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6584Y1 -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 Google Patents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584Y1
KR200376584Y1 KR20-2004-0033668U KR20040033668U KR200376584Y1 KR 200376584 Y1 KR200376584 Y1 KR 200376584Y1 KR 20040033668 U KR20040033668 U KR 20040033668U KR 200376584 Y1 KR200376584 Y1 KR 200376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d
heat exchanger
plate
heat exchange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명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이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이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이솔리
Priority to KR20-2004-0033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58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10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3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varying the geometry or cross-section of heade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교환의 능력을 높이고, 이상 압력에 따른 수격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열교환판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에 의하면,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가열, 피가열플로우홀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꺽인 헤링본이 배치된 후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과, 상기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의 선, 후단에 블레이징 처리되어 마감되는 상,하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피가열플로우홀이 서로 교차되어 연통된 것을 마감하는 상기 하프레임에는 수격방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수격방지돌기로 인해 충돌하중으로 인한 열교환판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교환판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아 열교환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작용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Structure of plate heat exchange for Platetype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에 적용되는 유로(流路)를 개선하여 작동유체의 흐름 및 분산을 원활하게 하고, 열교환시 발생하는 작동유체의 수격현상을 최소화시킨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킨 다음 그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러한 보일러에 적용되는 열교환기는 난방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고온의 가열유체로부터 저온의 피가열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특히, 열교환기 중에 구조가 가장 간단하고 소형 경량인 판형 열교환기는 평판에 V자형 패턴모양의 헤링본(Herringbone)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열교환판을 전열면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통해 열 교환한 후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판이 다중으로 적층된다.
공지의 예로서, 도 1은 위에서 설명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판형 열교환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로, 이것은 다중으로 적층된 열교환판(1)과 이들 전후에 장착되어 내부로 순환하는 가열유체와 피가열유체를 밀폐하는 커버(2)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열교환판(1)에는 판형 열교환기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V자형 패턴 모양의 헤링본(1c)이 다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곽으로는 가열플로우홀(1a)과 피가열플로우홀(1b)이 관통되어 있으며, 커버(2)에는 가열유체와 피가열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가열포트홀(2a)과 피가열포트홀(2b)이 형성되어 있다.
누구라도 알 수 있듯이, 다중으로 형성된 헤링본(1c) 사이로 가열유체 또는 피 가열유체가 순환됨을 알 수 있고, 이것은 가열, 피가열포트홀(2a,2b)과 연통된 가열, 피가열플로우홀(1b,1c)을 통해 유입되거나 유출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렇게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가열유체 또는 피 가열유체는 적층된 열교환판(1)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면서 순환하게 되고, 이때 가열유체의 열을 피가열유체로 전달시켜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는 커버(2)의 가열, 피가열포트홀(2a,2b)에 유입된 후 열교환판(1)의 가열, 피 가열 플로우홀(1b,1c)을 통과 한 다음 다른 열교환판(1) 또는 후방에서 마감된 커버(2)의 내측에 부딪치게 되고, 여기에서 흐름이 바뀌어 다시 가열, 피가열포트홀(2a,2b)로 유출된다.
