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4542Y1 - 보안등용 점멸기 - Google Patents

보안등용 점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542Y1
KR200374542Y1 KR20-2004-0030676U KR20040030676U KR200374542Y1 KR 200374542 Y1 KR200374542 Y1 KR 200374542Y1 KR 20040030676 U KR20040030676 U KR 20040030676U KR 200374542 Y1 KR200374542 Y1 KR 200374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ine
hole
opening
flash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학
Original Assignee
장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학 filed Critical 장용학
Priority to KR20-2004-0030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54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점멸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기가 유입되는 AC입력선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접속되는 AC입력선연결단자와 회로 내 전기유입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춘 누전차단기와, 보안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처리신호에 따라 접점을 열고 닫아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모듈과,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퓨즈와, 상기 릴레이모듈을 경유한 전기를 보안등에 통전시키는 AC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포함된 점멸제어기; 상기 점멸제어기가 내장되되, 상기 AC입력선이 인입되는 AC입력선통전구멍과,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을 통해 내입된 AC입력선을 상기 AC입력선연결단자와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하는 고정부재 개방구멍과, 상기 스위치가 조작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 되는 스위치표출구멍과, 상기 출력단자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출력단자 개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서, 외부에서도 상기 누전차단기의 조작이 가능하고 점멸제어기와 AC입력선 및 AC출력선 간의 접속과 해제가 용이하도록 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조밀하게 안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전원선이 인입되는 전원선인입구가 형성된 안착부와,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어 폐구하는 덮개부와, 상기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은 덮개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된 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보안등용 점멸기{Switch for the guard lamp}
본 고안은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점멸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안등은 주택가의 골목 또는 외진 지역과 같이 인적이 드물고 어두운 곳에 설치되어서 야간 시 상기 지역을 조명하여 통행자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등은, 시가지의 간선도로변에 지주를 입설하여 설치된 후 구 또는 시단위로 중앙제어기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되는 가로등과는 달리, 한전주에 부착되어 관할 동사무소 등의 동단위로 보안등 하나하나가 개별 관리된다. 따라서, 상기 보안등의 관리자가 보안등의 점멸을 직접 조작하여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통해 점멸시간을 임의로 지정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점멸기를 보안등과 더불어 설치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점멸기에는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점멸제어기가 탑재되며, 도 1(종래 보안등용 점멸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도면)을 통해 종래 보안등용 점멸기를 설명한다.
종래 점멸기(10)는 관리자의 조작으로 보안등(20)을 점멸시키는 점멸제어기(100)와, 점멸제어기(100)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200)와, 고압전류가 흐르는 케이스(200)를 덮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함(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점멸제어기(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보안등(20)의 점멸을 결정하는 제어모듈(130 ; 도 3 참조)과,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20)와, 상기 제어모듈(130)의 처리신호에 따라 접점을 열고 닫아서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모듈(160 ;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30)은 작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종래 점멸기(10)의 경우 타이머 방식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30)은 관리자가 보안등(20)의 점등 및 소등시간을 입력하게 되는 입력부(131)와, 이 입력부(131)로부터 발생된 입력신호가 제어모듈(130)을 통해 처리되는 상황 및 그 결과 값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출력부(132)와, 상기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결과를 도출하는 타이머(133)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퓨즈(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전차단기(120)를 제외한 상기 제어모듈(130), 릴레이모듈(160) 및 퓨즈(170)는 통상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에 각각 실장되어 상호 통전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덮어 보호하는 케이스(20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종래 점멸기(10)를 이루는 점멸제어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에 내장된 제어모듈(130), 릴레이모듈(160) 및 퓨즈(170)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과 누전차단기(120)가 서로 분리/배치되었다.
