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5131Y1 - 멀티형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멀티형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31Y1
KR200375131Y1 KR20-2004-0032707U KR20040032707U KR200375131Y1 KR 200375131 Y1 KR200375131 Y1 KR 200375131Y1 KR 20040032707 U KR20040032707 U KR 20040032707U KR 200375131 Y1 KR200375131 Y1 KR 200375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ump
flang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4-0032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오수를 유입시키고 이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수지재 집수통의 소켓구멍에 연결소켓을 결합시킬 때 연결소켓 둘레의 조립홈을 이루는 인입안내면을 가진 걸림턱을 두어 양호한 조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크기를 다양화하여 제조오차 및 제조사에 마다의 규격차를 효과적으로 극복하여 양호한 수밀성과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에 결합되어 오수·우수유입관(14) 및 배수관(16)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소켓구멍(12)보다 큰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서 집수통(10)두께 정도로 이격된 상기 인입부 둘레에 상기 소켓구멍(12)의 내경보다는 같거나 크면서 상기 플랜지보다는 작은 지름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에 조립홈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인입단 둘레에 삽입안내면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조립홈을 상기 플랜지를 기준하여 그 양측으로 복수개 구성하고, 상기 각 조립홈의 걸림턱은 플랜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멀티형 연결소켓{Socket}
본 고안은 우수·오수를 유입시키고 이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수지재 집수통의 소켓구멍에 연결소켓을 결합시킬 때 연결소켓 둘레의 조립홈을 이루는 인입안내면을 가진 걸림턱을 두어 양호한 조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크기를 다양화하여 제조오차 및 제조사에 마다의 규격차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고, 구경과 두께가 다른 여러경우의 선택사용할 수 있고, 양호한 수밀성과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통은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 또는 우수를 모아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지하에 매립설치되는 것으로, 여러개의 오수 또는 우수 유입관과 하나의 배수관이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집수통에 오수·우수유입관 및 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는 집수통에 구멍을 뚫고 이에 연결소켓을 끼운 후 구멍과 연결소켓간의 틈새를 몰탈이나 접착제 또는 융착 등과 같은 땜질에 의해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시공이 번거롭고 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또 접착력의 약화와 땜질 불량으로 인한 누수의 발생 우려가 많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로 지반의 침하 및 융기작용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땜질부가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2000-48657호는, 집수통의 성형 후 냉각에 의해 수축되기 전의 연결구멍에 연결소켓을 삽입하고 또 연결부 틈새에 패킹을 개재한 후 냉각 수축에 의한 결합을 통해 별도의 땜질작업 없이도 기밀성 유연성 및 견고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소켓연결 방법은 근본적으로 연결소켓이 끼워지는 집수통의 연결구멍 내경 오차를 비롯하여 제조사마다 채택하고 있는 규격차로 인하여 연결소켓의 결합이 어렵거나 또는 헐거운 결합에 의한 수밀성불량의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소켓의 둘레에 복수개의 조립홈을 형성하고, 상기 집수통의 소켓구멍내로 삽입되는 인입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강제 삽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인입안내면을 형성하여 연결소켓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립홈을 크기별로 복수개 형성하여 제조오차 및 제조사에 마다의 규격차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멀티형 연결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소켓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소켓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소켓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a,4b는 본 고안 연결소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가능한 연결소켓들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집수통 12 - 소켓구멍
14 - 오수·우수유입관 16 - 배수관
20,30,40 - 연결소켓 22,32a,32b,42a,42b,42c - 조립홈
24,34,44 - 플랜지 26,36a,36b,46a,46b,46c - 걸림턱
28,38a,38b,48a,48b,48c - 인입안내면 29 - 삽입 연결부