이때,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는 가열, 피가열포트홀(2a,2b)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판(1) 또는 커버(2)와 수직으로 충돌하거나,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 유체의 진행에 따른 충격파에 의해서 수격현상 즉, 워터 해머(Water hammer)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격현상은 유로내의 유체 속도 변화로 인하여 유체의 압력이 상승 또는 강하 하는 현상으로 대단히 큰 충격파가 발생하여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수격현상으로 열교환기 내의 압력손실은 당연히 발생하게 되고, 반복되는 충격 또는 충격파에 의해서 용접으로 적층된 열교환판(1)에 균열 또는 변형이 일어나며, 특히 용접부위에 크랙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최소한의 압력손실과 수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판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기 위한 열교환판의 이상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열교환판의 이상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종래의 후방 커버를 대체 하는 하프레임과 이에 일체로 형성된 수격방지돌기를 제공하고, 가열 또는 피가열유체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블레이징 처리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열 교환되는 동일한 면적에서 최대의 전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헤링본을 다양하게 개량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가열, 피가열 플로우홀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꺽인 헤링본이 배치된 후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과, 상기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의 선, 후단에 블레이징 처리되어 마감되는 상,하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피가열플로우홀이 서로 교차되어 연통된 것을 마감하는 상기 하프레임에는 수격방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 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 헤브론은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가열플로우홀의 대각선 방향의 중심선에서 유출되는 상기 피가열플로우홀 방향으로 95°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브론은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가열플로우홀의 대각선 방향의 중심선에서 유출되는 상기 피 가열 플로우홀 방향으로 95°의 각도로 형성되되, 다수개로 배열되어 전열면적을 넓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열플로우홀과 피가열플로우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는 플렌지부는 그 단차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가열유체 내지 피가열유체가 유동하고, 상기 플렌지부는 교차 적층되는 열교환판의 표면과 브레이징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격 방지 돌기에는 열교환판과 브레이징 처리되는 만곡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도 1에 예시된 명칭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판형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는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가열, 피가열플로우홀(1a,1b)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으로 헤브론(1c)이 배치된 후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1)과, 상기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1)의 선, 후단에 장착되어 브레이징 마감되는 상,하프레임(3,4)으로 이루어진 판형 열교환기(10)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피가열플로우홀(1a,1b)이 서로 교차되어 연통된 것을 마감하는 상기 하프레임(4)에는 수격 방지 돌기(4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해서 설명되는 가열 유체는 미 도시된 보일러 등 열원에 의해서 공급되는 온의 난방수이고, 피가열유체는 난방수의 열원보다 낮은 온도로 공급되는 온수로 정의하나, 이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물 또는 물 및 증기, 각종 냉매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는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1)의 전면으로 상 프레임(3)이 설치된다.
상 프레임(3)에는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가열, 피가열포트홀(2a,2b)이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본 고안의 실시 예 에서는 가열포트홀(2a)과 피가열포트홀(2b)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 프레임(3)의 저면방향으로는 열교환판(1)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고, 가열, 피가열플로우홀(1a,1b)이 전술한 상 프레임(3)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며, 특히 상 프레임(3)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열교환판(1)은 가열포트홀(2a)과 가열플로우홀(1a)이 서로 동일 축선 상에서 연통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다시, 상 프레임(3)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열교환판(1)의 하측에 위치하는 열교환판(1)은 전술한 가열포트홀(2a)과 가열플로우홀(1a)이 서로 엇갈리도록 즉, 가열포트홀(2a)와 피가열플로우홀(1b)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열교환판(1)의 배치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10)가 완성되는 길이까지 상호 교차시켜 적층시킨 후 브레이징 처리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이렇게, 용접의 일종인 브레이징 처리를 하는 것은 유동하는 압력과 유입시 발생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열플로우홀(1a)에는 플렌지부(1a')가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플로우홀(1a)의 플렌지부(1a')와 피가열플로우홀(1b)이 교차 적층된 후 브레이징 처리되어 있는 것을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로, 플렌지부(1a')의 단차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공간(A)으로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가 유동함을 알 수 있고, 가열 또는 피가열유체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만 한정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플로우홀(1a)의 플렌지부(1a')와 피가열플로우홀(1b)이 교차 적층된 것을 보인 도 2의 B-B선 단면도로, 도 4에서 연속된 후 플렌지부(1a')의 단차에 의해 한정된 유로인 내부 공간(A)으로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가 피가열플로우홀(1b)을 통해 유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열교환판(1)의 표면에 형성되는 헤링본(1c)과 하프레임(4)에 적용된 수격 방지 돌기(4a)에 대하여 설명하고 싶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헤링본(1c)은 통상적으로 넓은 각도(B: 110°-130°)를 가지고 있으며, 각도가 클 수록 작은 난류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달 계수가 작고 압력 손실도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판형 열교환기의 목적인 한정된 면적에서 열 교환 능력을 최대한 증가시키고, 유로에 적당한 저항을 주어 소 유량 및 대 유량 에서의 열 교환 능력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헤링본(1c)의 각도(B)는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대각선 방향의 가열플로우홀(1a)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하여 유출되는 피가열플로우홀(1b) 방향으로 95°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넓은 각도(B)로 인한 압력손실은 실제로 열전달을 일으키는 필요불가결의 요소이고, 압력 손실의 크기는 가열 유체 또는 피가열유체가 유동하면서 흐르는 유로인 내부 공간(A)의 길이 당 유량의 제곱에 비례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는 저 유량으로 유동하므로 전술한 압력손실은 충분히 상쇄될 뿐만 아니라, 헤브론(1c)의 각도에 의해서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는 원활한 유동을 수행하고, 특히 전열 면적이 넓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레임(4)에 적용된 수격방지돌기(4a)를 보인 평면도 및 도 2의 C-C선 단면도로, 그 형상은 부채꼴 모양의 방사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열교환판(1)과의 결합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수격방지돌기(4a)는 유입된 피가열유체가 수직으로 충돌하는 부위로서, 특히 가장 큰 압력과 충돌하중을 받으므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평판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비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유동되는 압력 내지 충격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형상은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격 방지 돌기(4a)의 형상을 다시 살펴보면, 중심(C)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격방지돌기(4a)가 배치되어 있다.