이외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 방식으로 작동되는 점멸기(10)로서의 종래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입력부(131)의 키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소정 위치에 입력부표시구멍(230)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부(132) 또한 관리자가 케이스(200)를 열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부표시구멍(21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132)는 LCD 방식 이외에 LED와 같은 램프방식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램프방식이 적용된 출력부(132a)의 점멸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표시구멍(210)에 상응하는 또 다른 출력부표시구멍(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300)은 상기 케이스(200)와 이 케이스(200)와 분리된 누전차단기(120)가 각각 개별적으로 탑재되는 안착부(310)와, 안착부(310)의 상면을 덮어 상기 케이스(200) 및 누전차단기(12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안착부(310)의 개구면를 덮는 덮개부(320)로 구성되어서, 각각의 상기 모듈들(130, 160, 170)이 내장된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누전차단기(120)를 보호하고, 관리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점멸기(10)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10)와 덮개부(320)가 서로 포개어져 폐구되면 스스로는 다시 열리지 않도록 이를 상호 고정시키는 잠금부(340)가 더 포함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에 따라, 종래 점멸기(10)는 케이스(200)와; 이 케이스(200)에 내장된 제어모듈(130), 릴레이모듈(160) 및 퓨즈(170)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과, 별도로 분리/배치된 누전차단기(120)를 포함하는 점멸제어기(100)와; 점멸제어기(100)를 보호하는 함(300)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보안등(20)의 점등에 필요한 전기는 전원선(30)를 통해 유입되므로, 상기 전원선(30) 중 AC입력선(31 ; 도 3 참조)은 상기 함(300)에 형성된 전원선인입구멍(313)을 통해 함(300)으로 인입되어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AC입력선연결단자(124b)에 접속되고, 누전차단기(120)를 거친 전기는 전원선연결단자(124a)에 연결된 전선(33 ; 도 3 참조)을통해 상기 케이스(200)에 내장된 릴레이모듈(16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전선(33)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전원선구멍(240)을 관통하여 내부에 있는 릴레이모듈(160)과 통전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모듈(130)의 처리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160)에 의해 회로가 닫히면, 전기가 회로 내에 통전되면서 AC출력선(32)을 통해 보안등(20)으로 공급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AC출력선(32)은 케이스(200)에 형성된 전원선구멍(240)을 관통하여 인출되며 상기 전원선인입구멍(313)을 통해 함(300) 밖으로 나온다. 한편, 상기 전원선구멍(240)은 단순히 케이스(200)에 내장된 제어기(100)를 통전시키기 위해 전원선(30)이 관통되는 곳으로서, 이러한 전원선구멍(240)의 구조 및 그 형상은 케이스(200)를 열지 않은 상태로 외부에서 케이스(200)에 내장된 제어기(100)와 전원선(30)의 상호 접속 또는 접속해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지는 않았다.
참고로, 미설명된 인출번호 "123"은 체결부재이며, "122"는 차단기(120)를 함(300)에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123)가 관통되는 체결구이다.
그런데, 보안등(20)은 보안등 전용 지주가 아닌 한전주 등에 주로 부착되고 있고 점멸기(10)가 그곳에서 많은 공간을 점유하는 것은 외관상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보안등(20)과 더불어 고정되는 점멸기(10)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만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함(300)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누전차단기(120)와 케이스(200) 간의 이격거리는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310)에 형성된 전원선인입구멍(313)을 관통해 인입된 AC입력선(31)은 상기 누전차단기(120)와 케이스(200)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면서 누전차단기(120)의 AC입력선연결단자(124b)와 접속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점멸기(10)의 보수 및 부품교체를 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상기 덮개부(320)를 연 후, AC입력선(31)과 누전차단기(120)가 접속되고 전선(33) 및 AC출력선(32) 등이 밀집된 협소한 공간에 손을 집어넣어 AC입력선(31)과 누전차단기(120)의 접지상태를 해제한 다음, 다시 상기 전선(33)을 케이스(200)로부터 인출하여 케이스(200)를 함(300)으로부터 분리했어야 했다. 즉, 상기 케이스(200)를 함(3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원선(30)들이 복잡하고 위험하게 얽힌 협소한 공간에서 케이스(20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누전차단기(120)를 통전시키는 전선(33 ; 도 3 참조)의 접속을 해제해야하는 작업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 AC입력선(31) 단부에 드러난 고압전선에 의해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할 뿐만아니라, 상기 협소한 공간에서 AC입력선(31)에 의한 감전을 피해 수행해야하므로 점멸기(10)의 보수 및 관리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안착부(310)와 덮개부(320)는 힌지연결부(33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덮개부(320)가 안착부(310)와 포개어져 안착부(310)의 개구면을 덮게 되면 덮개부(320) 스스로는 열리지 못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덮개부(310)와 안착부(310)를 상호 고정시키는 잠금부(340)가 삽입돌기(341)와 이에 상응하는 끼움홈(342)으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부(340)는 