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4608Y1 -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608Y1
KR200374608Y1 KR20-2004-0029714U KR20040029714U KR200374608Y1 KR 200374608 Y1 KR200374608 Y1 KR 200374608Y1 KR 20040029714 U KR20040029714 U KR 20040029714U KR 200374608 Y1 KR200374608 Y1 KR 200374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wire
predetermined
crane
clos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20-2004-0029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60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저쓰레기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지(Barge)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수면과 통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바지선의 상부면에 직선이동되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크레인에는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닷속을 관찰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해저쓰레기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해양생태계의 오염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는 선미의 중심으로부터 선수방향 내측으로 수면과 통하는 소정 폭과 길이의 절개부가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바지선과; 상기 절개부의 양쪽 가장자리 외측에 해당되는 갑판상에서 바지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단부가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단부는 가로빔(Beam)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크레인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갑판에서 설치되고, 유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되며,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기 크레인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어 크레인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치이동되도록 작용힘을 부여하는 소정 크기의 실린더와; 상기 가로빔의 내부에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면상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권취장치에 감겨지고 한쪽 끝이 상기 절개부의 아랫쪽으로 늘어뜨려지도록 구성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와;상기 와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와; 상기 절개부상의 소정 위치에 끼워져 얹혀지면서 크레인의 위치이동시 바지선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균형추(Weight Balancer)와; 상기 쓰레기인양부재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바닷속의 상태를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회로TV(CC TV)와; 상기 폐쇄회로 TV와 연결되어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전선과; 상기 바지선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전선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되어 전선을 통하여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쓰레기 인양장치{APPARATUS FOR SALVAGE SEA BOTTOM WASTE}
본 고안은 해저쓰레기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지(Barge)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수면과 통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바지선의 상부면에 직선이동되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크레인에는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닷속을 관찰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해저쓰레기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해양생태계의 오염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해저쓰레기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온갖 생물의 보고(寶庫)이자 광물자원의 공급처이기도 하다. 그러나 산업발전과 더불어 자주발생하고 있는 유류오염사고, 화학·방사성물질의 방류 등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육상에서 흘러 들어온 플라스틱폐기물, 플라스틱 함성섬유로 제조된 침체(沈滯)어망, 어구 등에 의한 해양 생태계 오염이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제품들은 자연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소각할 경우 다이옥신 등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처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들 제품이 바다에 버려지거나 유실될 경우 장시간 바다속을 표류하면서 해양 생물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며, 해변으로 흘러와서은 해안경관을 해친다.
뿐만 아니라 바다속에 버려진 침체 어망이나 어구등에 인간이 잡아 먹지도 않는 물고기가 걸리고 이들 물고기를 먹기 위해 몰려든 또 다른 물고기가 걸려 죽는 등, 이른바 유령어업(Ghost Fishing)의 악순환으로 인해 생물자원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환경 오염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미국, 일본, 유럽 등은 자국 해안 및 연근해 수역에 분포하는 플라스틱의 밀도 및 피해상태를 조사하고 있다.