p - 패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수통의 소켓구멍에 결합되어 오수·우수유입관 및 배수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소켓구멍보다 큰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서 집수통두께 정도로 이격된 상기 인입부 둘레에 상기 소켓구멍의 내경보다는 같거나 크면서 상기 플랜지보다는 작은 지름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에 조립홈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인입단 둘레에 인입안내면을 형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소켓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소켓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소켓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a,4b는 본 고안 연결소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가능한 연결소켓들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집수통(10)에는 연결소켓(20)이 결합되는 소켓구멍(12)이 위치별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오수·우수유입관(14) 및 배수관(16)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소켓(20)(30)(40)이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20)의 외주면에는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으로 삽입되는 단부쪽 둘레에 조립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홈(22)은 연결소켓(20)의 둘레에 상기 집수통 소켓구멍(12)보다 큰 플랜지(24)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24)에서 집수통(10)두께 정도로 이격된 상기 인입부 둘레에 상기 소켓구멍(12)의 내경보다는 같거나 크면서 상기 플랜지(24)보다는 작은 지름의 걸림턱(26)을 형성하여 플랜지(24)와 걸림턱(26) 사이에 자연스럽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26)의 인입단 둘레에는 경사진 인입안내면(28)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2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소켓구멍(12)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26)보다는 같거나 작은 크기의 패킹(p)이 결합된다.
상기 도 3에 확대도시된 도면에서 도면부호 R은 확장된 상태의 소켓구멍(12)을 나타내고, r은 냉각되어 수축된 소켓구멍(12)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조립홈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4,44)를 기준하여 그 양측으로 복수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조립홈(32a,32b)(42a,42b,42c)을 이루는 걸림턱(36a,36b)(46a,46b,46c)은 플랜지(34)(44)와의 거리가 멀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하여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의 오차 또는 규격차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각 조립홈(32a,32b)(42a,42b,42c)의 간격 또한 집수통(10)의 두께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도 4a에서는 플랜지(34)의 양측에 두개의 조립홈(32a,32b)이 있고, 일측 조립홈(32a,32b)의 걸림턱(36a,36b)은 다른 일측 조립홈(32a,32b)의 걸림턱(36a,36b)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 작은 걸림턱(36a,36b)이 있는 조립홈(32a,32b)은 좁은 간격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또 도 4b에서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플랜지(44)의 양측에 두개의 조립홈(42a,42b)을 구성함과 아울러 크기가 큰 걸림턱(46a)과 이격된 거리에 또다른 걸림턱(46c)이 형성되어 또다른 조립홈(42c)이 구성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때에도 또다른 조립홈(42c)의 간격은 다른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은 도 1, 도 2, 도 4a와 같이 일단의 외경을 작게(확장된 것도 가능함) 하여된 삽입 연결부(29)가 구성된 것도 있도, 내경 및 외경을 도 4b와 같이 일정하게 한 것도 있다. 이러한 크기의 변화는 연결되는 오수·우수유입관(14) 및 배수관(16)의 크기 및 결합 용도에 따라 연결구조가 다르기 때문인데, 오수·우수의 흐름방향에 따라 유입되는 쪽은 연결되는 유입관이 내경으로 삽입되는 것이 그리고 배수되는 쪽의 연결은 외부에 연결되는 것이 누수방지 측면에서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연결소켓(20)(30)(40)을 제조된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에 결합시킬 때에는 도 3, 도 5에서와 같이 집수통 소켓구멍(12)의 내경을 측정하여 그 내경에 맞는 조립홈(22)(32a,32b)(42a,42b,42c)의 걸림턱(26)(36a,36b)(46a,46b,46c)을 선택한다.
상기 걸림턱(26)(36a,36b)(46a,46b,46c)의 선택은 그 크기가 소켓구멍(12)보다 갖거나 약간 큰 것을 채택하거나, 소켓구멍(12)보다는 같거나 약간 작더라도 소켓구멍(12)의 수축완료시의 예상 크기보다는 큰 크기의 걸림턱(26)(36a,36b)(46a,46b,46c)이 적당하다. 또 걸림턱(26)(36a,36b)(46a,46b,46c)의 선택과 아울러 집수통(10)의 두께에 맞는 간격을 가진 조립홈(22)(32a,32b)(42a,42b,42c)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될 연결소켓(20)(30)(40)의 조립홈(22)(32a,32b)(42a,42b,42c)과 걸림턱(26)(36a,36b)(46a,46b,46c)의 선택이 완료되면 집수통(10)을 성형하거나 또는 소켓구멍(12)을 성형하여 열에 의해 내경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 어느정도 유연성이 있을 때 상기 연결소켓(20)(30)(40)의 일측단부를 상기 소켓구멍(12)에 강제로 밀어 넣는다. 이때 강제 삽입되는 걸림턱(26)(36a,36b)(46a,46b,46c)에는 경사진 인입안내면(28)(38a,38b)(48a,48b,48c) 이 있기 때문에 걸림없이 좀더 용이하게 삽입된다.
