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796Y1 -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 Google Patents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0796Y1 KR200380796Y1 KR20-2005-0000586U KR20050000586U KR200380796Y1 KR 200380796 Y1 KR200380796 Y1 KR 200380796Y1 KR 20050000586 U KR20050000586 U KR 20050000586U KR 200380796 Y1 KR200380796 Y1 KR 2003807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dant
- necklace
- connecting tool
- fixing
-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용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펜던트를 취향이나 의상에 따라 착용시 서로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for a necklace,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wear a pendant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necklace in different forms when worn according to taste or clothing,
목걸이의 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펜던트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는 다수의 연결장식구를 형성하고, 그 연결장식구의 각 연결부분을 핀결합에 의해 연결하고,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각 연결장식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의 연결고리와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In the pendant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tring of the necklace, the pendant forms a plurality of connector, connecting each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by pin coupl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necto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position relates to a pendant for a necklace that can be de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pective link and fixing means.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걸이용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펜던트를 취향이나 의상에 따라 착용시 서로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형태 변형이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for a necklace, and more particularly, a pendant for a necklace that can be deformed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pendant used in combination with a necklace according to taste or cloth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목걸이(necklace)는 목이나 앞가슴을 장식하기 위하여 줄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 제작되는 보편적인 장신구의 일종으로서, 이는 미적 효과를 꾀하는 외에, 신앙상의 주술에 의한 것과,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 및 성별(性別)이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한 것 등과 같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In general, a necklace is a kind of universal ornament that is made in a line or ring shape to decorate a neck or a breast, which is not only intended for aesthetic effect but also by religious magic and to protect the neck part. It may als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o indicate gender or status.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목걸이는 단순하게 상기와 같은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에 따라 보다 화려하면서 잘어울릴 수 있도록 상기 목걸이의 줄에 여러 형태로 제작되는 펜던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necklace used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used for the above purposes, but also combined with a pendant made of various forms on the string of the necklace to match more colorful and well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clothing, There is a situation.
그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 등에 따라 여러 유형의 펜던트를 구비하여 필요한 상황에 따라 알맞게 연출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펜던트를 항시 준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pendant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costume, and several pendants were always prepared and used so that they could be appropriately produced according to the need.
그러나,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종래 펜던트의 경우에는 한번 제작된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조건을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 등에 따라 여러 개의 펜던트를 구비한 상태에서 그에 맞는 펜던트를 선택한 후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은 물론 여러 개의 펜던트 구입에 따른 많은 비용 또한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endant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necklace has a condition that the deformation is not made to another form itself in the state of manufacturing once, it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pendant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or clothing After choosing the right pendant, it was troublesome to use it in combination with the necklace, as well as the cost of purchasing multiple pendant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하나의 펜던트 자체를 필요한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s purpose is to be able to wear one of the pendant itself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necklace in a different form depending on the ne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ixing means to be easily removable by a simple structur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화려하면서 또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for a more colorful and transformed into another for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목걸이의 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펜던트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는 다수의 연결장식구를 형성하고, 그 연결장식구의 각 연결부분을 핀결합에 의해 연결하고,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각 연결장식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의 연결고리와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endant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tring of the necklace, the pendant forms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each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tool by connecting the pins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each of the connecting tool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ving a connecting ring and a fixing means.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 연결장식구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그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연결장식구에 형성되는 고정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tool, and a fix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ool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고정홀은 그에 착탈 고정되는 고정돌기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xing projection fixed to it.
상기 핀결합되는 연결장식구와 연결장식구 사이에 핀결합시 보조장식구를 포함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n-coupled and the decorative ornaments, including auxiliary accessories when the pin is coupl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in a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의 줄(W)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펜던트(1)에 있어서, In the pendant (1) to be selective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taste or clothing of the user by combining to the string (W) of the necklace as shown,
본 고안은 하나의 펜던트를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wear a pendant in a different form as needed,
상기 펜던트(1)를 원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다수의 연결장식구(10)를 형성하고, 그 연결장식구(10)의 각 연결부분을 통상적인 연결방식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핀결합에 의해 연결하고,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각 연결장식구(1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목걸리의 줄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고리(12)와 상기 일측과 타측의 각 연결장식구를 고정시 사용되는 고정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orm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 (10) to the pendant (1) is produced in the desired shape, and connected by pin coupling so that each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tool 10 can be rotated by a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An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each connecting tool 10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ixing means used when fixing each of the connecting ring 12 and the connecting tool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tring of the necklace It shows having 20.