미국의 해양환경보호단체인 CMC(Center for Marine Conservation)는 해양오염 방지, 종 다양성 보전, 해양생물의 서식지 보전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각국 환경단체와 연계된 해안정화(Beach Clean Up)운동 등으로 해안 및 해저쓰레기 수거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해양 폐기물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침체 어망 인양사업, 해양 폐기물 수거 처리사업에 연간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어업인들도 해양 생태계의 보전이 지속적인 어업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고 조업 중 인양된 폐어망이나 폐어구를 육상으로 가져오는 등의 방법으로 침체어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며, 보다 적극적인 해저쓰레기를 인양하여 처리할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지(Barge)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수면과 통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바지선의 상부면에 직선이동되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크레인에는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닷속을 관찰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해저쓰레기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해양 생태계의 오염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에서 크레인 및 쓰레기인양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쓰레기를 인양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지선 12 : 절개부
13 : 가이드레일 14 : 크레인
15 : 가로빔 15b : 관통공
16 : 실린더 19 : 권취장치
20 : 와이어 22 : 쓰레기인양부재
23 : 균형추 24 : 폐쇄회로 TV
25 : 전선 26 : 모니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는 선미의 중심으로부터 선수방향 내측으로 수면과 통하는 소정 폭과 길이의 절개부가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바지선과; 상기 절개부의 양쪽 가장자리 외측에 해당되는 갑판상에서 바지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단부가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단부는 가로빔(Beam)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크레인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갑판에서 설치되고, 유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되며,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기 크레인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어 크레인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치이동되도록 작용힘을 부여하는 소정 크기의 실린더와; 상기 가로빔의 내부에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면상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권취장치에 감겨지고 한쪽 끝이 상기 절개부의 아랫쪽으로 늘어뜨려지도록 구성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와; 상기 절개부상의 소정 위치에 끼워져 얹혀지면서 크레인의 위치이동시 바지선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균형추(Weight Balancer)와; 상기 쓰레기인양부재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바닷속의 상태를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회로TV(CC TV)와; 상기 폐쇄회로 TV와 연결되어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전선과; 상기 바지선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전선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되어 전선을 통하여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에서 크레인 및 쓰레기인양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쓰레기를 인양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는 바지선상에 설치되어 바다위를 이동하면서 침체 어망이나 어구 등의 해저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져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저쓰레기 인양장치(10)에서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바지선(11)이 마련된다.
상기 바지선(11)의 선미 중심으로부터 선수방향 내측으로 수면과 통하는 소정 폭과 길이의 절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의 양쪽 가장자리 외측에 해당되는 갑판위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3)이 바지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각가이드레일(13)에는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크레인(14)의 하단부(14a)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크레인(14)의 상단부는 가로빔(15)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 가이드레일(13)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갑판위에는 유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소정 크기의 실린더(16)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16)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17)의 선단부는 상기 크레인(14)의 하단부(14a)에 고정·결합되어 실린더(16)의 작동시 크레인(14)이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위치이동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가로빔(15)의 내부에는 외부의 작용힘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면상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15b)이 형성된 플레이트(15a)가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5a)의 상면에는 소정 위치에는 모터(18)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작동되는 별도의 권취장치(19)가 설치되며, 상기 권취장치(19)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20)가 감겨진다.
상기 와이어(20)의 한쪽 끝은 플레이트(15a)상의 관통공(15b)를 통하여 절개부(12) 아랫쪽으로 늘어뜨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20)의 선단부에는 별도의 유압라인을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바닷속의 쓰레기(21)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22)가 설치된다.
또, 상기 바지(11)선상에 형성된 절개부(12)에는 실린더(16)의 작용에 의하여 크레인(14)이 위치이동될 때 바지선(11)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균형추(Weight Balancer:23)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쓰레기인양부재(22)의 목 부분에는 바닷속의 상태를 촬영하여 그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회로TV(CC TV: 24)가 설치되며, 상기 폐쇄회로 TV(24)에는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전선(25)이 연결된다.
또, 상기 바지선(11)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전선(25)과 연결되어 상기 폐쇄회로 TV(24)에 의해 촬영되어 전선(25)을 통하여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2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지선(11)을 이용하여 침체 어망 등 쓰레기(21)가 가라앉아 있는 해상 위치에 도달된 상태에서 모터(18)를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와이어(20)가 플레이트(15)의 상면에 설치된 권취장치(19)에 감겨져 있던 상태로부터 풀리면서 쓰레기인양부재(22)가 바닷속으로 하강된다.
상기 쓰레기인양부재(22)가 바닷속의 쓰레기(21)위치까지 도달되면 바닷속의 상태가 폐쇄회로 TV(24)에 의해 촬영되어 전선(25)을 통하여 갑판위의 모니터(26)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26)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쓰레기(21)의 유무를 판단한 후 쓰레기로 확인되면 별도의 유압라인을 통하여 유압을 인가하여 상기 쓰레기인양부재(22)가 벌어졌다 오므려지도록 작동시켜 바닷속의 쓰레기(21)가 쓰레기인양부재(22)에 의하여 파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18)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권취장치(19)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20)가 권취장치(19)에 감기면서 쓰레기(21)가 파지된 상태의 쓰레기인양부재(22)가 당겨져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작업중 상기 크레인(14)은 실린더(16)에 구비된 피스톤로드(17)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위치이동된다.
