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2349Y1 -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349Y1
KR200382349Y1 KR20-2005-0003502U KR20050003502U KR200382349Y1 KR 200382349 Y1 KR200382349 Y1 KR 200382349Y1 KR 20050003502 U KR20050003502 U KR 20050003502U KR 200382349 Y1 KR200382349 Y1 KR 200382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hair
support
fixed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이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화 filed Critical 이재화
Priority to KR20-2005-000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자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벽 부착용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쌍으로 된 고정관체(15)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9)과 승강핀(18)을 탄력 설치하고, 각 고정관체(15)의 안쪽에는 장공(16)을 각각 형성하여 작동축(17)을 상기 승강핀(18)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고정프레임(11)을 포함한 받침대(13), 쿠션(14)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작동축(17)에는 ㄷ형의 고정프레임(11)을 고정하고, 고정프레임(11) 내측에는 수개의 고정편(12)을 취부하여 쿠션(14)이 마련된 받침대(13)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선단 양측에는 한쌍의 힌지부(20)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21)가 지지관체(22)의 내부에서 오링(23)의 압력을 받으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관체(22)는 하부측 브라켓(24)의 고정축(25)에 의해 설치하며,
상기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실링스프링(33)에 탄력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32)를 조립관체(29)에 나사조립하되, 상기 케이스(32)의 상부 선단에는 밸브체(31)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기공(34)을 형성하고, 조립관체(29)의 나사조립되는 선단에는 밸브체(31)가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면(30)을 형성하며,
상기 조립관체(29)는 케이스(32)의 내부에 실링스프링(33)의 탄성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 나사조립하고, 조립관체(29)의 하측에는 유입공(28)이 형성된 작동구(26)를 나사조립하여 작동레버(27)로서 작동구(26)를 작동하므로서 유입공(28)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조립관체(29) 내부의 밸브체(31)가 작동하여 통기공(34)을 통한 공기가 지지관체(2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a folding chair}
본 고안은 출입문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자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통상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입구 또는 복도에는 신발을 벗어놓는 공간이 있고, 이러한 경우 정상인은 별 상관이 없으나, 노약자나 장애인, 장시간 서 있는 사람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어려워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게 된다.
즉,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발을 신거나 벗기가 어려워 현관의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게 되므로 그나마 일반 가정에서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병원이나 관공서 등 공공건물 등에서는 여간 번거로운게 아니다.
특히, 병원이나 관공서 등에는 장시간 휴식을 취하고 대기하는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간이 의자 등을 설치해 기다리거나 휴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의자가 설치되어야 할 공간의 차지가 과도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앉는 사람이 없을 경우도 의자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으므로 유휴공간의 차지가 과도한 문제점이 따랐다.
그리고 장기간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는 쿠션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항상 청소를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의자가 고정타입으로 정형화되어 부피를 과도히 차지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운송하거나 이동할 경우 절첩이 불가능하여 운송비가 과도히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절첩기능이 부가된 간이 의자가 다수 안출된 바 있으나, 근본적으로 이와 같은 의자를 사용할 경우는 바닥면에 설치하여 앉아야 하기 때문에 결국 공간의 차지가 과도한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자가 갖는 불합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벽면이나 출입문에 설치할 수 있는 간이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의자를 출입문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의자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에는 수개의 고정편을 설치하여 쿠션이 구비된 받침대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대는 고정관체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축에 고정하여 상기 고정관체의 내부에 결합된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승강핀이 승강하여 받침대 전체가 쿠션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각운동가능하게 하며, 받침대의 전방측에는 힌지부에 의해 지지로드가 설치되어 지지관체의 내부에 실린더 타입으로 출몰될 수 있게 하고, 하단에는 공압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구의 작동에 의해 밸브체가 작동하므로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의자의 설치와 절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10)를 펼친 상태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벽 부착용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향으로 마주보는 한쌍으로 된 고정관체(15)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19)과 승강핀(18)을 탄력 설치하고, 각 고정관체(15)의 내향하는 안쪽에는 장공(16)을 각각 형성하여 작동축(17)을 상기 승강핀(18)에 관통하는 형식으로 설치하여 고정프레임(11)을 포함한 받침대(13), 쿠션(14)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작동축(17)에는 대략 ㄷ형의 고정프레임(11)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고, 고정프레임(11)의 내측으로는 수개의 고정편(12)을 취부하여 이의 상부에는 쿠션(14)이 마련된 받침대(13)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선단 양측에는 한쌍의 힌지부(20)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21)가 지지관체(22)의 내부에서 밀폐상태로 설치된 오링(23)의 압력을 받으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지지관체(22)는 하부의 벽면이나 출입문에 고정된 브라켓(24)의 고정축(25)에 의해 설치한다.