상기 삽입돌기(341)가 끼움홈(342)으로 삽입되면 끼워져 고정되고, 삽입돌기(341)를 끼움홈(342)으로부터 빼내면 다시 열리는 허술한 방식이어서, 비전문가인 일반인도 상기 함(300)을 쉽게 열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잠금부(340)가 적용된 종래 점멸기(10)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함(300) 내부가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방치된 것과 같아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가중되는 또 다른 원인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전 차단기와 AC입력선 간의 접속구간과 AC출력선 등의 각종 전선들이 배치된 협소한 공간에서 관리자가 수행해야하는 불편한 작업을 해소시키고, 감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킴으로서, 보안등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물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무단조작 시에도 이들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보안등 점멸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보안등용 점멸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안등용 점멸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안등용 점멸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라 결합된 보안등용 점멸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10' ; 점멸기 20 ; 보안등
31 ; AC입력선 32 ; AC출력선
100, 100' ; 점멸제어기 120 ; 누전차단기
130 ; 제어모듈 190 ; 출력단자
200, 200' ; 케이스
202 ; 고정부재 개방구멍 241 ; AC입력선 통전구멍
242 ; 출력단자 개방구멍 250 ; 스위치표출구멍
300, 300' ; 함 340 ; 잠금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전기가 유입되는 AC입력선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접속되는 AC입력선연결단자와 회로 내 전기유입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춘 누전차단기와, 보안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처리신호에 따라 접점을 열고 닫아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모듈과,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퓨즈와, 상기 릴레이모듈을 경유한 전기를 보안등에 통전시키는 AC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포함된 점멸제어기;
상기 점멸제어기가 내장되되, 상기 AC입력선이 인입되는 AC입력선통전구멍과,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을 통해 내입된 AC입력선을 상기 AC입력선연결단자와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하는 고정부재 개방구멍과, 상기 스위치가 조작가능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스위치표출구멍과, 상기 출력단자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출력단자 개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서, 외부에서도 상기 누전차단기의 조작이 가능하고 점멸제어기와 AC입력선 및 AC출력선 간의 접속과 해제가 용이하도록 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조밀하게 안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전원선이 인입되는 전원선인입구가 형성된 안착부와,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어 폐구하는 덮개부와, 상기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은 덮개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된 함;
으로 이루어진 보안등용 점멸기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안등용 점멸기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타이머 방식의 제어모듈, 무선통신 방식의 제어모듈 또는 상기 타이머 방식의 제어모듈 및 무선통신 방식의 제어모듈이 결합된 것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안등용 점멸기는, 상기 점멸제어기와 착탈가능하게 통전되고 상기 퓨즈의 일단에는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점멸제어기에서 퓨즈가 배치되는 위치와 상응하는 케이스의 일면에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퓨즈삽입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스를 열지 않아도 외부에서 상기 마개를 잡고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안등용 점멸기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가이드홈와,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 제1체결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바아와, 상기 제1체결부재의 관통구멍과 연통되어 볼트가 순차적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 제2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안등용 점멸기는,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과 전원선인입구멍의 개구방향이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과 전원선인입구멍을 관통하는 AC입력선이 휘어져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되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안등용 점멸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안등용 점멸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따라 결합된 보안등용 점멸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는 앞서 기술된 종래 점멸기(10)와 마찬가지로, 관리자의 조작으로 보안등(20)의 점멸을 이루기 위헤 구성되는 점멸제어기(100')와, 점멸제어기(100')를 보호하는 케이스(200') 및 케이스(200')를 보호하는 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멸제어기(100')는 제어모듈(130), 누전차단기(120), 릴레이모듈(160)을 포함하며,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퓨즈(170)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기 