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5988Y1 -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 Google Patents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88Y1
KR200375988Y1 KR20-2004-0031937U KR20040031937U KR200375988Y1 KR 200375988 Y1 KR200375988 Y1 KR 200375988Y1 KR 20040031937 U KR20040031937 U KR 20040031937U KR 200375988 Y1 KR200375988 Y1 KR 200375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drainage
flexibl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삼
Original Assignee
장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삼 filed Critical 장충삼
Priority to KR20-2004-0031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을 통하여 화장실의 벽면등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위치에 알맞게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 패킹부를 개재하여 삽입되는 수지재 안내관을 통하여 플렉시블관 자체에서 역류에 의해 발생되는 누수 현상 및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한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세면기(110)의 배수관(120) 하측에는 배수 저류관(170)이 연통 연설되며, 상기 배수 저류관(170) 일측 연결부(180)에는, 내측으로 연결관 삽입홈(190)이 형성되어 이에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140)의 일단이 내삽되어 나사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어 결합부(200)를 형성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내측에는 패킹부(210)를 개재하여 주면에 플렉시블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220)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되며,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에는 안내관(230)이 연결 설치되어 벽면(160)등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A Trap Drain Connection Pipe}
본 고안은 화장실등에 설치하는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의 하측으로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 저류관 일측으로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이 연통 연설된 후,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는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됨으로 인하여,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을 통하여 화장실의 벽면등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위치에 알맞게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 패킹부를 개재하여 삽입되는 수지재 안내관을 통하여 플렉시블관 자체에서 역류에 의해 발생되는 누수 현상 및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한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있어서는, 세면기의 하측으로 배수관이 결합너트를 개재하여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은 화장실 바닥 또는 벽면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세면기의 물이 손쉽게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구조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면기(110)의 하측으로 배수관(120)이 결합너트(130)를 개재하여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140)은 화장실 바닥(150) 또는 벽면(160)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의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의 일단부를 화장실의 바닥(150)이나, 벽면(160)의 배수구(미도시)등에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세면기(110)의 물이 상기 배수 연결관(140)을 타고 배수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은 도 2의 상세도에서와 같이, 플렉시블 파이프의 주름과 주름 사이에 절곡에 의해 틈새(t)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같은 틈새(t) 사이로 배수관의 역류에 의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배수 연결관(150)의 틈새 사이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장실의 세면기의 하측으로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 저류관 일측으로 결합부를 통해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이 연통 연설된 후,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는 패킹부를 개재하여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됨으로 인하여,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을 통하여 화장실의 벽면등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위치에 알맞게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 패킹부를 개재하여 삽입되는 수지재 안내관을 통하여 플렉시블관 자체에서 역류에 의해 발생되는 누수 현상 및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세면기의 하측으로 배수관이 결합너트를 개재하여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은 화장실 바닥 또는 벽면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되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하측으로 배수 저류관이 연통 연설되며, 상기 배수 저류관 일측연결부에는 내측으로 연결관 삽입홈이 형성되어 이에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의 일단이 내삽되어 나사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어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는 패킹부를 개재하여 주면에 플렉시블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되며, 상기 배수 연결관의 타단에는 안내관이 연결 설치되어 배수구와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때, 상기 배수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안내관은 주름이 없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 연결관의 타단과 스폿트 용접에 의해 고정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개략 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결합부 요부 구조도로서, 도1 내지 도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세면기(110)의 하측으로 배수관(120)이 결합너트(130)를 개재하여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140)은 화장실 바닥 또는 벽면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20) 하측에는 배수 저류관(170)이 연통 연설되며, 상기 배수 저류관(170) 일측 연결부(180)에는, 내측으로 연결관 삽입홈(190)이 형성되어 이에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140)의 일단이 내삽되어 나사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어 결합부(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내측에는 패킹부(210)를 개재하여 주면에 플렉시블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220)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되며,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에는 안내관(230)이 연결 설치되어 벽면(160)등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면기(110)의 하측으로 배수관(120)이 결합너트(130)를 통하여 연통 연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120) 하측에는 배수 저류관(170)이 연통 연설되어, 세면기(110)의 물이 상기 배수 저류관(170)을 거쳐 악취를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 저류관(170)의 일측 벽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연결부(180)에는, 그 내측으로 패킹(미도시)을 개재하여 연결관 삽입홈(190)이 형성토록 된 후, 상기 연결관 삽입홈(190) 내측에 금속재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140)의 일단부 긴밀하게 내삽되어 고정되고, 재차 상기 연결부(180)와 나사로서 결합토록 되어 결합부(20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내측에는 패킹부(210)를 개재하여 주면에 플렉시블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220)이 내삽되어 상기 패킹부(210)를 통하여 밀착 고정토록 됨으로써, 상기 배수 연결관(140)을 화장실 바닥 또는 벽면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시키니 위하여 구부려줄 경우,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구부려지는 부위가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그 내측에 삽통된 수지재 안내관(220) 및 패킹부(210)에 의해 역류에 따른 배수의 누수 현상이아, 또는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에는 주름이 없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관(230)이 연통 연설되어,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과 스폿트 용접에 의해 고정토록 됨으로써, 상기 배수 연결관(140)내에 삽입되는 수지재 안내관(220)이 상기 안내관(230)을 통하여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벽면등의 배수구에 결합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의하면, 화장실의 세면기의 하측으로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 저류관 일측으로 결합부를 통해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이 연통 연설된 후,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는 패킹부를 개재하여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을 내삽하여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을 통하여 화장실의 벽면등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위치에 알맞게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면서, 특히 상기 배수 연결관의 내측에 패킹부를 개재하여 삽입되는 수지재 안내관을 통하여 플렉시블관 자체에서 역류에 의해 발생되는 누수 현상과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세면기용 트랩 배수 연결관의 개략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세면기용 트랩 배수 연결관의 개략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인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의 결합부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세면기 120...배수관
130...결합너트 140...배수 연결관
160...벽면 170...배수 저류관
180...연결부 190...연결관 삽입홈
200...결합부 210...패킹부
220...수지재 안내관 230...안내관