상기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실링스프링(33)에 탄력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32)를 조립관체(29)에 나사조립한다.
상기 케이스(32)의 상부 선단에는 밸브체(31)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기공(34)을 형성하고, 조립관체(29)의 나사조립되는 선단에는 밸브체(31)가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면(30)을 형성하여 실링스프링(33)에 탄력설치된 밸브체(31)의 탄성에 의해 밀폐력을 보장한다.
상기 조립관체(29)는 케이스(32)의 내부에 실링스프링(33)의 탄성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 나사조립한다.
상기 조립관체(29)의 내부 하측에는 수개의 유입공(28)이 형성된 작동구(26)를 나사조립하여 작동레버(27)로서 외부에서 작동구(26)를 작동하므로서 유입공(28)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조립관체(29) 내부의 밸브체(31)를 작동하므로서 통기공(34)을 통해 공기가 지지관체(2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 결합되는 밸브체(31)는 그 기능에 따라 구슬 타입의 구체(具體)나 기타 실링면(30)을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형상과 재질이면 적의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로드(21) 및 지지관체(22)의 길이는 본 고안의 의자(10)가 작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최소의 크기로 조절가능하고, 각각의 형상이나 그 기능은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그 구조나 수량 또는 규격을 변형하는 정도의 것이라면 당연히 보호받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의자(10)를 개별로 하나씩 구성할 수도 있으나, 연속 반복적인 극장식 의자나 기타 휴게소, 공원 또는 공공건물 등에 설치하는 다수의 의자(10)를 연속적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프레임(도시생략)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출입문이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쿠션(14)이 설치된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을 펼쳐서 간이 의자(10)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좁은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특히 가정의 현관 등에 설치할 경우는 장애인이나 어린이 등 보행에 익숙치 못한 경우 간단히 내려서 설치한 다음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동 및 기능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출입문이나 벽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선단에 용접 고정된 작동축(17)을 고정관체(15)의 장공(16)을 통해 결합하되, 상기 고정관체(15)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19)의 탄성을 받는 승강핀(18)이 내장되어 상기 작동축(17)과 결합된 상태로 탄설되어 있는 바, 일단 일측의 고정관체(15)를 출입문이나 벽면에 고정하고 난 다음 상기 작동축(17)을 이용하여 타측의 고정관체(15)의 장공(16)을 통해 결합하는 과정으로 설치를 한다.
이와 같이 설치하게 되면 고정프레임(11)에는 고정편(12)이 용접고정되어 이의 상부에는 쿠션(14)이 부착된 받침대(13)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의자(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전방측에는 힌지부(20)가 마련되어 지지로드(21)가 오링(23)에 의해 압력을 받는 상태로 지지관체(22)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관체(22)의 하부는 벽면 적정위치에 브라켓(24)에 의해 고정축(25)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22)의 하부에는 케이스(32)와 조립관체(29)를 나사조립하되, 이의 내부에는 밸브체(31)를 실링스프링(33)에 의해 탄설하여 작동구(26)와 상기 조립관체(29)를 지지관체(22)의 내부에 순서적으로 나사조립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거나 유통하게 되어 공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므로서 받침대(13)에 취부된 쿠션(14)이 의자(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본 고안의 의자(10)를 설치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을 이용하여 의자(10)로서 사용할 경우는 먼저 쿠션(14)이 구비된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을 들고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이 고정관체(15)에 결합된 작동축(17)을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관체(15)의 작동축(17)에 결합된 승강핀(18)은 압축스프링(19)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고정관체(15)의 내부에서 장공(16)을 통해 상하로 승강하면서 압축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상태로 적정의 쿠션력이 발생하여 매우 편안한 상태로 앉을 수 있으면서 장공(16)에 의해 과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의 전방 양측에 힌지부(20)에 의해 결합된 지지로드(21)를 지지관체(22)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하부의 브라켓(24)의 고정축(25)에 고정된 지지관체(22)의 작동구(26)를 작동할 수 있는 작동레버(27)를 작동하여 조립관체(29)와 케이스(32)의 사이에 결합된 밸브체(31)를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상기와 같이 작동구(26)가 밸브체(3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면 조립관체(29)의 선단에 형성된 실링면(30)과 밸브체(31)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공(28)을 통해 이동하여 조립관체(29)의 내부를 통해 케이스(32)의 통기공(34)으로 이동하여 지지관체(22)에 형성된 압력이 제거되므로 지지로드(21)가 상측으로 빠져나와 도 3 및 도 6과 같이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을 위로 들어올려 의자(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을 상부로 이동한 다음 그대로 두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게 되는 바, 일단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이 의자(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이동하면 