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2537Y1 - 자동차용 보조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37Y1
KR200372537Y1 KR20-2004-0029855U KR20040029855U KR200372537Y1 KR 200372537 Y1 KR200372537 Y1 KR 200372537Y1 KR 20040029855 U KR20040029855 U KR 20040029855U KR 200372537 Y1 KR200372537 Y1 KR 200372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plate
wheel
bearing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목
Original Assignee
이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목 filed Critical 이재목
Priority to KR20-2004-0029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손바닥밀착부(11)와; 상기 손바닥밀착부(1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15)과; 상기 베어링(15)이 압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17)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을 지지하며 자동차 핸들의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T'자형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판(21)으로서 한쪽 끝에는 상기 휠(31)을 감싸 상기 지지판(21)을 결속시키는 결속고리(23)가 있고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21)을 상기 림(33)에 체결시키기 위한 끈(27)이 연결되어 있는 체결날개(25)를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보조핸들의 높이를 낮추고 자동차 핸들과의 이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시 한 손만으로 자동차의 조향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물론이고 보조핸들이 많이 돌출되지 않아 운전조작에 있어 걸림이 전혀 없으며 특히 급제동을 하거나 사고 등이 일어나는 경우에 보조핸들의 돌출부에 의하여 운전자가 크게 부상당하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핸들{Auxiliary Handle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주행시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핸들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 회전성을 갖추며 한 손으로 쉽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는 보조핸들에 있어서,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부분이 핸들의 표면과 큰 높이차를 보이지 않도록 하고 부착하는 위치도 핸들에 있어서의 휠과 림이 교차하는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T'자형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보조핸들이 과도하게 위로 돌출되어 있음으로 해서 운전자에게 줄 수 있는 자동차 운행 시의 불편과 사고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보조핸들은 자동차 운행시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특히 주차를 하는 경우나 차량 방향의 급전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수회에 걸친 핸들의 회전이 요구되며 이 때 손으로 직접 핸들을 조작하여야 한다면 두 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어 측면이나 후방에 대한 운전시야의 확보가 어려우며 한 손으로만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손이 미끌어지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지만 보조핸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쉽게 핸들을 조정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불편이 많이 해소되었다.
한편, 위와 같은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조핸들이 그동안 고안되어 왔다. 즉,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21784호에서는 차량의 조향핸들에 체결가능하도록 일단에 링부와 타단에 관통홀이 구비된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그 몸체부 일측에 탄성스프링이 내재된 누름스위치에 의해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용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손잡이용 샤프트가 수납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납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그 수납부재의 내부 하단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재되어 상기 누름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용 샤프트에 일정 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고안에서는 차량용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다단으로 높이 조절되는 한편, 보조핸들이 불필요한 경우 손잡이 부분이 조향핸들의 수평면 아랫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보조핸들의 손잡이만을 소정 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90°회동시키거나 손잡이 부분만을 조향핸들에 체결된 결합브라켓과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손쉽게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19호에서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부 고정몸체를 구비하고, 상·하부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하는 레버축을 장착하며, 레버축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레버몸체를 장착하고, 레버몸체의 내부에는 록킹핀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편과 압축스프링과 버튼을 구비하며, 록킹핀의 하단 단부는 상부고정몸체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골목길이나 주차할 때에는 레버를 수직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고안에 있어서는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핸들 위로 많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나 정차시에 팔의 움직임에 따라서는 자유로운 동작을 방해하는 걸림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급제동시나 사고시에 운전자의 전면에 충격을 주어 큰 부상을 불러 일으킬 위험이 많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3-90527호에서는 자동차의 코너링이나 주차 시 핸들을 움켜잡지 않고 손바닥으로 돌릴 수 있도록 보조핸들을 제공하되 보조핸들이 핸들에서 낮게 돌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보조핸들을 만들 때 테두리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보조핸들과 일체로 고화되도록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있어서도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낮게 제조되기는 하나 곡면을 가지는 핸들의 휠에 부착되기 때문에 핸들과 보조핸들의 이격을 감수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운전자의 손동작이 일정한 경우 보조핸들에 의하여 방해를 받게 되며 또한 보조핸들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핸들의 휠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므로 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핸들은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핸들 위로의 돌출이 심해서 운전자의 팔동작이 방해받을 수 있는 소지가 컸고 급박한 상황 등에 있어서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핸들에의 체결력이 약해지면 휠을 따라 미끄러지는 단점도 있어 또 다른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운행시 핸들의 조향을 돕는 보조핸들의 돌출을 최소한으로 하여 운전자의 팔동작을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하고 급제동 등의 급박한 상황에 있어서도 운전자에게 위해요소가 되지 않게 하며 핸들의 비교적 넓은 표면에 보조핸들을 위치시킴으로써 보조핸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핸들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이 핸들과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손바닥 밀착부 13 : 회전축