상기 고정수단(20)은 사용자의 작은 가압에 의해 간편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연결장식구(1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2)와, 그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연결장식구(10)에 형성되는 고정홀(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means 20 is a fixing projection 22 formed on the one side connecting tool 10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can be made easily by a small pressure of the us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ool (10)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xing hole 24 formed in).
상기 고정홀(24)은 그에 착탈 고정되는 고정돌기(2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fixing hole 2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xing protrusion 22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hole 24, the fixing hole 24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in the fixed state by the user's pressure. It is preferable.
도 3a은 도 2에 따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따른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FIG. 3A is a princip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e state according to FIG. 2, and FIG. 3B is a princip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use state according to FIG. 2.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먼저 핀결합에 의해 다수의 연결장식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한 연결장식구(10)에 형성된 연결고리(12)로 목걸이의 줄(W)을 연결시키고,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한 연결장식구(10)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연결장식구(10)를 펼치 상태로 착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 10 is connected by a pin coupling, the connection ring 12 formed in the connecting tool 10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necklace To connect the line (W) of the, as shown in Figure 3a the state that can be worn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tool 10 in the unfolded state without connec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 It is shown.
그에 따라 핀결합되는 다수의 연결장식구(10)를 목걸이의 줄(W)에 연결하여 펼친 상태 그 자체의 펜던트(1)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necting ornaments (10) to be pinned to be connected to the string (W) of the necklace can be used as a pendant (1) in its unfolded state.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연결장식구가 펼쳐진 상태로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점쇄선과 같이 다수의 연결장식구(10)를 핀결합된 부분을 기점으로 절첩시키면서 일측과 타측 연결장식구(10)에 형성된 고정수단(20)인 고정돌기(22)와 고정홀(24)을 가압 고정함에 따라 상기 펼쳐진 상태의 펜던트 형태에서 도 3b에서와 같이 하나의 메달 등과 같은 형태의 변형된 상태의 펜던트(1)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ile wear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in the unfolded stat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and the other connecting decoration while fold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10, such as one-dot chain line to the starting point as the starting point As the fixing protrusion 22 and the fixing hole 24 which are the fixing means 20 formed in the sphere 10 are pressed and fixed, the deformed state of a shape such as one medal as shown in FIG. It can be worn as a pendant (1).
따라서, 하나의 펜던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펜던트를 착용하고자 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allowing one pendant to be worn in a state capable of changing its shape into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pendant can be selectively modified and worn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clothing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pendant is to be worn. You have a condi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according to FIG. 4.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펜던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연결장식구 사이에 그 펜던트를 제작시 보다 화려하면서 또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order to be able to be transformed into a more colorful and yet another form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endant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constituting the pendant,
상기 핀결합되는 연결장식구(10)와 연결장식구(10) 사이에 핀결합시 보조장식구(30)를 포함하여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The pin-coupled connection between the decoration tool 10 and the connection tool 10 is shown to include the auxiliary when the pin coupling 30 when connected.
그에 따라 상기 연결장식구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식구에 의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장식구(10)를 펼칠 경우에는 상기 보조장식구(30)가 별도의 메달 등과 같은 또 다른 펜던트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장식구(10)를 핀결합된 부분을 기점으로 도 4의 일점쇄선과 같이 절첩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장식구(30)가 그 연결장식구(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장식구와 보조장식구가 하나의 메달 등과 같이 일체형 형태로 형성되는 펜던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tool 10 is expanded by the auxiliary tool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tool, the auxiliary tool 30 has the same effect as another pendant such as a separate medal. When the connecting tool 10 is folded as shown in FIG. 4 with the dashed-dotted line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5, the auxiliary tool 30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ing tool 10. It is possible to have a pendant effect that the linking and auxiliary ornaments are formed in an integral form such as one medal.