연결소켓(20)(30)(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내에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이 냉각 수축하여 소켓구멍(12)은 걸림턱(36a,36b)(46a,46b,46c)의 외경보다 작아지게 된다. 즉 소켓구멍(12)의 수축물림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턱(36a,36b)(46a,46b,46c)의 이탈은 방지 됨과 동시에 조립홈(32a,32b)(42a,42b,42c)에 개재된 패킹(p)을 압박하여 높은 수밀성을 자연스럽게 득하게 된다.
또 이러한 결합상태에서는 패킹(p)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20)(30)(40)은 약간의 각도변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되는 오수·오수 및 배수관(16)의 연결 각도 오차를 보상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소켓은,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를 기준하여 일측 또는 양측에 간격이 다양한 복수개의 조립홈과 크기가 다른 각 조립홈의 걸림턱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집수통의 소켓구멍이 수축되기 이전 연결소켓을 결합 할 때 하나의 연결소켓으로도 제조오차 및 제조사에 마다의 규격차를 가진 소켓구멍의 크기에 맞게 조립홈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 조립홈을 이루는 상기 걸림턱의 인입안내면에 의해 걸림없는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인한 양호한 수밀성을 유지하면서도 견고한 결합 및 용이한 작업성을 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집수통(10)의 소켓구멍(12)에 결합되어 오수·우수유입관
    (16)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소켓구멍(12)보다 큰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서 집수통(10)두께 정도로 이격된 상기 인입부 둘레에 상기 소켓구멍(12)의 내경보다는 같거나 크면서 상기 플랜지보다는 작은 지름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에 조립홈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인입단 둘레에 삽입안내면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을 상기 플랜지를 기준하여 그 양측으로 복수개 구성하고, 상기 각 조립홈의 걸림턱은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10)의 두께 별로 상기 각 조립홈의 간격을 달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에는 상기 소켓구멍(12)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보다는 같거나 작은 크기의 패킹(p)이 결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연결소켓.
KR20-2004-0032707U 2004-11-18 2004-11-18 멀티형 연결소켓 Expired - Fee Related KR200375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707U KR200375131Y1 (ko) 2004-11-18 2004-11-18 멀티형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707U KR200375131Y1 (ko) 2004-11-18 2004-11-18 멀티형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31Y1 true KR200375131Y1 (ko) 2005-02-07

Family

ID=4944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70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5131Y1 (ko) 2004-11-18 2004-11-18 멀티형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420544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duit squeeze retainer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0375131Y1 (ko) 멀티형 연결소켓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100999519B1 (ko)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JP2012037041A (ja) 補修継手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436180Y1 (ko) 오·우수받이의 관 연결구조
KR101339734B1 (ko)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20130001142U (ko) 가변형 관 연결구
KR100779987B1 (ko) 본관과 지관의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JP6331210B2 (ja) パッキンを備えた水洗便器
JP2009544914A (ja) パイプ継手組立体およびそのためのアダプタ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100696402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CN209781940U (zh) 水下混凝土浇筑导管对接结构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KR200425952Y1 (ko) 지하매설용 파이프의 수밀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1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60520

Request date: 2006052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6103000163

Decision date: 200707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520

Effective date: 20070730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610300016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70730

Request date: 200605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