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9501Y1 -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 Google Patents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501Y1
KR200379501Y1 KR20-2004-0035676U KR20040035676U KR200379501Y1 KR 200379501 Y1 KR200379501 Y1 KR 200379501Y1 KR 20040035676 U KR20040035676 U KR 20040035676U KR 200379501 Y1 KR200379501 Y1 KR 200379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mensional
display
subject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민
Original Assignee
엑스엠엘주식회사
임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엠엘주식회사, 임병민 filed Critical 엑스엠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5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50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도록 서로 다른 촬상방향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 입체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에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한눈에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Portable device having a capacity of 3D and 2D display }
본 고안은,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에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한눈에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단말기의 일예로써 휴대폰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된다. 이러한 휴대폰은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휴대폰과 폴더형 휴대폰 및 슬라이더형 휴대폰으로 나뉜다.
플립형 휴대폰은 디스플레이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버튼이 있는 본체부의 일부분만을 플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폴더형 휴대폰은 중앙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더형 휴대폰은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휴대폰은 단어 그대로의 의미로써 휴대할 수 있는 전화기를 가리키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단순한 전화기능 외에도 MP3 음악을 저장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기능과 더불어 카메라를 내장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카메라를 내장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에 있어서,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창에 디스플레이하면 단지 2차원(2D)으로만 표현될 뿐이다. 따라서 다양한 입체영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불리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에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입체형상을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에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한눈에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도록 서로 다른 촬상방향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 입체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광학판식 방법과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정보단말기란, 전술한 종류의 통상의 휴대폰을 포함하여, PCS, PDA, 스마트폰, 인터넷폰, CDMA폰, 노트북, 컴퓨터 및 이들에 장착가능한 부속물로써의 카메라장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라 정의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종류들 중에서 휴대폰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은, 크게 본체부(10)와 커버부(2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부(10)는 휴대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그 일면에는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의 복수의 입력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입력버튼(12)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송신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입력버튼(12)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20)의 일면에는, 입력버튼(1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22)과, 각종 기능버튼(24)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22)에는 이 외에도 전화번호, 배터리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등을 확인 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다.
커버부(20)에는 피사체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촬상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는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기 위해 각기 서로 다른 촬상방향을 갖도록 휴대폰에 배치된다. 물론, 이러한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는 줌인, 줌아웃 기능이 되어 피사체에 대해 이격 혹은 접근 촬상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은 휴대폰에 마련된 소정의 제어부(30)에 의해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된다. 그리고는 제어부(30)에 의해 디스플레이창(22)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창(22)에 표현되는 2차원(2D)의 평명영상이나 또는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피사체의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입체형상을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실감 있는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2차원(2D)의 평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창(22)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의 기능을 그대로 전용하기로 한다.
다만,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창(22)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30)는 다음의 실시예와 같은 수단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써 제어부(30)는 소정의 광학판식 방법으로써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창(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학판식 방법이란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의 촬상하여 표시하는 다시야 또는 다시점(Multiview)영상 방식이다.
다시야 영상 방식은 우리 두 눈을 움직여 가면서 물체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재생하므로 시청에 불편함이 줄어들게 된다. 특히 시점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이웃하는 시점 간에 있어 영상의 연속성이 증가되며, 궁극적으로는 현실에서 피사체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연속적인 3차원(3D) 영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학판식은 종류에 따라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광학판에 투사하는 투사식과, 광학판 밑에 영상을 배열해 놓은 접촉식이 있다. 입체와 다시야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접촉식의 대표적인 것은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이다. 렌티큘라 방식의 문제점은 조명광의 효율이 낮고 한 사람이상은 시청이 어렵다는 데 있다.
렌티큘라판에 의해 형성되는 시역은 판 상의 각원주형 렌즈로부터의 좌우 눈에 해당하는 상이 각각 따로 판의 전면 공간에 분포되지만, 실제 입체 또는 다시야 영상의 시청은 판의 중앙 부위에서만 가능하여 한 사람 이상의 시청은 어렵다.
그래서 다시점상을 표현하기 위해 다시점 렌티큘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렌티큘라 판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천연색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다는 데에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30)는 소정의 홀로그래피(Holographic)식 방법으로써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창(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이란 앞서 기술한 광학판식 방법에서 이용하는 피사체를 다른 시점에서 본 단면 영상을 합성하는 것과는 달리 피사체의 체적 형상(Volume Image)을 직접 기록한다.
즉,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image)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레이저 빔(Signal Beam)과 기준 빔(Reference Beam)을 상호 간섭 시켜서 발생하는 간섭무늬 (Interference Fringe)를 입체형의 결정체에 기록하는 데, 재생 시에는 기준 빔을 투사하여 기록된 간섭무늬를 역으로 읽는다.
이러한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은 다른 정보저장장치와 같이 비트(bit)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image)를 그대로 저장하므로 접속속도, 데이터 전송속도 등에 대하여 수[Gbps] 수준의 속도가 가능하며 기록용량에 있어서도 이론적으로는 테라바이트(tera byte)가 가능하다. 디스크보다 부피가 작고 외부의 충격이나 전자기장 등의 간섭에도 반응하지 않으므로 기록의 보관 능력이 탁월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휴대폰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자 하면, 각 기능버튼(24)들 중에서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촬상모드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피사체를 향해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를 동작시켜 해당하는 피사체를 촬상한다.
촬상된 데이터는 휴대폰 내의 메모리 등을 통해 저장된 후, 제어부(30)로 송신된다. 그러면, 제어부(30)에서 전술한 광학판식 방법과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한다. 변환방법은 상기의 설명을 따른다.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화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창(22)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촬상한 피사체의 형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입체형상을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기에 사실감 있는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카메라(26a~26c)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22)에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한눈에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가 광학판식 방법과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창(22)으로 디스플레이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위의 방법 외에도 공지된 다른 방법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가 커버부(20)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체부(10)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2개나 혹은 4개 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카메라(26a~26c)가 장착된 정보단말기를 그 예로 하고 있지만, 일반 휴대폰을 포함하여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상기의 기능을 갖는 장치를 필요에 따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정보단말기란 상기의 카메라들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창에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의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한눈에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제어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2 : 입력버튼
14 : 송신부 16 : 제어버튼
20 : 커버부 22 : 디스플레이창
24 : 기능버튼 26a~26c : 카메라부
30 : 제어부

