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1208Y1 -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208Y1
KR200381208Y1 KR20-2005-0002178U KR20050002178U KR200381208Y1 KR 200381208 Y1 KR200381208 Y1 KR 200381208Y1 KR 20050002178 U KR20050002178 U KR 20050002178U KR 200381208 Y1 KR200381208 Y1 KR 200381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temporary fixing
bolt
bolts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철
Original Assignee
(주) 국제이엔씨
한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국제이엔씨, 한용철 filed Critical (주) 국제이엔씨
Priority to KR20-2005-0002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받침의 하답(10)을 신규설치 및 교체할때 발생하는 공극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답(10)에 에어 홀(14)을 형성하였고, 스터드 볼트(11)의 위치를 작업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 체결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답(20)과 하답(10)의 대응하는 면(상면:相面)에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를 설치함으로써 상답과 하답을 손쉽게 안착시켜, 시공효율을 극대화시켜 시공성이 좋고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본트를 갖는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 갖는 교량받침 {omitted}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변위(상부 하중전달 및 온도변화 또는 충격하중 등)를 적절하게 받아주는 고무패드를 갖고,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해 교량받침의 휘어짐현상 또는 미세한 흔들림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인 하답의 공극현상을 신규설치(신설) 및 보수교체시 방지할 수 있는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답과 하답 사이의 대응하는 면에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를 설치하여 상답과 하답을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고 시공효율을 극대화시켜 시공성이 좋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교량받침은 교각과 다리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전달 및 온도 변화등에 따른 신축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교량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고, 교량받침의 종류도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다.
상기 교량받침은 교각에 스터드 볼트에 의해서 매입 설치되는 하답과, 교량상판으로 설치되는 상답 사이에 강재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이 있고, 상답과 하답 사이에 고무패드를 갖는 탄성받침이 개재된 것이 있다.
상기 교량받침 중, 교량에서 발생하는 신축,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을 흡수해주는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받침은 3가지 타입으로서 양방향 가동 타입과 일방향 가동 타입 및 양방향 고정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의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은 상답(1)과 하답(2)에 다리상판 및 교각에 각각 매설되어지는 스터드 볼트를 가지고 있고, 미끄럼판(강재 또는 고무판)을 가지는 고무패드(3)가 상답과 하답 사이로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무패드를 갖는 탄성받침을 가지는 교량받침은, 무수축 몰탈을 하답의 측면에서 공급 타설 및 신규 설치시에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하답과 교각 상면 사이에 공극(빈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말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가하여 교량의 노후화 및 차량의 이동 하중에 의해 하답이 부식 또는 변형 (휘어짐)이 일어나거나 무수축 몰탈의 심각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판을 인상시킨후 변형이 일어난 하답은 교각에서 분리해 낸 다음 새로운 하답을 안착시키는 유지보수를 하게 되는데,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공극이 발생하여 상술한 내용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답으로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가 용접되어 있는 것이어서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시 철근 간섭에 따른 위치 이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철근을 절단해낸 후 설치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고, 철근을 절단해 낼 경우, 교각의 내력과 내구성을 현저하게 약화시키게 된다.
부가하여 시공과정에서 상답과 하답의 정확한 안착이 어려워 고무패드가 밀리거나 찢어져서 본연의 패드 기능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받침의 하답을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할 때 발생하는 공극현상을 에어 홀을 통해 예방함과 동시에 스터드 볼트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시공시 스터드 볼트가 철근에 간섭되는 것을 해소 시킨 교량받침의 하답에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답을 정확하게 안착시켜 고무패드가 밀리거나 찢어져 받침 고유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답과 상답 사이에 개재된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에 일정무게 이상의 중량(구조물의 중량)이 가해지면 스스로 파손되어져 시공효율을 향상 시킨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 갖는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교각에 매설되어지는 스터드볼트(11)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공(13)들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공(13)과 연통하는 에어 홀(14)이 상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답의 쐐기가 내측에서 맞물림되는 쐐기(12)를 가지는 하답과, 교량상판으로 매설되는 스터드 볼트(21)를 상면에 가지고 저면에는 하답의 상면으로 설치된 쐐기의 내측에서 맞물림 되는 쐐기(22)를 가지는 상답(20) 및 상답과 하답 사이로 개재되는 고무패드(30)로 이루어진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답(10)과 상답(20)을 장착하였을 때 서로 상면(相面)하는 면의 네개소에 임시고정볼트 고정홈(15)(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시고정볼트 고정홈(15)(23)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의 하답(10)과 상답(20)을 임시 고정 시킴과 동시에 상부 슬라스 거치로 과중한 중량이 가해지면 자동 파손 제거되는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의 요부인 하답을 예시한 사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임시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교량받침을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예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임시고정볼트가 교량받침에 설치되는 상부 슬라브의 중량에 의해 자동 파손 제거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본 고안의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을 신설교량에 설치 및 노후화된 교량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받침과 교체하게 되며, 설치시 상답(20)과 하답(10)을 임시로 고정 및 지지되도록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를 설치하게 된다.
신설교량에 교량받침을 설치할 때에는 먼저 하답이 설치되는 부위를 치핑 (chipping:조각조각깨기)을 하게 된다.
치핑작업 후 청소가 마무리된 지점에 본 고안의 교량받침을 안착시킬 때에는 하답(10) 저면으로 형성된 볼트공(13)에 나사체결되는 스터드 볼트(11)를 하답이 설치되는 부위의 철근에 간섭없이 안착되어질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조립한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11)를 원하는 위치에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스터드 볼트(11)가 철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조절된 하답 (10)을 교량받침이 안착되는 장소에 위치시킨 다음 무수축 몰탈을 측방향에서 타설한다.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로 설치되어 있는 교량받침을 교체할 때에는 먼저 잭을 이용하여 상판을 인상시키게 된다.
잭에 의해 상판이 인상되어진 상태에서 교각에 매설되어 있던 교좌장치의 하답을 분리해 낸다.
노후화된 하답이 분리되어진 지점에 본 고안의 교량받침을 안착시킬 때에는 하답(10) 저면으로 형성된 볼트공(13)에 나사 체결되는 스터드 볼트(11)를 하답이 설치되는 부위의 철근에 간섭 없이 안착되어질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조립한다.
스터드 볼트(11)의 위치를 조절한 하답(10)에 상답(2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 하답(10)에 상답(20)을 조립할 때에는, 하답(10)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형성된 임시고정볼트 고정홈(15)에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의 일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답(20)을 얹져 조립하게 되고, 상기 하답(10)에 얹혀지는 상답(2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임시고정볼트 고정홈(23)에 상기의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의 나머지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스터드 볼트(11)가 철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조절된 하답 (10)을 노후화된 교량받침의 하답이 분리되어 움푹하게 파여진 교각의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무수축 몰탈을 측방향에서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에서 타설되어지는 무수축 몰탈이 외부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채워지게 되고, 무수축 몰탈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는 스터드 볼트(11)가 체결되어지지 않은 나머지 볼트공(13)을 거쳐 볼트공과 연통된 에어홀(14)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는 상부 슬라브(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가 안착되면 도4에서와 같이 파손되어지면서 자동 제거되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 갖는 교량받침은,
첫째, 하답에 에어 홀을 가지고 있어 무수축 물탈을 타설할 때 발생하는 공극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공극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휘어짐과 같은 하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공명현상(울림)에 의한 울림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무수축몰탈과 교각의 교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하답에 스터드 볼트가 스터드 용접되는 것이 아니고 나사조립되는 것이어서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시 철근들에 의한 간섭이 일어날 경우, 스터드 볼트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여 상,하답을 고정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안착과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교량신규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철근 절단 등에 의한 교각의 내력과 내구성 상실을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1은 종래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의 하답을 신규설치(신설) 및 유지보수하였을때 공극현상이 일어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드를 갖는 교량받침의 요부인 하답을 예시한 사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교량받침을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가 교량받침에 설치되는 상부 슬라브의 중량에 의해 안착되어지면서 자동 파손 제거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하답 11 : 스터드 볼트
13 : 볼트공 14 : 에어홀
15,23 : 임시고정볼트 고정홈 20 : 상답
30 : 고무패드 40 :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