모듈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는 무선통신모듈(150) 및 안테나(15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50) 및 안테나(151)는 외부로부터 전송된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130)로 전송함으로서, 관리자가 직접 함(300')을 열고 점멸제어기(100')를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지에서도 보안등(20)을 점멸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도 상기 제어모듈(130)이 타이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부(131)와 출력부(132) 및 타이머(1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는 종래 점멸기(10)와는 달리 누전차단기(120)도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200')에 내장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케이스(200')는 관리자가 케이스(200')를 열지 않아도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스위치(12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121)가 이동가능하게 표출되는 스위치표출구멍(250)이 형성되며, 함(300')의 전원선인입구멍(313)을 통해 인입된 전원선(30) 중 누전차단기(120)의 AC입력선연결단자(124b)와 접속되는 AC입력선(31)이 케이스(200')로 내입되어 케이스(200')에 내장된 누전차단기(120)와 통전될 수 있도록 누전차단기(120)의 AC입력선연결단자(124b)로 통하는 AC입력선 통전구멍(241)이 더 형성된다. 또한, 누전차단기(120)의 고정부재(125)는 케이스(200')를 열지 않아도 외부에서 직접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부재(125)를 표출시키는 고정부재 개방구멍(202)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점멸제어기(100') 내 각 모듈을 경유한 전기가 AC출력선(32)을 통해 보안등(20)으로 전송되며, 본 고안에 따른 점멸제어기(100')는 상기 AC출력선(32)이 외부로 드러난 출력단자(190)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00')에는 출력단자(190)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출력단자 개방구멍(24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점멸제어기(100') 또는 보안등(20) 내에 누전이 발생되어 누전차단기(120)가 개로되면 관리자는 상기 스위치표출구멍(25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스위치(121)를 회동시켜 다시 폐로할 수 있게 되는 한편, AC입력선(31)과 AC출력선(32)은 케이스(200')를 열지 않아도 상기 점멸제어기(100')와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관리자는 상기 점멸제어기(100')가 내장된 케이스(200')를 함(300')으로부터 분리해야 할 경우, 고정부재 개방구멍(202)을 통해 고정부재(125)를 풀어 AC입력선연결단자(124b)로부터 AC입력선(31)을 분리하고, 상기 출력단자(190)로부터 AC출력선(32)을 분리하여 상기 함(300')으로부터 케이스(200')를 빼낸 후 필요한 보수 및 관리작업을 하면 되므로, 함(300)으로부터 케이스(2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번거로웠던 종래 점멸기(10)의 보수 및 관리작업을 하기 위해 함(300)과 케이스(200)로 둘러싸인 협소한 공간에서 점멸기(10)에 대한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곤란함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300')을 관통하는 전원선(30)의 인입방향과 이 전원선(30)이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점멸제어기(100')로 연결되는 방향이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함(300') 외부에서 전원선(30)을 잡아당기더라도 점멸제어기(100')와의 연결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선인입구멍(313)의 개구방향과 AC입력선 통전구멍(241)의 개구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되었다.
상기 함(300')은 차단기(120)가 내장된 상기 케이스(200')가 긴밀하게 안착되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지는 안착공간(311')을 갖춘 안착부(310')와, 이 안착부(310')의 개구면을 덮어 차단기(120)가 내장된 상기 케이스(2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덮개부(320')로 구성되어서, 상기 차단기(120)와 본 고안에 따른 점멸제어기(100')가 내장된 상기 케이스(200')를 각각 외부 오염원의 유입 및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관리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를 조작할 수 없도록 잠근다. 상기 케이스(20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311')은 케이스(200')가 긴밀하게 안착되어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이루며, 상술된 바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312 ; 도 1 참조)는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00')와 안착부(310') 사이에는 간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전원선(20)이 안착부(310')에 형성된 전원선인입구멍(313)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AC입력선 통전구멍(241) 및 출력단자 개방구멍(242)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00')가 안착공간(311')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관리자가 AC입력선(21)과 AC출력선(22)을 점멸제어기(100')에 접속하거나 해제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전원선들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케이스(200')와 안착부(310') 사이에는 케이스(200')의 외면과 안착부(310')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외에도, 상기 점멸기(10')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전자식 자동점멸기 뿐만아니라 광센서가 부착된 자동점멸기일 수도 있다. 후자의 자동점멸기는 상기 제어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센서(미도시됨)가 더 포함되어서 조도가 일정 럭스 이상이 되면 일조시간으로 인식하여 스스로 소등되고, 그 이하이면 일몰시간으로인식하여 스스로 점등되도록 된 것이다.
