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2058Y1 -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58Y1
KR200382058Y1 KR20-2004-0034946U KR20040034946U KR200382058Y1 KR 200382058 Y1 KR200382058 Y1 KR 200382058Y1 KR 20040034946 U KR20040034946 U KR 20040034946U KR 200382058 Y1 KR200382058 Y1 KR 200382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river
sedimentary
pipe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34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의 수중 바닥면에 퇴적되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천(W)에는 수중 바닥 상부에 퇴적토(20)가 퇴적되는 바, 작업 바지선(30)에 설치된 퇴적토 흡입관(54)을 조정하여 더듬이 삽(56)이 퇴적토(20)에 인접하여 펌프(60)로 흡입한 후 운반선(90)에 퇴적토(20)를 적재하여 외부처리하므로 수중 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UNDERWATER SEDIMENTARY LAYER REMOVAL APPARATUS OF RIVER}
본 고안은, 하천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의 수중 바닥면에 퇴적되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은, 수중 바닥면에 우수에 의해 밀려내려오는 흙이 쌓이는 퇴적층이 형성되고, 상기 퇴적층에 의해 수중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하천을 관리하는 부서에서는, 매년 하천의 바닥에 대한 청소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청소 작업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천의 수중 바닥에 적층된 퇴적토를 효율적으로 운반선에 적재하여 외부로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고, 수중 생태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작업 바지선에는, 덱크 상부에 ㄷ형 기둥이 입설되고, ㄷ형 기둥 하부 중앙에 모노 레일이 형성되며, 상부 덱크 상에 와이어 조정 드럼이 설치되어 와이어가 모노 레일과 결합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활차의 하부 롤러에 결합되어 승,하강되고, 와이어가 자바라 배관의 앵커 고리에 고정되어 자바라 배관이 와이어 조정 드럼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되며, 자바라 배관의 끝에 절곡되는 형태로 퇴적토 흡입관이 연결되고, 퇴적토 흡입관의 말단에 더듬이 삽이 형성되어 퇴적토가 적층된 퇴적층에 위치되며,
상기 작업 바지선에는, 덱크 상에 형성된 덮개 케이싱의 내측에 자바라 배관과 연결된 펌프와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후방에 퇴적토 배출관이 연결되어 펌프의 작동에 따라 더듬이 삽에서 퇴적토가 퇴적토 흡입관, 자바라 배관 및 퇴적토 배출관을 통해 후방에 위치된 운반선에 퇴적토가 적재되어 퇴적토를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 제거정치의 퇴적토 흡입관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천(W)에는 수중 바닥 상부에 퇴적토(20)가 퇴적되는 바, 작업 바지선(30)에 설치된 퇴적토 흡입관(54)을 조정하여 더듬이 삽(56)이 퇴적토(20)에 인접하여 펌프(60)로 흡입한 후 운반선(90)에 퇴적토(20)를 적재하여 외부처리하므로 수중 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은, 덱크 후방이 ㄷ자 형태로 절개되고, 덱크 상부에 2개의 ㄷ형 기둥(32)이 입설되며, ㄷ형 기둥(32)이 중앙 폭을 가로지르도록 모노 레일(34)이 설치되고, 모노 레일(34)에 구동 롤러에 의해 모노 레일(34)을 따라 이동가능한 활차(38)가 설치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에 설치된 모노 레일(34)을 따라 활차(38)가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는 토목 공사에 자주 이용되는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에는 상부에 와이어 조정 드럼(36)이 설치되어 활차(38)의 하부 롤러(39)에 와이어(40)가 연결되어 승,하강조정되고, 와이어(40)의 끝에 형성된 앵커 고리가 자바라 배관(50)의 연결 고리(52)와 결합고정되어 와이어(40)의 조정에 따라 자바라 배관(50)의 높낮이가 조정되고, 자바라 배관(50)의 전방에 절곡되는 형태로 퇴적토 흡입관(54)이 연결되고, 퇴적토 흡입관(54)의 끝에 더듬이 삽(56)이 형성되며, 더듬이 삽(56)의 중앙에 말단 흡입구(58)가 퇴적토 흡입관(54)과 연결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에는 자바라 배관(50)의 다른 측에 펌프(60)와 모터(70)가 연결설치되어 덮개 케이싱(74)으로 보호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된 펌프(60)가 회전되면 그 흡입력에 의해 퇴적토(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되어 모터(70)와 연결된 퇴적토 배출관(80)을 통해 운반선(90)에 적재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과 운반선(90)에는 각각 앵커 고리(31)(91)가 형성되어 연결 고리(92)로 고정되어 작업중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하천(W)의 퇴적토(20)는 더듬이 삽(56)이 퇴적층에 근접한 상태에서 펌프(60)와 모터(70)의 작동에 따라 퇴적토 흡입관(54), 자바라 배관(50) 및 퇴적토 배출관(80)을 통해 배출되어 운반선(90)에 적재되게 된다.
즉, 상기 작업 바지선(30)에는,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 조정 드럼(32)과, 모노 레일(34)과 결합된 활차(38)에 와이어(40)가 연결되는 바, 와이어(40)의 승,하강에 따라 자바라 배관(50)이 승,하강되어 더듬이 삽(56)을 퇴적토(20)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뒤, 펌프(60)와 모터(70)의 작동에 따라 하천(W)의 수중 바닥에 형성된 퇴적토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작업 바지선(30)을 통해 하천(W) 수중 바닥의 퇴적토(20)가 외부로 배출되어 청소가 실시되는 관계로 수중 생태계를 개선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수중 바닥에 퇴적된 퇴적토를 효율적으로 더듬이 삽, 퇴적토 흡입관, 자바라 배관, 펌프, 모터, 퇴적토 배출관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빠른 수중 바닥의 청소가 가능하게 되어 청소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천 수중 바닥의 퇴적토 청소로 인하여 수중 생태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중 바닥 퇴적토 오염물질 제거정치의 퇴적토 흡입관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 하천 20: 퇴적토
30: 작업 바지선 32: ㄷ형 기둥
34: 모노 레일 36: 와이어 조정 드럼
38: 활차 40: 와이어
50: 자바라 배관 54: 퇴적토 흡입관
56: 더듬이 삽 58: 말단 흡입구
60: 펌프 70: 모터
80: 퇴적토 배출관 90: 운반선

