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0948Y1 - 붐 카메라 크레인 - Google Patents

붐 카메라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48Y1
KR200380948Y1 KR20-2005-0001016U KR20050001016U KR200380948Y1 KR 200380948 Y1 KR200380948 Y1 KR 200380948Y1 KR 20050001016 U KR20050001016 U KR 20050001016U KR 200380948 Y1 KR200380948 Y1 KR 20038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ection
section frame
walk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원
Original Assignee
윤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원 filed Critical 윤석원
Priority to KR20-2005-000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4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붐 카메라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붐(100)을 이루는 복수개의 섹션프레임들은 횡단면이 삼각형 이고, 서로에 이웃하고 있는 섹션프레임(110a, 110b)들 간에는 커넥팅 커플링 수단(20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섹션프레임들은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상변(111)에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 세꼭지점부들에 관통구멍(115, 115; 11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섹션프레임은 기단측 3개의 꼭지점부들에 배치되어 선단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기단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기단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걸음봉(130, 130) 및 다른 하나의 걸음봉(1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음봉의 자유단인 기단들에는 서로 협력하여 쇄기부(120)을 유지하고 있는 유지구(131, 131; 14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음봉들 중에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상변(111) 양측에 배치된 걸음봉(130)의 기단에는 탄성출몰구(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걸음봉(140)의 자유단인 기단에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6)과 마주하게 되는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붐 카메라 크레인{boom camera crane}
본 고안은 카메라를 리프팅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화 또는 텔레비전 촬영시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붐 카메라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붐 카메라 크레인은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지지대 상에 배열되어 있는 붐으로서 커플링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진 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붐 카메라 크레인은 붐의 무게를 보상하는 시스템(즉, 평형추)을 가진 캔틸레버섹션프레임, 자유단에서 로프풀리를 가지고 있는 중앙지주 그리고 상기 풀리들에 걸쳐있고,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의 일단에 배열된 텐션기구와 연결된 일단과 커플링과 연결된 타단을 가진 텐션 와이어를 또한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베이스(2)가 구비된 지지부(1)를 가진다. 컬럼(3)이 베어링 유니트(4)에 의해 지지부(1)와 연결되어 컬럼(3)이 지지부(1)의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앙섹션프레임(5)은 상기 지지부(1)의 수직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베어링 유니트(6)를 통하여 컬럼(3)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인 기단섹션프레임(7)은 중앙섹션프레임(5)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붐 무게 보상요소인 카운터밸런스(8)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기구(9)가 상기 기단섹션프레임(7)상에 배열되어 있다.
조립된 중공붐(11)을 이루는 여러개의 섹션프레임들은 커넥팅 커플링(10)들에 의해 중앙섹션프레임(5)의 타단 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크레인은 중앙지주(12)를 가진다. 상기 중앙지주(12)의 자유단들은 텐션와이어(15)가 놓이는 가이드 롤러(14)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와이어(15)는 자유단에 근접한 선단섹션프레임에 고정된 일단을 가지고 있고, 텐션와이어(15)를 텐션시키는 텐션기구(9)에 고정된 타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중공붐(11)은 적어도 2개의 섹션프레임으로 조립될 수 있는 중공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20)를 가진 캐리지(19)는 붐(11)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중공붐(11)의 상에는 카메라(20)의 접속 케이블(21)이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은 붐 상에 카메라(20)의 접속 케이블(21)이 정렬됨 없이 놓이게 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붐을 이루고 있는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커넥팅 커플링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붐의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플링을 붐에 제공하면서, 카메라의 접속 케이블이 붐 내부에 삽입되게 할 수 있게 붐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지지대 상에 배열되어 있는 붐으로서 커플링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진 붐을 가지고 있는 붐 카메라 크레인으로서, 붐의 무게를 보상하는 시스템(평형추)를 가진 캔틸레버섹션프레임, 자유단에서 로프풀리를 가지고 있는 중앙지주 그리고 상기 풀리들에 걸쳐있고,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의 일단에 배열된 텐션기구와 연결된 일단과 커플링과 연결된 타단을 가진 텐션 와이어를 가지고 있는 붐 카메라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중공붐을 이루는 복수개의 섹션프레임들은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서로에 이웃하고 있는 섹션프레임들 간에는 커넥팅 커플링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섹션프레임들은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상변에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 세꼭지점부들에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섹션프레임은, 상기 커플링 수단의 구성요소로서, 기단측 3개의 꼭지점부들에 배치되어 선단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기단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기단이 자유단으로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걸음봉 및 다른 하나의 걸음봉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음봉의 자유단인 기단들에는 서로 협력하여 쇄기부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쇄기부는 상기 섹션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세꼭지점부들과 마주하는 부분들이 모따기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걸음봉들 중에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상변 양측에 배치된 걸음봉의 