중심(C)을 기준으로 그 단면을 보면, 상향으로 완만하게 올라가면서 만곡점(W)에서 정점을 이룬 후 다시 급격하게 하향으로 내려와 중심(C)과 동일 평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만곡점(W)은 열교환판(1)과 서로 브레이징 처리되어 접합되는 곳으로, 열교환판(1)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상 프레임(3)과, 다수개로 적층되는 열교환판(1)과, 열교환판(1)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프레임(4)이 서로 브레이징 처리되어 결합된 후 견고한 판형 열교환기(10)를 이루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의 유입 또는 유출 흐름을 나타낸 작동상태를 사시도로 표현한 것이고, 도 8은 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흐름을 단면도로 보인 것이고, 도 9는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흐름을 단면도로 보인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작동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미도시된 보일러의 주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는 미도시된 삼방밸브를 지나 가열포트홀(2a)을 통과하여 본 고안이 적용된 판형 열교환기(10)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가열유체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가열플로우홀(1a)과 피가열플로우홀(1b)을 차례로 통과하여 유로인 내부공간(A)으로 흐르거나 최종적으로 하프레임(4)과 충돌한다.
이때, 충돌된 가열 유체는 전술한 플렌지부(1a')와 열교환판(1)과의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이미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충격하중을 견디면서 열교환판(1)의 내부공간(A)을 순환한 후 유입된 가열포트홀(2a)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가열포트 홀(2a)로 유출된다.
다시, 피가열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피가열유체는 피가열포트홀(2b)을 통과한 후 차례로 피가열플로우홀(1b)과 가열플로우홀(1a)을 통과한다.
이렇게 통과될 때, 선행하여 통과되는 가열유체의 열은 열교환판(1)을 통해 전열되고, 전열된 열은 피가열유체에 다시 전열되어 피가열유체는 이러한 열 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계속하여 반복되는 열 교환을 통해 피 가열유체는 열 교환된 온도를 가지고, 열교환전의 피 가열유체가 유입된 피가열포트홀(2b)과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 피가열포트홀(2b)로 유출된다.
한편, 유입되는 피가열유체는 유입 후 하프레임(4)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격방지돌기(4a)와 충돌하게 된다.
누구라도 알 수 있듯이, 충돌된 피가열유체는 당연히 상당한 충격하중과 충돌 후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수격방지돌기(4a)에 의해서 피가열유체의 충격하중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거나, 완만한 경사와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에 의해 충격하중을 감쇄하고, 특히 전술한 충격하중에 의해서 파손되는 열교환판(1)은 수격방지돌기(4a)의 만곡점(W)과 열교환판(1)과의 브레이징 처리에 의한 견고한 결합으로 감쇄된 충격하중을 충분히 결딜 수 있다.
