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8870Y1 -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 Google Patents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870Y1
KR200378870Y1 KR20-2004-0035575U KR20040035575U KR200378870Y1 KR 200378870 Y1 KR200378870 Y1 KR 200378870Y1 KR 20040035575 U KR20040035575 U KR 20040035575U KR 200378870 Y1 KR200378870 Y1 KR 200378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wrapping paper
line
cut line
latt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임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규 filed Critical 임재규
Priority to KR20-2004-0035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8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상품이나 제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에 있어, 특히 일정크기를 갖는 종이재 포장지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갖는 격자상 절취선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은 연속 형성된 작은 직경의 타공으로 형성함으로서,
포장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칼이나 가위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절취선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취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정확한 크기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그 포장지의 낭비를 방지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Package paper with checkered line to cut}
본 고안은 각종 상품이나 제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에 있어, 특히 대형의 포장지 전체에 격자상의 절취선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목적하고자 하는 상품의 포장시 필요한 크기만큼의 포장지를 용이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칼이나 가위등이 없이도 편리한 절취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그 절취선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여 정확한 크기로의 절취가 가능하여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에 대한 것이다.
포장지는 문구점이나 팬시점, 백화점 등의 매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각종 상품 및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종이재의 시트지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장지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크기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이를 원하는 크기로 잘라 사용하는 것으로서, 포장하고자 하는 상품 및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그 포장지는 칼이나 가위 등으로 잘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칼이나 가위를 이용하여 그 포장지를 필요한 크기로 잘라 사용하는 경우 정확한 크기로 자르지 못하거나 비뚤어지게 자르는 경우에는 그 포장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부분 필요 이상 크게 잘라 사용하므로 매우 비합리적이며, 칼이나 가위 등 대형의 포장지를 잘라내기 위한 도구가 없을 경우에는 매우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크기를 갖는 종이재 포장지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갖는 격자상 절취선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은 연속 형성된 작은 직경의 타공으로 형성함으로서,
포장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칼이나 가위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절취선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취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정확한 크기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그 포장지의 낭비를 방지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포장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대형의 포장지(1)의 전면에, 평면상 가로, 세로방향으로 된 격자상의 절취선(2)(2')을 형성하되,
그 절취선(2)(2')은 연속 형성된 타공(3)(3')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제품 등을 포장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완성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한 절취선(2)(2')이 노출되는 단점이 있으나, 그 절취선(2)(2')은 포장지의 디자인 및 포장형태에 영향을 끼칠정도가 아니라 미세한 타공(3)(3')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그 상품 및 제품의 포장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즉, 상기한 포장지(1)를 형성함에 있어, 비교적 넓은 대형의 종이재 시트지를 형성하고, 그 시트지의 일면에 인쇄층을 형성한 다음 롤러방식 또는 프레스 방식을 통한 절취선(2)(2')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그 절취선(2)(2')은 연속 형성된 타공(3)(3')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의 절취선(2)(2')은 격자상으로 교차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로 절취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인데, 절취하고자 하는 부분의 절취선 양측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려 잡아 당기면 그 타공(3)(3') 부분이 절취되며 편리하게 잘라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절취선(2)(2')의 간격은 원하는 간격을 갖도록 다양하게 절취선(2)(2')을 형성하여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길이를 갖도록 절취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그 포장지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동일한 크기를 갖는 포장지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절취해 놓을 수 있기도 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는, 상품을 포장하기 위해 그 포장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칼이나 가위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절취선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취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정확한 크기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그 포장지의 낭비를 방지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지의 일부 절취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포장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장지 2,2' : 절취선
3,3' : 타공

Claims (1)

  1.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대형의 포장지(1)의 전면에, 평면상 가로, 세로방향으로 된 격자상의 절취선(2)(2')을 형성하되,
    그 절취선(2)(2')은 연속 형성된 타공(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KR20-2004-0035575U 2004-12-15 2004-12-15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378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75U KR200378870Y1 (ko) 2004-12-15 2004-12-15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75U KR200378870Y1 (ko) 2004-12-15 2004-12-15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870Y1 true KR200378870Y1 (ko) 2005-03-16

Family

ID=4368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8870Y1 (ko) 2004-12-15 2004-12-15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24Y1 (ko) * 2011-09-05 2012-03-22 김인식 필름형 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24Y1 (ko) * 2011-09-05 2012-03-22 김인식 필름형 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11555A (es) Metodo de producto de envoltura.
RU2006123086A (ru) Обертывающи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изделий личной гигиены, имеющий сенсорную метку для открывания
US20090127322A1 (en) Gift Wrapping Material and Method
ATE31693T1 (de) Zuschnitt fuer einen verpackungsbehaelter und ein aus dem zuschnitt hergestellter verpackungsbehaelter.
US20070084322A1 (en) Apparatus for cutting a line of perforation in a fabric
JP3200556U (ja) 複合膜補助帯
KR200378870Y1 (ko) 격자상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
US20060042051A1 (en) Strips of clips and clip
SE0004356D0 (sv) Method for providing opening devices directly on a packaging material web for pourable food products and a package obtained thereby
DE60200464D1 (de) Maschine zum Verpacken von Stapeln von Produkten aus Papier oder dergleichen in Umhüllungszuschnitten
JP3724931B2 (ja) 開封部付圧縮物品用包装袋
PT1680331E (pt) Faixa decorativa, embalagem alimentar integrando uma tal faixa e processo para fabricação da mesma
KR200221959Y1 (ko) 젓가락 포장대를 만들기 위한 포장지
CN212288931U (zh) 一种防止包装盒的盒盖翘起的折痕结构
JP3966854B2 (ja) 結束用テープ
JP5174884B2 (ja) 薬剤分包体、薬剤分包体製造用刃体、薬剤分包体製造装置
KR200298313Y1 (ko) 포장용 비닐봉투
KR200352184Y1 (ko) 김 포장용기
EP0680822B1 (en) Method for making packaging of great length
KR20210082716A (ko)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인쇄용지
KR970061723A (ko) 이동 · 재부착 점착제를 도포한 껌포장용지의 롤 (Roll)
JP3656139B1 (ja) 包装用台紙
KR930005524A (ko) 꽃포장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2128170A (ja) フラワーラッピング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55002Y2 (ja) 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