기단에는 탄성출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걸음봉의 자유단인 기단에는 상기 섹션프레임들의 결합시 상기 섹션프레임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마주하게 되는 나사가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에는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쇄기부는 상기 섹션프레임의 오목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탄성가압편이 출몰가능하게 심어져 있고, 상기 중공붐의 자유단에 해당되는 섹션프레임의 오목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으면서 삽입될 수 있는 단면 형상과 단면 크기를 가지고 있고, 텐션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부의 몸체부를 체결식으로 삽입고정하기 위한 지지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붐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중공붐(100)을 이루는 복수개의 섹션프레임들중에서 2개의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 중공붐(100)을 이루는 복수개의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섹션프레임들 모두는 전체적으로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서로 하기되는 커넥팅 커플링 수단(200)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커플링 수단(200)은 서로에 이웃하고 있는 섹션프레임(110a, 110b)들 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구조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의 중공붐(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유단에 더 근접한 부분을 선단이라고 언급될 것이며, 그리고 도 1의 카운터밸런스(8)에 더 근접한 부분을 기단이라고 언급될 것이다.
상기 각각의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은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상변(111)에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 세꼭지점부들에 관통구멍(115, 115; 116)들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프레임들이다.
상기 오목부(112)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1)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들 각각은, 커플링 수단의 구성요소로서, 기단측 3개의 꼭지점부들에 배치되어 선단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기단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기단이 자유단으로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걸음봉(130, 130) 및 다른 하나의 걸음봉(1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음봉(130, 130, 140)의 자유단인 기단들에는 유지구(131, 131; 14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구(131, 131; 141)들은 서로 협력하여 쇄기부(120)를 유지하고 있다. 이 쇄기부(120)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의 세꼭지점부들과 마주하는 부분들이 모따기처리되어 있다. 상기 모따기처리부(121, 121, 121)들은 상기 유지구(131, 131, 141)에 유지되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쇄기부(12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음봉(130, 130, 140)들 중에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상변(111) 양측에 배치된 걸음봉(130, 130)의 기단에는 탄성출몰구(150, 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출몰구(150, 150)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들 간의 결합시, 기단측에 배치된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5, 115)을 관통하여 탄성적으로 출몰할 수 있게 된다.
이 탄성출몰구(150)에 대한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탄성출몰구(150)은 중앙부에 플랜지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슬롯형 관통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부(153), 상기 로드부(153)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걸음봉(13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132), 상기 로드부(153)의 상기 슬롯형 관통구멍(152)에 삽입관통되는 핀부(154), 상기 핀(154)이 상기 슬롯형 관통구멍(152)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걸음봉(13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핀구멍(133), 그리고 상기 로드부(153)를 상기 수납부(13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출몰시키기 위해 상기 로드부(153)의 상단에 외접되어 상기 로드부(153)를 하단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5)을 포함하고 있다.
나머지 하나의 걸음봉(140)의 자유단인 기단에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의 결합시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6)과 마주하게 되는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구멍(116)을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142)에 볼트(180)를 체결하면, 상기 섹션프레임(110a)과 상기 걸음봉(140)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쇄기부(120)는 상기 섹션프레임의 오목부(112)와 마주하는 부분에 탄성가압편(170)이 출몰가능하게 심어져 있다. 상기 쇄기부(120)에 상기 탄성가압편(170)을 심기 위해, 상기 쇄기부(12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보어(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납보어(122)의 상단에는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탈방지편(123)이 내접되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탄성가압편(170)에는 상단부(171)와 하단부(172)가 직경이 상이하도록 하는 단차부(173)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73)가 상기 이탈방지편(123)에 의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납보어(122)와 상기 탄성가압편(170)의 하단부(172)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4)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붐(100)의 자유단에 해당되는 섹션프레임(110b)의 오목부(112)에는 상기 오목부(112)에 끼워맞춤될 수 있으면서 삽입될 수 있는 단면 형상과 단면 크기를 가지고 있고, 텐션 와이어(15)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부(145)의 몸체부를 체결식으로 삽입고정하기 위한 지지편(16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60)은 상부에 플랜지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의 오목부(112)에는 이에 상응하게 상기 플랜지부(16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슬릿형 홈(113, 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실시예의 중공붐의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은 서로 다음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먼저, 기단측에 배치된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과 선단측에 배치된 섹션프레임(110b)을 서로 맞닿음 시킨다.