Claims (1)

  1. 작업 바지선에는, 덱크 상부에 ㄷ형 기둥이 입설되고, ㄷ형 기둥 하부 중앙에 모노 레일이 형성되며, 상부 덱크 상에 와이어 조정 드럼이 설치되어 와이어가 모노 레일과 결합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활차의 하부 롤러에 결합되어 승,하강되고, 와이어가 자바라 배관의 앵커 고리에 고정되어 자바라 배관이 와이어 조정 드럼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되며, 자바라 배관의 끝에 절곡되는 형태로 퇴적토 흡입관이 연결되고, 퇴적토 흡입관의 말단에 더듬이 삽이 형성되어 퇴적토가 적층된 퇴적층에 위치되며,
    상기 작업 바지선에는, 덱크 상에 형성된 덮개 케이싱의 내측에 자바라 배관과 연결된 펌프와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후방에 퇴적토 배출관이 연결되어 펌프의 작동에 따라 더듬이 삽에서 퇴적토가 퇴적토 흡입관, 자바라 배관 및 퇴적토 배출관을 통해 후방에 위치된 운반선에 퇴적토가 적재되어 퇴적토를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KR20-2004-0034946U 2004-12-09 2004-12-09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382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46U KR200382058Y1 (ko) 2004-12-09 2004-12-09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46U KR200382058Y1 (ko) 2004-12-09 2004-12-09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58Y1 true KR200382058Y1 (ko) 2005-04-19

Family

ID=4368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946U Expired - Lifetime KR200382058Y1 (ko) 2004-12-09 2004-12-09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5132A (ja) * 2017-07-10 2019-01-31 岩夫 松原 浚渫構造体
CN114382121A (zh) * 2022-01-21 2022-04-22 广东广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河道装配式清淤船及其清淤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5132A (ja) * 2017-07-10 2019-01-31 岩夫 松原 浚渫構造体
CN114382121A (zh) * 2022-01-21 2022-04-22 广东广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河道装配式清淤船及其清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20B1 (ko) 수중 청소로봇
JP3895505B2 (ja) 沈殿物を収集移送する設備
CN105256808A (zh) 一种具有清淤系统的抛石船
CN104532895A (zh) 构筑物污泥清理装置
KR200382058Y1 (ko) 하천 수중 바닥 퇴적토 제거용 작업 바지선 구조
KR101725973B1 (ko) 준설 흡입과 배사 일원화 준설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준설 방법
KR20040079814A (ko) 배수처리장치
EP3647496B1 (en) System for cleaning heterogeneous sludge deposited in hydraulic facilities
JP2011052376A (ja) 下水用埋設管の清掃方法
CN104895006B (zh) 河道清於方法
JP2001214879A (ja) 掘削機能を備えた水中ポンプ用採泥ストレーナー。
KR101544196B1 (ko)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KR20060030086A (ko) 원격조정용 준설장치
KR101920880B1 (ko) 정화대상 수역의 저면 오염물 제거장치
CN117418584A (zh) 一种河道淤泥清理装置及清理船
JP2017002534A (ja) 底泥回収システム及び底泥回収方法
JP6810164B2 (ja) 浚渫用取込口構造体
JP2005220598A (ja) 河川底の堆積土砂清浄装置
KR101269978B1 (ko) 인공호수의 진흙, 뻘 및 침적물을 동시 제거하는 수중정화방법
JP2009022834A (ja) 水中及び水底に浮遊又は堆積する不要藻類、浮泥等を回収する装置
CN115354638A (zh) 适用于近岸区域浮藻及积淤物的收集系统及方法
CN110907228B (zh) 负压式水底污泥汲取头
CN113802639A (zh) 一种水利工程用的清理河道淤泥的系统及方法
JP2007330954A (ja) 濁らせずに長い範囲の沈澱物を回収除去する装置。
KR20080099092A (ko) 무준설반응형 현장원위치 퇴적토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11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