Claims (2)

  1. 세면기(110)의 하측으로 배수관(120)이 결합너트(130)를 개재하여 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수 연결관(14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연결관(140)은 화장실 바닥(150) 또는 벽면(160)의 배수구와 연통 연설되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20) 하측으로 배수 저류관(170)이 연통 연설되며, 상기 배수 저류(170)관 일측 연결부(180)에는 내측으로 연결관 삽입홈(190)이 형성되어 이에 플렉시블 배수 연결관(140)의 일단이 내삽되어 나사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어 결합부(200)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내측에는 패킹부(210)를 개재하여 주면에 플렉시블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수지재 안내관(220)이 내삽되어 밀착 고정토록 되며,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에는 안내관(230)이 연결 설치되어 배수구와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안내관(230)은 주름이 없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 연결관(140)의 타단과 스폿트 용접에 의해 고정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KR20-2004-0031937U 2004-11-11 2004-11-11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Expired - Lifetime KR200375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937U KR200375988Y1 (ko) 2004-11-11 2004-11-11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937U KR200375988Y1 (ko) 2004-11-11 2004-11-11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88Y1 true KR200375988Y1 (ko) 2005-03-11

Family

ID=4367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937U Expired - Lifetime KR200375988Y1 (ko) 2004-11-11 2004-11-11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11Y1 (ko) * 2009-10-22 2011-08-31 김정호 배수트랩용 배관연결구
KR200479005Y1 (ko) * 2014-02-06 2015-12-09 김용한 청소가 용이한 벽배수관용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11Y1 (ko) * 2009-10-22 2011-08-31 김정호 배수트랩용 배관연결구
KR200479005Y1 (ko) * 2014-02-06 2015-12-09 김용한 청소가 용이한 벽배수관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11976A (es) Ensamble de banera de perfil bajo.
KR200375988Y1 (ko)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0380194Y1 (ko) 소켓형 배수트랩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JP2010121312A (ja) 浴槽の排水構造
KR200360049Y1 (ko)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JP3711192B2 (ja) 排水装置
JP2002256603A (ja) 地上型排水桝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0123196Y1 (ko) 개폐식 배수전
CN216156706U (zh) 一种省空间的排水组
KR200311242Y1 (ko) 하수관의 악취차단장치
US7350246B1 (en) Bathroom leak damage prevention apparatus
JP2008115587A (ja) 排水管収納構造及び閉塞部材
KR100671173B1 (ko) 소형 맨홀의 연결구조
KR100760810B1 (ko) 씽크대용 가스켓
KR200243741Y1 (ko) 건물용 배수조
KR200408173Y1 (ko) 배수트랩
KR20090037513A (ko) 세면대의 배수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1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12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10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10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5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