Claims (1)

  1. 교각에 매설되어지는 스터드 볼트(11)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공(13)들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공(13)과 연통하는 에어홀(14)이 상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답의 쐐기가 내측에서 맞물림되는 쐐기(12)를 가지는 하답과, 교량 상판으로 매설되는 스터드 볼트(21)를 상면에 가지고 저면에는 하답의 상면으로 설치된 쐐기의 내측에서 맞물림 되는 쐐기 (22)를 가지는 상답(20) 및 상답과 하답 사이로 개재되는 고무패드(30)로 이루어진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답(10)과 상답(20)을 장착하였을 때 서로 상면(相面)하는 면의 네개소에 임시고정볼트 고정홈(15)(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시고정볼트 고정홈(15)(23)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의 하답(10)과 상답(20)을 임시 고정 시킴과 동시에 상부 슬라스 거치로 과중한 중량이 가해지면 자동 파손 제거되는 플라스틱 임시고정볼트(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 갖는 교량받침.
KR20-2005-0002178U 2005-01-24 2005-01-24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KR200381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78U KR200381208Y1 (ko) 2005-01-24 2005-01-24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78U KR200381208Y1 (ko) 2005-01-24 2005-01-24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208Y1 true KR200381208Y1 (ko) 2005-04-08

Family

ID=4368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78U KR200381208Y1 (ko) 2005-01-24 2005-01-24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83B1 (ko) 2006-08-25 2007-12-27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좌구조물의 무수축몰탈 완전충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83B1 (ko) 2006-08-25 2007-12-27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좌구조물의 무수축몰탈 완전충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680180B1 (ko) 교좌장치
KR100355091B1 (ko)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보강방법
KR100976405B1 (ko) 유지보수용 받침
KR10113342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KR200381208Y1 (ko)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 및 임시고정볼트를갖는 교량받침
KR101800790B1 (ko) 무진동 무폐기물 무소음 무변형 친환경 교량받침 교체공법
KR200367762Y1 (ko)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을 갖는 교량받침
KR100731788B1 (ko)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JP2003206510A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KR100788783B1 (ko) 교좌구조물의 무수축몰탈 완전충진구조
KR100941748B1 (ko) 분리형 오일리스 교량받침
JP3581691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KR102167032B1 (ko) 교체가 간편한 교량받침
JP3581349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200431150Y1 (ko) 교좌구조물의 무수축몰탈 완전충진구조
KR200354024Y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KR200378428Y1 (ko) 일체형 교좌장치
KR20060079395A (ko) 일체형 교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228389Y1 (ko) Pc빔을이용한다경간일체식교대교량의내진성증대및횡변위구속을위한교각용철근콘크리트전단블럭의구조
KR101962309B1 (ko) 교좌장치 교체 시공 방법
KR200226274Y1 (ko) 교량 슬래브 무수축 콘크리트의 타설이 없는 유지관리용 조립식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