보안등(20)은 상기 점멸기(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받아 발광하는 램프(22)와, 직렬회로에서의 인가 전압 또는 부하가 일정한 범위에서 변화하더라도 전류값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정기(21)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22)는 필라멘트 저항방식의 백열등 램프 이외에 수은등, 메탈할라이드등, 고압 나트륨등, 저압 나트륨등 등의 방전관 방식의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퓨즈(170)는 케이스(200') 내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10')에서는 케이스(200')의 개봉없이 외부에서 직접 교체할 수 있도록 된 마개형 퓨즈(170)가 적용된다. 마개형 퓨즈(170)는 관형으로 된 퓨즈에 마개(17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00')에는 상기 퓨즈(170)가 삽입되어 점멸제어기(100') 내에 통전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퓨즈삽입구멍(201)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삽입구멍(201)으로 삽입된 퓨즈(170)를 케이스(200')의 개봉없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함(300')은 안착부(310')와 덮개부(320')가 힌지연결부(330)를 매개로 여닫힐 수 있는 구조로 되며, 상기 덮개부(320')가 안착부(310')의 상면을 덮게 되면 스스로는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홈(343b), 제1체결부재(344b), 가이드바아(343a) 및 제2체결부재(344a)로 구성된 잠금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홈(343b)과 제1체결부재(344b)는 상기 안착부(310')의 상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1체결부재(344b)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미인출됨)을 갖춘다.또한, 상기 가이드바아(343a)와 제2체결부재(344a)는 상기 덮개부(320')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바아(343a)는 상기 가이드홈(343b)에 삽입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344a)는 상기 제1체결부재(344b)의 관통구멍과 연통되어 볼트가 순차적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10')와 덮개부(320')가 포개어지면 상기 가이드홈(343b) 및 가이드바아(343a)가 맞물리면서 덮개부(320')의 회동방향을 안내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344a, 344b) 각각의 관통구멍이 상호 정확히 연통되면서 상기 관통구멍으로 끼워지는 볼트에 의해 단단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는 볼트를 조일 수 있는 공구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를 관통구멍으로부터 풀 수 있는 공구를 소지하지 않는 일반인은 상기 함(300')을 열 수 없고, 이를 통해 고압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함(300') 내부가 쉽게 개방되지 않게 된다.
한편, LED 등의 램프방식으로 점멸제어기(100, 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132a)의 발광여부가 함(300')의 개봉없이 외부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함(300')에서 출력부(132a)의 상응위치에 광출구멍(3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에 내장된 점멸제어기와 전원선 간의 접속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원선과의 접속이 해제된 점멸제어기는 케이스와 더불어 함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함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 점멸제어기를 보수 및 관리해야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한편, 점멸제어기 모두가 케이스에 내장되면서 고압전기가 흐르는 전원선 및 그 접속부가 외부로드러나지 않게 되어 관리자의 관리작업은 물론 일반인의 무단조작 시에도 감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또한, 퓨즈가 마개형으로 되어 과전류 유입으로 인한 퓨즈의 끊어짐이 발생되어도 이를 교체하기 위해 케이스를 열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퓨즈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안착부와 덮개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부가 용이하게 열리지 않으므로 관리자 이외의 일반인이 고압전기가 흐르는 함을 무단으로 열어 조작하는 행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전기가 유입되는 AC입력선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접속되는 AC입력선연결단자와 회로 내 전기유입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춘 누전차단기와, 보안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처리신호에 따라 접점을 열고 닫아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모듈과,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퓨즈와, 상기 릴레이모듈을 경유한 전기를 보안등에 통전시키는 AC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포함된 점멸제어기;
    상기 점멸제어기가 내장되되, 상기 AC입력선이 인입되는 AC입력선통전구멍과,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을 통해 내입된 AC입력선을 상기 AC입력선연결단자와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하는 고정부재 개방구멍과, 상기 스위치가 조작가능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스위치표출구멍과, 상기 출력단자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출력단자 개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서, 외부에서도 상기 누전차단기의 조작이 가능하고 점멸제어기와 AC입력선 및 AC출력선 간의 접속과 해제가 용이하도록 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조밀하게 안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전원선이 인입되는 전원선인입구가 형성된 안착부와,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어 폐구하는 덮개부와, 상기 안착부의 개구면을 덮은 덮개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된 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용 점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타이머 방식의 제어모듈, 무선통신 방식의 제어모듈 또는 상기 타이머 방식의 제어모듈 및 무선통신 방식의 제어모듈이 결합된 것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용 점멸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기와 착탈가능하게 통전되고 상기 퓨즈의 일단에는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점멸제어기에서 퓨즈가 배치되는 위치와 상응하는 케이스의 일면에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퓨즈삽입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스를 열지 않아도 외부에서 상기 마개를 잡고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용 점멸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가이드홈와,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 제1체결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바아와, 상기 제1체결부재의 관통구멍과 연통되어 볼트가 순차적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 제2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용 점멸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과 전원선인입구멍의 개구방향이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AC입력선통전구멍과 전원선인입구멍을 관통하는 AC입력선이 휘어져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용 점멸기.
