * 2019-11-05 2020-02-21 云南欧铂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脊柱强力矫形固定装置
CN111904614A (zh) * 2020-09-17 2020-11-10 奥派梅森(江苏)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脊柱手术用透视定位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500B2 (ja) 脊椎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100799343B1 (ko) 척추고정 시스템
ES2329848T3 (es) Aparato para la fijacion espinal.
AU747932B2 (en) Clamping connector for spinal fixation systems
JP4254060B2 (ja) 安定性に優れた脊椎骨接合システム
US9974570B2 (en) Transverse connector
US6179838B1 (en) Bone fixation arrangements and method
US8920470B2 (en) Rod attachment for head to head cross connector
US7645294B2 (en) Head-to-head connector spinal fixation system
EP2410934B1 (en) Spine fixation system
US20030045874A1 (en) Transverse connector assembly for spine fixation system
US20120221053A1 (en) Spine Fixation System
JP2009534164A (ja) コネクタ装置
US20120259369A1 (en) Clamp for spinal cross connecting device
KR950703896A (ko) 척추골 고정 요소를 지지하는 척추로드 횡단 커넥터(Spinal rod transverse connector for supporting vertebral fixation elements)
EP0873090A1 (en) Spinal fixation device with laterally attachable connectors
KR20040031108A (ko) 척추 고정 장치
KR101643961B1 (ko) 척추경 나사못 장치
US20120136394A1 (en) Modular vertebral stabilizer
US7722650B2 (en) Variable angle spinal implant connection assembly
KR200382868Y1 (ko)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KR100585212B1 (ko) 척추고정시스템의 간격유지장치
KR100977586B1 (ko) 로드 지지용 와셔를 포함하는 척추경 고정장치
KR200372136Y1 (ko) 척추경 고정장치의 가변식 간격유지기
KR20240016478A (ko)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