그리고 다중으로 적층된 열교환판(1) 역시, 상호 브레이징 처리되어 그 결합강도를 더욱 상승시켜 어떠한 충격하중이 존재하더라도 열교환판(1)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다중으로 적층되어 결합된 열교환판(1)과 유체의 충격하중을 감쇄할 수 있는 수격방지돌기(4a), 전열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헤링본(1c)을 제공하여, 파손 또는 손실 없는 열 교환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판형 열교환기의 고장 또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 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가열포트홀(2a)과 피가열포트홀(2b)을 서로 병렬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가열유체를 피 가열포트 홀(2b)로 피 가열유체를 가열포트 홀(2a)로 유입시킬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격방지돌기(4a)를 다양한 형상과 갯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링본(1c)의 간격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열 교환 면적을 확대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참 정신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 예는,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에 의하면, 열교환판(1)에 일체로 형성된 헤링본(1c)의 각도를 한정하여 열 교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배치 간격을 좁게 하여 전열 면적을 늘여 단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수격방지돌기(4a)로 인해 충격하중으로 인한 열교환판(1)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력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교환판(1)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아 열교환기의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판형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판형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플로우홀의 플렌지부와 피가열플로우홀이 교차 적층된 후 브레이징 처리되어 있는 것을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플로우홀의 플렌지부와 피 가열 플로우홀이 교차적층된 것을 보인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레임에 적용된 수격방지돌기를 보인 평면도 및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열유체 또는 피가열유체의 유입 또는 유출 흐름을 나타낸 작동상태를 사시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8은 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흐름을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도 9는 피 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흐름을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열교환판 1a: 가열플로우홀
1a': 플렌지부 1b: 피가열플로우홀
1c: 헤링본 2a: 가열포트홀
2b: 피가열포트홀 3: 상프레임
4: 하프레임 4a: 수격방지돌기
10: 판형 열교환기 A: 내부공간
B: 각도 C: 중심
L: 중심선 W: 만곡점

Claims (4)

  1.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가열, 피가열플로우홀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꺽인 헤브론이 배치된 후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과, 상기 다수개로 교차 적층된 열교환판의 선, 후단에 브레이징 처리되어 마감되는 상,하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피가열플로우홀이 서로 교차되어 연통된 것을 마감하는 상기 하프레임에는 수격방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링본은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가열플로우홀의 대각선 방향의 중심선에서 유출되는 상기 피가열플로우홀 방향으로 95°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링본은 가열, 피가열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가열플로우 홀의 대각선 방향의 중심선에서 유출되는 상기 피 가열 플로우홀 방향으로 95°의 각도로 형성되되, 다수개로 배열되어 전열면적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격방지돌기에는 열교환 판과 브레이징 처리되는 만곡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구조.
KR20-2004-0033668U 2004-11-27 2004-11-27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76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68U KR200376584Y1 (ko) 2004-11-27 2004-11-27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68U KR200376584Y1 (ko) 2004-11-27 2004-11-27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584Y1 true KR200376584Y1 (ko) 2005-03-08

Family

ID=4367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6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6584Y1 (ko) 2004-11-27 2004-11-27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5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83B1 (ko) 2006-05-18 2007-07-16 성명제 판형 열교환기
KR101151758B1 (ko) 2009-04-10 2012-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KR101177359B1 (ko) * 2009-11-02 2012-08-27 (주) 루텍 판형 열교환기용 열교환판 및 이를 사용한 단일 유닛형 열교환판 적층식 판형 열교환기
KR20160114626A (ko) 2014-01-29 2016-10-05 댄포스 마이크로 채널 히트 익스체인저 (지아싱) 컴퍼니 리미티드 열 교환 판 및 열 교환 판을 구비한 판형 열 교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83B1 (ko) 2006-05-18 2007-07-16 성명제 판형 열교환기
KR101151758B1 (ko) 2009-04-10 2012-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KR101177359B1 (ko) * 2009-11-02 2012-08-27 (주) 루텍 판형 열교환기용 열교환판 및 이를 사용한 단일 유닛형 열교환판 적층식 판형 열교환기
KR20160114626A (ko) 2014-01-29 2016-10-05 댄포스 마이크로 채널 히트 익스체인저 (지아싱) 컴퍼니 리미티드 열 교환 판 및 열 교환 판을 구비한 판형 열 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5578A1 (en) Heat exchanger
US20120125583A1 (en) Heat exchanger
JP4450887B2 (ja) 熱交換器
JP2009519431A (ja) 暖房および温水供給用凝縮ボイラの熱交換器
EP2503277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device
CN100543400C (zh) 热交换器的芯结构
JP2009103393A (ja) 熱交換器
JP7484074B2 (ja)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KR200376584Y1 (ko) 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의 구조
CN105371684B (zh) 一种换热器板片结构
CA2571236A1 (en) Heat exchanger with header tubes
KR100739483B1 (ko) 판형 열교환기
WO2017138145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201923A (ja) 排気熱交換装置
KR102151782B1 (ko) 필터 타입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와 이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열회수 증기발생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5387741B (zh) 一种新型非对称通道结构的换热器板片组
WO2013118527A1 (ja) 熱交換器
JP5496369B2 (ja) 積層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WO2013114474A1 (ja) 積層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並びに積層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2323295A (ja) 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JP6493575B1 (ja) 冷凍装置
CN114930108B (zh) 换热器
KR20210026216A (ko) 판형 열교환기
KR101149983B1 (ko)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KR102511728B1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1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