이 때, 상기 섹션프레임(110b)의 기단에 구비되어 있는 걸음봉(130, 130; 140)의 자유단인 기단이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삽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음봉(130, 130; 140)들의 유지구(131, 131; 141)들에 의해 유지된 쇄기부(120)도 함께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삽입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걸음봉(130, 130)의 자유단인 기단에 구비된 탄성출몰구(150, 150) 및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42)을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5, 115, 116)에 맞춤하게 되고, 그 다음 볼트(180)를 체결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관통구멍(116)을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142)에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180)가 전진하여서 볼트(180)의 자유단이 상기 쇄기부의 모따기부(121)를 가압하여 상기 쇄기부(120)를 위로 가압하게 되고, 상변(111)의 양 꼭지부에 마주하고 있는 쇄기부(120)의 모따기부(121, 121)들은 상기 걸음봉(130, 130)에 접촉하게 됨과 함께, 탄성출몰구(150, 150)가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5, 115)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되게 되고, 상기 쇄기부(120)에 심어져 있는 탄성가압편(170)도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측에 위치된 오목부(112)의 바닥면과 탄성적으로 면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걸음봉(140)의 자유단인 기단부도 상기 섹션프레임(110a)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어, 상기 볼트(180)를 푸는 방향으로 돌리지 않으면, 상기 2개의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이 분리될 수 없을 정도로 확실하게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여러개의 섹션프레임들을 조립한 다음 붐의 자유단인 선단측에 배치된 섹션프레임의 오목부(112)에 지지편(160)을 삽입하고 삽입된 지지편(160)에 고리(145)를 체결하고, 체결된 고리(145)에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면, 중공붐(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 때, 와이어가 팽팽해지면, 고리(145)가 지지편(160)을 인장시키지만, 지지편(160)의 플랜지(161)와 상기 오목부(110)의 슬릿형 홈(113)이 서로 면접촉하고 있어, 지지편(160)이 상기 오목부(112)에 위치됨 없이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편(160)에 대하여 기단측에 위치된 오목부(112)에 카메라(20; 도 1에 도시됨)에 접속된 케이블(21)들을 삽입하면, 외관상으로 보기 좋게 케이블을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섹션프레임들의 결합해제는 상기 언급된 수순에 반대로 하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붐 카메라 크레인의 붐에 의하면, 붐 상에 카메라의 접속 케이블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어 외관상 보기 좋게 되고, 붐을 이루고 있는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에 대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붐 카메라 크레인의 붐을 이루고 있는 섹션프레임들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섹션프레임들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선(A-A)에서 본 단면도로서, 걸음봉이 기단측으로 이웃하는 섹션프레임의 선단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선(A-A)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4의 상태에서 쇄기부에 의해 이웃하는 섹션프레임들이 확실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선(B-B)에서 본 단면도로서, 지지편이 붐의 자유단에 배치된 섹션프레임의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은 상변에 배치된 걸음봉들의 자유단인 기단에 구비된 탄성출몰구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Claims (5)

  1.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지지대 상에 배열되어 있는 붐으로서 커플링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진 붐을 가지고 있는 붐 카메라 크레인으로서, 붐의 무게를 보상하는 시스템(평형추)을 가진 캔틸레버섹션프레임, 자유단에서 로프풀리를 가지고 있는 중앙지주 그리고 상기 풀리들에 걸쳐있고,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의 일단에 배열된 텐션기구와 연결된 일단과 커플링과 연결된 타단을 가진 텐션 와이어를 가지고 있는 붐 카메라 크레인에 있어서,
    중공붐(100)을 이루는 복수개의 섹션프레임들은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서로에 이웃하고 있는 섹션프레임(110a, 110b)들 간에는 커넥팅 커플링 수단(20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섹션프레임들은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상변(111)에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 세꼭지점부들에 관통구멍(115, 115; 11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섹션프레임은, 상기 커플링 수단의 구성요소로서, 기단측 3개의 꼭지점부들에 배치되어 선단이 상기 섹션프레임의 기단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기단이 자유단으로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걸음봉(130, 130) 및 다른 하나의 걸음봉(1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음봉(130, 130, 140)의 자유단인 기단들에는 서로 협력하여 쇄기부(120)을 유지하고 있는 유지구(131, 131; 14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쇄기부(120)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의 세꼭지점부들과 마주하는 부분들이 모따기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걸음봉(130, 130, 140)들 중에서 상기 섹션프레임의 상변(111) 양측에 배치된 걸음봉(130, 130)의 기단에는 탄성출몰구(150, 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걸음봉(140)의 자유단인 기단에는 상기 섹션프레임(110a, 110b)들의 결합시 상기 섹션프레임(110a)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16)과 마주하게 되는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116)을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142)에는 볼트(180)가 체결되며,
