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7173Y1 -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 Google Patents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73Y1
KR200377173Y1 KR20-2004-0035795U KR20040035795U KR200377173Y1 KR 200377173 Y1 KR200377173 Y1 KR 200377173Y1 KR 20040035795 U KR20040035795 U KR 20040035795U KR 200377173 Y1 KR200377173 Y1 KR 200377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bolt
indicator
pi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민
권태희
성기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20-2004-0035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7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홀을 가진 볼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 핀홀을 가진 볼트의 사용시, 주변부품에 의해 핀홀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경우나 협소한 작업공간에 의한 제약이나 작업 시 부득이하게 핀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 핀홀의 위치와 방향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은데 이런 일이 자주있고 이로 인해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핀홀이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 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하단면에 핀홀 방향과 일치하는 핀홀 표시부를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핀홀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A drilled Bolt having indicator for pin hole}
본 고안은 핀홀을 가진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트 장착시 핀홀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핀홀의 위치 및 방향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나사를 응용한 결합용 기계요소로서, 조립과 분해가 쉬우므로 기계 부품의 결합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핀(pin)은 작은 힘이 걸리는 2개 이상의 기계부품의 결합용으로 사용된다. 즉, 핸들을 축에 고정할 때, 부품의 설치, 분해 및 조립을 하는 부품의 위치결정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홀(1)을 가진 볼트(drilled bolt)가 있는데, 이러한 볼트의 구조는 헤드부, 네크부(축부)(3) 및 나사부(2)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나사부(2)에 핀홀(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수동제어가 불가한 위성체(인공위성)나 사람의 안전이 중요한 자동차등의 진동이 심하거나 절대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상태가 풀려서는 안되는 중요한 부품의 체결에 사용된다.
상기한 핀홀(1)을 가진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는 캐슬너트(castle nut)가 쓰이는데, 캐슬너트는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방사상의 홈을 내고 미리 볼트의 나사부에 뚫어진 핀홀에 상기 홈을 맞춘뒤 양자에 핀을 삽입해서 고정시키는 너트이다. 이러한 캐슬너트로는 주로 육각너트가 쓰이고, 각 육각면의 상면에 캐슬너트 풀림방지용 코터핀(cotter pin)이나 스플릿핀(split pin:분할핀) 수납용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육각너트의 상면에 원통을 형성한 뒤, 원통형에 상기 코터핀이나 스플릿핀을 사용하기 위한 오목홈을 형성한 것 등이 있다.
이렇게 캐슬너트가 주로 사용되지만 일반 육각너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핀홀을 가진 볼트의 사용시, 주변부품에 의해 핀홀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경우나 협소한 작업공간에 의한 제약이나 작업 시 부득이하게 핀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 핀홀의 위치와 방향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은데 이런 일이 자주있고 이로 인해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볼트의 용도와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작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핀홀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여 핀홀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 사용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핀홀이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 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하단면에 핀홀 방향과 일치하는 핀홀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나사부(2)의 끝단 바닥면에 핀홀 표시부로써 오목홈(4)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핀홀(1)이 형성된 나사부(2)를 가진 볼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의 하단면에 핀홀 방향과 일치되게 나란히 핀홀 표시부를 형성하되, 이 핀홀 표시부를 핀홀(1) 길이방향의 도랑형 오목홈(4)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오목홈(4)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돌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기타 어두운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핀홀(1)을 찾을 수 있도록 야광액을 상기 오목홈(4)에 도포하는 등의 야광표시를 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기계부품을 결합할 때, 볼트를 기계부품에 체결한 후에 캐슬너트를 핀홀(1) 아래까지 체결하여 코터핀이나 스플릿핀을 상기 핀홀(1)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부득이하게 핀홀(1)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핀홀 표시부인 오목홈(4)이 볼트를 체결하는 방향인 나사부(2)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시야에 곧 바로 들어오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핀홀(1)의 위치 및 방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기술한 본 고안인 나사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를 작업현장에서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핀홀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볼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핀홀 2 : 나사부
3 : 네크부 4 : 오목홈

Claims (4)

  1. 핀홀이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 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하단면에 핀홀 방향과 일치하는 핀홀 표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홀 표시부는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홀 표시부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홀 표시부에 야광표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KR20-2004-0035795U 2004-12-16 2004-12-16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Ceased KR200377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95U KR200377173Y1 (ko) 2004-12-16 2004-12-16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95U KR200377173Y1 (ko) 2004-12-16 2004-12-16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73Y1 true KR200377173Y1 (ko) 2005-03-14

Family

ID=4367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95U Ceased KR200377173Y1 (ko) 2004-12-16 2004-12-16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7955B1 (en) A fluid operated torque tool for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nut on a plate on railroad crossings
BR0206972A (pt) Porca de união para aparafusamento de elementos de construção em um componente semelhante à placa
KR200377173Y1 (ko) 핀홀 표시부를 가진 볼트
JPH0684017U (ja) 固いねじ締付け装置
JP4268253B2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JP2003042128A (ja) 緩み止めナ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緩み止め締め付け構造
CN107218286B (zh) 紧固套件
JP3711395B2 (ja) 共回り防止キャップ
KR100812882B1 (ko) 체결구
JP3629660B2 (ja) 緩み防止ナット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KR200343780Y1 (ko) 로크너트
JP3144051U (ja) 緩み止め特殊ナット
KR200373671Y1 (ko) 회전방지 기능을 가지는 볼트
RU2253050C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335772Y1 (ko) 조립식앵글용 볼트와 너트
KR102360959B1 (ko) 고정안정성 증대를 위한 체결요소
KR200247630Y1 (ko) 인장 컨넥터 유니트
KR200253754Y1 (ko) 앵커볼트 덮개
JP2010248906A (ja)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固定装置
KR200309465Y1 (ko) 체결볼트
JPH10220279A (ja) エンジン構造
KR200391996Y1 (ko) 다이스공을 일체로 한 산업용 클램프
KR200353287Y1 (ko) 가드레일 연결용 볼트
KR200319693Y1 (ko) 기둥 및 보의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