Claims (2)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도록 서로 다른 촬상방향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2차원(2D)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 입체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학판식 방법과 홀로그래피(holography)식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3차원(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 정보단말기.
KR20-2004-0035676U 2004-12-15 2004-12-15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76U KR200379501Y1 (ko) 2004-12-15 2004-12-15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76U KR200379501Y1 (ko) 2004-12-15 2004-12-15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501Y1 true KR200379501Y1 (ko) 2005-03-18

Family

ID=4368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6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501Y1 (ko) 2004-12-15 2004-12-15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5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26B1 (ko) 2006-06-07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연속촬영 방법
KR20130002646A (ko) * 2011-06-29 201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4257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26B1 (ko) 2006-06-07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연속촬영 방법
KR20130002646A (ko) * 2011-06-29 201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12408B1 (ko) * 2011-06-29 2018-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4257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329U (ja) 3d及び/又は2d高品質ビデオ撮影、写真撮影、自撮り録画用のカメラシステム及び非電気的3d/マルチビデオ及び静止フレームビューアーと一体化される多目的携帯機器ケース/カバー
US8633989B2 (en) 3D camera phone
CN1685741B (zh) 带同时摄影多个图像功能的携带机器
US9380207B1 (en) Enabling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e mobile devices
CN100454977C (zh) 摄像头装置
JPH10108152A (ja) 携帯情報端末
CN113365013A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设备
KR20140060760A (ko) 어레이 카메라,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2540689A (zh) 摄像装置
US2017027826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2207050B2 (en) Camera microphone drainage system designed for beamforming
JP201203933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33476A (ja) 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KR20130132798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JP2001251403A (ja) 電話装置
KR200379501Y1 (ko)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능을 갖는정보단말기
JP2000078549A (ja) テレビ電話機能を有する移動体通信端末
JP2003241112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12027422A (ja) 撮像装置
US20240155255A1 (en) Image capture devices with reduced stitch distances
EP3969980B1 (en) Method and bendable device for constructing 3d data item
JP2011055043A (ja) 情報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0365465C (zh) 具有数字相机的双筒望远镜
KR101622220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6108883A (ja) ステレオカメラ付き携帯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