KR20-2004-0030676U 2004-10-29 2004-10-29 보안등용 점멸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74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76U KR200374542Y1 (ko) 2004-10-29 2004-10-29 보안등용 점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76U KR200374542Y1 (ko) 2004-10-29 2004-10-29 보안등용 점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542Y1 true KR200374542Y1 (ko) 2005-01-29

Family

ID=4935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4542Y1 (ko) 2004-10-29 2004-10-29 보안등용 점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54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29A (ko) * 2014-05-07 2015-11-17 (주)그린솔루션 보안등 점멸장치
KR101619502B1 (ko) * 2015-07-03 2016-05-10 김윤희 잠금 기능을 갖는 보안등 자동 점멸 장치
KR20160112271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
KR20200000864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이너스텍 이너 유니트의 모듈화를 통한 분리 교체형 보안등점멸기 및 그 부속장치
KR102056065B1 (ko) * 2018-12-27 2020-01-14 박우용 보안등 관제 시스템
KR102759309B1 (ko) * 2024-05-31 2025-01-23 (주)대산라이팅 간결한 내부구성을 가진 친환경 보안등 점멸기 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29A (ko) * 2014-05-07 2015-11-17 (주)그린솔루션 보안등 점멸장치
KR101599429B1 (ko) * 2014-05-07 2016-03-03 (주)그린솔루션 보안등 점멸장치
KR20160112271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
KR102313392B1 (ko) * 2015-03-18 2021-10-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
KR101619502B1 (ko) * 2015-07-03 2016-05-10 김윤희 잠금 기능을 갖는 보안등 자동 점멸 장치
KR20200000864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이너스텍 이너 유니트의 모듈화를 통한 분리 교체형 보안등점멸기 및 그 부속장치
KR102083523B1 (ko) * 2018-06-26 2020-03-02 주식회사 이너스텍 이너 유니트의 모듈화를 통한 분리 교체형 보안등점멸기 및 그 부속장치
KR102056065B1 (ko) * 2018-12-27 2020-01-14 박우용 보안등 관제 시스템
KR102759309B1 (ko) * 2024-05-31 2025-01-23 (주)대산라이팅 간결한 내부구성을 가진 친환경 보안등 점멸기 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0856A1 (en) Deck box for a swimming pool
KR200374542Y1 (ko) 보안등용 점멸기
CN1274402A (zh) 带有紧急开启按钮和显示模块的门终端
KR100893782B1 (ko) 교통신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교통 신호등 장치 및 그제어 방법
JP6030887B2 (ja) Led道路灯
KR200323842Y1 (ko) 열쇠잠금장치가 부착된 가로등용 배전장치부커버 및 그를이용한 가로등
CN210607167U (zh) 一种跌落熔断器报警装置
CN200950159Y (zh) 路灯电缆防盗器
CN209116183U (zh) 一种家用嵌入式应急灯
CN113990698B (zh) 防误操作的户外环网柜
EP1171737B1 (en) Road lighting device
KR100870707B1 (ko) 가로등 제어반
KR101619502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보안등 자동 점멸 장치
KR101028569B1 (ko)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JP7296280B2 (ja) 交通信号システム用電源切換報知装置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KR200369706Y1 (ko) 비상조명장치
KR200397399Y1 (ko) 보안등 점멸기 케이스
CN207132193U (zh) 一种防护等级为ip65的消防应急照明灯具
JP4949000B2 (ja) 警報機
CN221178153U (zh) 一种交通信号灯控制柜
CN220341797U (zh) 一种户外用立式电箱
CN218276193U (zh) 一种用于工矿灯的应急电源装置
CN219499594U (zh) 一种道路照明灯灯杆漏电监测保护系统
KR200344725Y1 (ko)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0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22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