하부의 브라켓(24)에 고정된 고정축(25) 상부의 지지관체(22)에 노출상태로 조립된 작동구(26)의 작동레버(27)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구(26)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작동구(26)가 하부로 빠져나오면 작동구(26)에 밀려 있는 밸브체(31)는 실링스프링(33)의 복원 탄성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실링면(30)에 긴밀하게 접지되는 상태로 케이스(32)와 조립관체(29)와의 사이에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체(22)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로드(21)의 하부 선단에는 밀폐력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링(23)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관체(22)의 내부는 밀폐상태가 유지되어 압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지지로드(21)는 더 이상 지지관체(22)의 내부로 밀려들어가지 못해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의자(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출입문이나 벽면에 본 고안의 의자(10)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지지로드(21)가 지지관체(22)의 내부에서 압력을 받은 상태로 정지되어 일반적인 의자(10)로 사용하면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상태로 의자(10)로서 갖추어야 할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관의 벽면이나 출입문에 설치할 경우는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경우 매우 용이하게 앉아서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의자(10)에 앉아서 휴식할 수도 있고, 신발을 신고 벗고난 후 이를 원래대로 소형으로 접을 경우는 지지로드(21)를 지지관체(22)로 밀어넣으면 절첩이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의자(10)를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후 미사용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켓(24)의 고정축(25) 인근에 결합된 작동구(26)의 작동레버(27)를 작동하여 도 3 및 도 6과 같이 작동구(26)를 하부로 내리면 밸브체(31)가 실링스프링(33)에 탄성에 의해 실링면(30)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의 공기가 작동구(26)의 유입공(28)을 통해 유입되어 조립관체(29)에 형성된 실링면(30)의 공간부를 통해 케이스(32)의 안쪽으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32)에 천공된 통기공(34)을 통해 지지관체(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지지관체(22)의 내부는 압력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지지관체(22)로의 유통이 이루어지게 되면 오링(23)에 의해 밀폐상태가 유지된 지지로드(21)는 지지관체(22)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도 3 및 도 6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 도 4 및 도 7과 같은 상태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받침대(13)와 고정프레임(11)은 작동축(17)을 기점으로 수직으로 절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의 힌지부(20)에 연결된 지지로드(21)는 브라켓(24)의 고정축(25)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관체(22)의 내부에 완전히 함입되어 수직으로 절첩되어 결국 본 고안의 의자(10)는 출입문이나 벽면 등 의자(10)가 설치된 표면에 납작한 상태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어 부피가 매우 소형으로 되어 유휴공간의 차지를 최소로 하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함은 물론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 보행이 불편한 경우 현관을 출입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병원이나 각종 공공건물 등에 설치할 경우는 사람이 많으면 의자(10)를 간단하게 내려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앉을 사람이 적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벽체에 절첩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의자(10)의 기능을 하는 쿠션(14)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이나 출입문에 설치할 수 있는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의자(10)를 출입문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의자(10)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1)에는 수개의 고정편(12)을 설치하여 쿠션(14)이 구비된 받침대(13)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대()는 고정관체(15)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축(17)에 고정하여 상기 고정관체(15)의 내부에 결합된 압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승강핀(18)이 승강하여 받침대(13) 전체가 쿠션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각운동가능하게 하며, 받침대(13)의 전방측에는 힌지부(20)에 의해 지지로드(21)가 설치되어 지지관체(22)의 내부에 실린더 타입으로 출몰될 수 있게 하고, 하단에는 공압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구(26)의 작동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체(31)를 작동하므로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의자(10)의 설치와 절첩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하고, 소형의 부피로서 벽체에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는 등 일반 가정 또는 공공건물 등의 현관이나 복도 등에 설치하는 절첩식 간이 의자(10)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의자에 쿠션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11 : 고정프레임
12 : 고정편 13 : 받침대
14 : 쿠션 15 : 고정관체
16 : 장공 17 : 작동축
18 : 승강핀 19 : 압축스프링
20 : 힌지부 21 : 지지로드
22 : 지지관체 23 : 오링