또, 상기 크레인(14)의 위치이동에 따른 하중의 불균형은 별도로 마련된 균형추(23)를 절개부(12)상의 적정 위치에 끼워 배치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바다위를 이동할 수 있는 바지선상에 위치이동이 가능한 크레인과 권취장치에 감겨진 쓰레기인양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바다속에 가라앉은 침체어망 등의 쓰레기를 보다 기동성 있게 효율적으로 인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생태계의 오염을 방지하고 어족자원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선미의 중심으로부터 선수방향 내측으로 수면과 통하는 소정 폭과 길이의 절개부가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바지선과;
    상기 절개부의 양쪽 가장자리 외측에 해당되는 갑판상에서 바지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단부가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단부는 가로빔(Beam)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크레인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갑판에서 설치되고, 유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되며,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기 크레인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어 크레인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치이동되도록 작용힘을 부여하는 소정 크기의 실린더와;
    상기 가로빔의 내부에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면상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권취장치에 감겨지고 한쪽 끝이 상기 절개부의 아랫쪽으로 늘어뜨려지도록 구성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바닷속의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쓰레기인양부재와;
    상기 절개부상의 소정 위치에 끼워져 얹혀지면서 크레인의 위치이동시 바지선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균형추(Weight Balancer)와;
    상기 쓰레기인양부재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바닷속의 상태를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회로TV(CC TV)와;
    상기 폐쇄회로 TV와 연결되어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전선과;
    상기 바지선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전선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쇄회로 TV에서 촬영되어 전선을 통하여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KR20-2004-0029714U 2004-10-21 2004-10-21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74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14U KR200374608Y1 (ko) 2004-10-21 2004-10-21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14U KR200374608Y1 (ko) 2004-10-21 2004-10-21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608Y1 true KR200374608Y1 (ko) 2005-02-07

Family

ID=4944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4608Y1 (ko) 2004-10-21 2004-10-21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6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973A (zh) * 2018-10-12 2019-03-22 许爱军 箱式敞口舱浸水式水上漂浮物打捞船
KR20220058058A (ko) * 2020-10-30 2022-05-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제거시스템
CN115928678A (zh) * 2022-12-29 2023-04-07 江苏盛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捞杆用稳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973A (zh) * 2018-10-12 2019-03-22 许爱军 箱式敞口舱浸水式水上漂浮物打捞船
KR20220058058A (ko) * 2020-10-30 2022-05-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제거시스템
KR102405856B1 (ko) * 2020-10-30 2022-06-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제거시스템
CN115928678A (zh) * 2022-12-29 2023-04-07 江苏盛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捞杆用稳定装置
CN115928678B (zh) * 2022-12-29 2023-09-12 江苏盛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捞杆用稳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252B2 (ja) 油回収装置
KR101596895B1 (ko) 해양 구조물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0439054B (zh) 一种河湖污染底泥生态清淤船
JP2009261341A (ja) 海底生物採取機
GB2536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KR101064297B1 (ko) 수중카메라를 구비한 채니기
KR200374608Y1 (ko)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WO2017216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CN110127002B (zh) 一种打捞近海海底丢失丢弃网具的智能化装置
CN105239545B (zh) 水上多功能清捞船
CN206354227U (zh) 水下智能抓捕海产品装置
KR102109038B1 (ko) 해저 폐기물 인양장치
CN209652895U (zh) 一种主动诱导收集式清漂无人船
CN107245992B (zh) 一种河道垃圾打捞系统
CN108377986A (zh) 一种水产品捕捞设备及其制造方法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KR101900019B1 (ko) 집어기구
KR100806526B1 (ko)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CN104192276A (zh) 一种清污船
CN109883759A (zh) 一种海底抓斗设备及海底抓斗系统
CN208016734U (zh) 一种吞食式捕鱼装置
KR102576114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KR200230538Y1 (ko) 폐어망 인양기
KR101940262B1 (ko) 무어링 라인 관리로봇
CN210684640U (zh) 一种河道治理用捞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02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410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0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