    상기 쇄기부(120)는 상기 섹션프레임의 오목부(112)와 마주하는 부분에 탄성가압편(170)이 출몰가능하게 심어져 있고,
    상기 중공붐(100)의 자유단에 해당되는 섹션프레임(110b)의 오목부(112)에는 상기 오목부(112)에 끼워맞춤될 수 있으면서 삽입될 수 있는 단면 형상과 단면 크기를 가지고 있고, 텐션 와이어(15)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부(145)의 몸체부를 체결식으로 삽입고정하기 위한 지지편(1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출몰구(150, 150) 각각은, 중앙부에 플랜지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슬롯형 관통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부(153), 상기 로드부(153)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걸음봉(13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132), 상기 로드부(153)의 상기 슬롯형 관통구멍(152)에 삽입관통되는 핀부(154), 상기 핀(154)이 상기 슬롯형 관통구멍(152)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걸음봉(13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핀구멍(133), 그리고 상기 로드부(153)을 상기 수납부(13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출몰시키기 위해 상기 로드부(153)의 상단에 외접되어 상기 로드부(153)를 하단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부(120)에는 수납보어(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납보어(122)의 상단에는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탈방지편(123)이 내접되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탄성가압편(170)에는 상단부(171)와 하단부(172)가 직경이 상이하도록 하는 단차부(173)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73)가 상기 이탈방지편(123)에 의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납보어(122)와 상기 탄성가압편(170)의 하단부(172)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4)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60)은 상부에 플랜지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섹션프레임의 오목부(112)에는 이에 상응하게 상기 플랜지부(16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슬릿형 홈(113, 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60)은 상부에 플랜지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섹션프레임의 오목부(112)에는 이에 상응하게 상기 플랜지부(16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슬릿형 홈(113, 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카메라 크레인.
KR20-2005-0001016U 2005-01-13 2005-01-13 붐 카메라 크레인 Expired - Lifetime KR20038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16U KR200380948Y1 (ko) 2005-01-13 2005-01-13 붐 카메라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16U KR200380948Y1 (ko) 2005-01-13 2005-01-13 붐 카메라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48Y1 true KR200380948Y1 (ko) 2005-04-07

Family

ID=4368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16U Expired - Lifetime KR200380948Y1 (ko) 2005-01-13 2005-01-13 붐 카메라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66156A (zh) * 2024-08-16 2024-09-20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吊车防碰撞警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66156A (zh) * 2024-08-16 2024-09-20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吊车防碰撞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0418A (en) Reeling device for cables
US4736855A (en) Display apparatus
RU2146021C1 (ru) Силовая цепь
JPH10201032A (ja) ケーブル受具へのケーブル布設方法、ケーブル受具装置及びケーブル受具
WO2003006349A3 (en) Portable wire spool caddy
KR200380948Y1 (ko) 붐 카메라 크레인
KR20020074470A (ko) 평평한 가요성 인장 부재용 종결부
KR102266791B1 (ko) 지지구조물인 다리부재와 보부재의 연결장치
JP4902882B2 (ja) 綜絖軸のための綜絖引き込み装置
JP5861682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ブームフットピン着脱装置
EP3815574B1 (en) Extendable table
US20220014001A1 (en) Adjustable Cable Support Structure
GB2120744A (en) Framework joints
KR101010910B1 (ko)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CN109371838B (zh) 整体式猫道变位钢架
KR100632918B1 (ko)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CN111960243A (zh) 一种吊具结构及架梁吊机
US20020116761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frames of a playpen
CN217300445U (zh) 一种人字梯的伸缩固定杆
CN220598165U (zh) 一种可调节式贝雷架
CN115490135B (zh) 一种镀锌工艺中适用于角钢类零件的吊具
GB2272176A (en) Modular constructional system
CN214419149U (zh) 一种连接器和张拉装置
JPH03313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11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