24 : 브라켓 25 : 고정축
26 : 작동구 27 : 작동레버
28 : 유입공 29 : 조립관체
30 : 실링면 31 : 밸브체
32 : 케이스 33 : 실링스프링
34 : 통기공

Claims (1)

  1. 벽 부착용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쌍으로 된 고정관체(15)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9)과 승강핀(18)을 탄력 설치하고, 각 고정관체(15)의 안쪽에는 장공(16)을 각각 형성하여 작동축(17)을 상기 승강핀(18)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고정프레임(11)을 포함한 받침대(13), 쿠션(14)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작동축(17)에는 ㄷ형의 고정프레임(11)을 고정하고, 고정프레임(11) 내측에는 수개의 고정편(12)을 취부하여 쿠션(14)이 마련된 받침대(13)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선단 양측에는 한쌍의 힌지부(20)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21)가 지지관체(22)의 내부에서 오링(23)의 압력을 받으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관체(22)는 하부측 브라켓(24)의 고정축(25)에 의해 설치하며,
    상기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실링스프링(33)에 탄력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32)를 조립관체(29)에 나사조립하되, 상기 케이스(32)의 상부 선단에는 밸브체(31)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기공(34)을 형성하고, 조립관체(29)의 나사조립되는 선단에는 밸브체(31)가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면(30)을 형성하며,
    상기 조립관체(29)는 케이스(32)의 내부에 실링스프링(33)의 탄성을 받는 밸브체(31)가 결합된 상태로 지지관체(22)의 하단부에 나사조립하고, 조립관체(29)의 하측에는 유입공(28)이 형성된 작동구(26)를 나사조립하여 작동레버(27)로서 작동구(26)를 작동하므로서 유입공(28)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조립관체(29) 내부의 밸브체(31)가 작동하여 통기공(34)을 통한 공기가 지지관체(2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2005-0003502U 2005-02-04 2005-02-04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0382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502U KR200382349Y1 (ko) 2005-02-04 2005-02-04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502U KR200382349Y1 (ko) 2005-02-04 2005-02-04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349Y1 true KR200382349Y1 (ko) 2005-04-19

Family

ID=4368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502U KR200382349Y1 (ko) 2005-02-04 2005-02-04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3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10B1 (ko) 2010-10-06 2013-12-02 황규일 매립형 의자시스템
KR20200107185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지주용 접이식 의자
KR102172282B1 (ko) * 2020-02-06 2020-10-30 박영배 접이식 의자를 구비한 기둥조립체
CN114521757A (zh) * 2022-01-25 2022-05-24 深圳市华仕杰家居用品有限公司 折叠脚撑及柜子
US11548643B2 (en) 2020-12-21 2023-01-10 B/E Aerospace, Inc. Cabin attendant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pa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10B1 (ko) 2010-10-06 2013-12-02 황규일 매립형 의자시스템
KR20200107185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지주용 접이식 의자
KR102212490B1 (ko) * 2019-03-06 2021-02-04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지주용 접이식 의자
KR102172282B1 (ko) * 2020-02-06 2020-10-30 박영배 접이식 의자를 구비한 기둥조립체
US11548643B2 (en) 2020-12-21 2023-01-10 B/E Aerospace, Inc. Cabin attendant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pan
CN114521757A (zh) * 2022-01-25 2022-05-24 深圳市华仕杰家居用品有限公司 折叠脚撑及柜子
CN114521757B (zh) * 2022-01-25 2023-11-28 深圳市华仕杰家居用品有限公司 折叠脚撑及柜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KR20038234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JP2019535349A (ja) 可動浴槽組立体
JP2007032268A (ja) 調整可能便器
KR101040080B1 (ko) 벽면부착용 기능성 의자
JP2001149180A (ja) 折り畳み椅子
KR20033397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0414400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180044727A (ko) 의료용 침대텐트
KR101104787B1 (ko)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
KR20042432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102460261B1 (ko) 상하 이동식 안전 방충망
CN113374300B (zh) 一种多功能卫浴房
KR101734521B1 (ko) 접이식 간이 의자
KR100620779B1 (ko)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JP3240706U (ja) ドーム型テント
KR200258156Y1 (ko) 회동식 벽걸이 의자
KR20190042880A (ko) 휴게설치물
JP3216374U (ja) 移動可能な水洗トイレ
KR20190113404A (ko)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의자 겸용 테이블
RU2032051C1 (ru) Помещение обще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2004000444A (ja) ベッド装置
KR200300498Y1 (ko) 미끄럼틀이 부착된 도어
JP3322970B2 (ja) 一般家庭用介護用リフト及び介護用リフトシステム
KR20120002072U (ko) 다용도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4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