15 : 베어링 17 : 베어링하우징
21 : 지지판 23, 23' : 결속고리
25 : 체결날개 25' : 고정클립
27 : 끈
31 : 휠 33 : 림
41 : 일체형 핸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손바닥밀착부와; 상기 손바닥밀착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압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지지하며 자동차 핸들의 휠과 림이 교차하는 'T'자형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판으로서 한쪽 끝에는 상기 휠을 감싸 상기 지지판을 결속시키는 결속고리가 있고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을 상기 림에 체결시키기 위한 끈이 연결되어 있는 체결날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날개와 끈은 고정클립의 형태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손바닥밀착부와; 상기 손바닥밀착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압입되어 설치되며 핸들과 일체로 되어 있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핸들을 손바닥과의 마찰만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보다 손바닥밀착부의 볼록한 돌출부를 이용함으로써 훨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손바닥밀착부가 지지판과 함께 핸들의 휠과 림이 교차하는 'T'자형 표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핸들의 휠 밖으로 과도하게 튀어나오지도 않으며 핸들과의 이격도 거의 없어 운전자의 동작이 자유롭고 또한 휠과 림에 동시에 보조핸들을 체결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체결상태가 헐거워져 휠을 따라 미끄러지는 단점이 없이 보조핸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핸들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이 핸들과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 도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은 회전축(13)을 포함하여 베어링(15) 및 베어링하우징(17)이 지지판(21)위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3)에는 손바닥밀착부(11)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지지판(21)의 한 쪽 끝에는 자동차 핸들의 휠(31)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판(21)이 자동차 핸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결속고리(23)가 있고 지지판(21)의 양 측면에는 자동차 핸들의 림(33)에 상기 지지판(21)을 체결시키기 위한 끈(27)이 연결되어 있는 체결날개(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21)에 결속고리(23)와 체결날개(25)를 일체형으로 사출하게 되면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1)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있어서 받침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전의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있어서는 핸들의 휠(31)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휠(31)의 곡률을 고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자동차 핸들의 비교적 넓고 편평한 표면에 설치가 되므로 보조핸들의 고정이 안정적이어서 평면의 형태로 지지판(21)을 제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베어링(15)을 포함하고 있는 베어링하우징(17)의 높이는 최소한으로 하되,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생기는 곡면의 높이차로 인하여 손바닥밀착부(11)가 결합되었을때 회전에 걸림이 있다든가 하는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하면 된다. 또는 손바닥밀착부(11)의 형태를 변형하여 상기 베어링하우징(17)의 위쪽 일부가 손바닥밀착부(11)의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면 베어링하우징(17)의 높이는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그렇게 하면서 상기 지지판(21)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제조하여 손바닥밀착부(11)와 지지판(21)간의 이격이 거의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손바닥밀착부(11)는 자동차 핸들의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을 가지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 핸들을 조작하는 동안 걸림이 거의 없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지지판(21)과 손바닥밀착부(11)가 접합하는 부위를 연속적인 곡면을 주어 가공하면 림(33)을 따라 이동하는 운전자의 손이 보조핸들에 닿았을 때에도 걸림이 거의 없게 된다. 손바닥밀착부(11)는 위가 볼록하게 하여 운전자가 손바닥을 붙이는 것만으로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손과의 마찰력이 커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표면을 제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결속고리(23)는 지지판(21)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데 2개 이상의 분리형 고리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핸들의 원주를 따라 부드러운 곡면부를 가지는 연결형 고리로 하면 핸들 조작시 걸림이 적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자동차 핸들 휠(31)의 지름은 제한된 범위내에서 변화하므로 평균적인 지름을 가상하여 결속고리(23)의 크기를 결정하면 되고, 더욱이 지지판(21)을 비롯한 결속고리(23)의 재질을 탄성이 있는 것으로 하면 휠(31)에 끼워 고정하는데에는 아무런 불편이 없을것이다. 그리고 도4에서 도시되고 있는 것처럼 결속고리(23')의 길이를 핸들의 원주를 따라 적절한 길이로 연장하는 것도 결속력 및 조작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판(2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날개(25)는 지지판(21)을 자동차 핸들의 림(33)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체결형태를 상정할 수 있으나 도1에서는 그 중에 끈(27)을 포함하는 체결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체결날개(25)의 하부에 구멍을 내어 끈(27)을 연결하고 상기 끈(27)을 이용하여 핸들의 림(33)을 조임으로써 체결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체결날개(25)의 하부는 안쪽으로 약간의 굴림을 주어 위에서 보았을 때 끈(27)과의 연결부분이 감추어지게 되어 외관이 지저분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체결형태를 끈(27)으로 하게 되는 경우의 장점은 대개의 경우 핸들에 있어서의 림(33)의 크기와 모양은 휠(31)과 달리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체결부위의 크기와 모양을 일정하게 표준화 할 수 없고 따라서 핸들마다 각기 다른 형태와 크기의 체결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는 비효율에서 자유롭다는 것이다.