따라서, 상기 연결장식구 사이에 보조장식구를 구비하므로서, 펼쳤다 접었하는 형태에 따라 여러 개의 펜던트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형태로의 형태 변형 또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providing the auxiliary tool between the connecting tool, not only can have a number of pendant effect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folded and folded, but also have a condition that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하나의 펜던트를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의 형태 변형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하나의 펜던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상 등에 따라 형태를 선택적으로 변형시켜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연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펜던트 구입에 따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wear a single pendant used by being coupled to a necklace in a different form as needed, and according to a user's taste or clothing by using a single pendant. As the shape can be selectively transformed and worn, it can not only have various effects, but als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multiple pendants.
또한, 고정수단을 간단하게 구성함에 따라 펜던트의 형태 변형에 따른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In addition, by simply configuring the fixing means has the effect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more quickly and simply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pendant.
또, 연결장식구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식구에 의해 펜던트 자체를 보다 화려하면서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ccessory itself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tool is a pendant to make the pendant itself more colorful, but also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variety of forms.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도 3a은 도 2에 따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Figure 3a is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Figure 2;
도 3b는 도 2에 따른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FIG. 3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according to FIG. 2; FIG.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Figure 4 is a mai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5 is a mai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use state according to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펜던트1: pendant
10 : 연결장식구10: connection tool
12 : 연결고리 12: link
20 : 고정수단20: fixing means
22 : 고정돌기 24 : 고정홀 22: fixing protrusion 24: fixing hole
30 : 보조장식구30: auxiliary tool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586U KR200380796Y1 (en) | 2005-01-08 | 2005-01-08 |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586U KR200380796Y1 (en) | 2005-01-08 | 2005-01-08 |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0796Y1 true KR200380796Y1 (en) | 2005-04-07 |
Family
ID=4368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05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0796Y1 (en) | 2005-01-08 | 2005-01-08 |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079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726Y1 (en) | 2011-10-24 | 2012-11-21 | 장영탁 | Floating decoration-part for accessory |
US20220079306A1 (en) * | 2021-11-23 | 2022-03-17 | Adam Joseph | Modular pendant |
-
2005
- 2005-01-08 KR KR20-2005-0000586U patent/KR20038079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726Y1 (en) | 2011-10-24 | 2012-11-21 | 장영탁 | Floating decoration-part for accessory |
US20220079306A1 (en) * | 2021-11-23 | 2022-03-17 | Adam Joseph | Modular pendant |
US11882909B2 (en) * | 2021-11-23 | 2024-01-30 | Adam Joseph | Modular penda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56620S1 (en) |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 |
JP3177051U (en) |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 |
KR200380796Y1 (en) | a shape changeable pendant for a necklace | |
KR200485628Y1 (en) | Necklace set capable of being assembled | |
KR20170037340A (en) | Necklace set capable of being assembled | |
JP3929055B2 (en) | Neck clothing | |
KR100916516B1 (en) | Ring and bracelet coupling device using lace | |
KR200269199Y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 |
JP3141402U (en) |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 |
KR200418731Y1 (en) | accessories | |
CN101564221A (en) | Ornament connection member using lace | |
JP3224771U (en) | Jewelry | |
KR101657456B1 (en) | Connector of personal ornaments for having different or same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 |
US20130000353A1 (en) | Colored accessory | |
KR100531179B1 (en) | Hanger of accessory for personal ornament | |
KR100916514B1 (en) | Necklace and earring coupling device using lace | |
KR200168567Y1 (en) | Personal ornaments | |
KR100760470B1 (en) | Trinkets incorporating bracelets, lanterns and rings | |
KR200463726Y1 (en) | Floating decoration-part for accessory | |
KR200363083Y1 (en) | Assessory for neckless | |
KR200325454Y1 (en) | Multi-purpose personal outfittings | |
KR200344401Y1 (en) | Buckle of accessory belt | |
KR101541477B1 (en) | Band joint | |
KR200289772Y1 (en) | Ornament | |
KR200462604Y1 (en) | Accesso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0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7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