한편 도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끈(27)으로 림(33)에 체결되는 형태 대신에 나사로 체결하게 되는 고정클립(25')으로 대체하는 것도 또 따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며 보다 강한 결속력을 기대할 수 있다.
도5에서는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의 보조핸들이 자동차 핸들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휠(31)과 림(33)을 중복적으로 결속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핸들에의 결합이 단단하며 운전자가 장시간 보조핸들을 사용하더라도 결속이 헐거워지거나 하여 휠(31)을 따라 보조핸들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비교적 넓은 표면을 이용하여 보조핸들을 결합시키게 되므로 보조핸들이 본래의 자동차 핸들이 차지하는 공간 밖으로 많이 돌출되지 않아 운전자의 팔동작에 걸림이 없고 운전자는 손바닥 밀착부(11)에 한 손만을 밀착시키고도 자동차 핸들을 조향할 수 있게 된다.
도6에서는 상기 설명한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일부 구조가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핸들(41)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미 제조되어진 핸들에는 상기와 같이 돌출과 걸림이 적은 보조핸들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향후 제조되어지는 핸들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가진 보조핸들에 있어서 지지판(21)을 제거하고 베어링하우징(17)을 핸들에 일체형으로 삽입함으로써 손바닥 밀착부(11)가 더욱더 적은 돌출정도를 유지하며 핸들에 위치하게 되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작용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자동차 핸들의 비교적 넓은 표면에 이중의 결속을 통하여 보조핸들을 결합하고 손바닥밀착부(11)를 베어링(15)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며 보조핸들의 높이를 낮추고 자동차 핸들과의 이격을 최소화 하여, 운행시 한 손만으로 자동차의 조향이 용이하게하는 것을 물론이고 보조핸들이 많이 돌출되지 않아 운전자의 운전조작에 있어 걸림이 전혀 없으며 특히 급제동을 하거나 사고 등이 일어나는 경우에 보조핸들의 돌출부에 의하여 운전자가 크게 부상당하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손바닥밀착부(11)와; 상기 손바닥밀착부(1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15)과; 상기 베어링(15)이 압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17)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을 지지하며 자동차 핸들의 휠(31)과 림(33)이 교차하는 'T'자형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판(21)으로서 한쪽 끝에는 상기 휠(31)을 감싸 상기 지지판(21)을 결속시키는 결속고리(23)가 있고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21)을 상기 림(33)에 체결시키기 위한 끈(27)이 연결되어 있는 체결날개(25)를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날개(25)와 끈(27)은 고정클립(25')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핸들.
  3.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손바닥밀착부(11)와; 상기 손바닥밀착부(1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15)과; 상기 베어링(15)이 압입되어 설치되며 핸들과 일체로 되어 있는 베어링 하우징(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2004-0029855U 2004-10-22 2004-10-22 자동차용 보조핸들 Expired - Fee Related KR200372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55U KR200372537Y1 (ko) 2004-10-22 2004-10-22 자동차용 보조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55U KR200372537Y1 (ko) 2004-10-22 2004-10-22 자동차용 보조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37Y1 true KR200372537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85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2537Y1 (ko) 2004-10-22 2004-10-22 자동차용 보조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261A (en) Steering wheel fixing construction for toy vehicles
JP3881114B2 (ja) 身体障害者用スイッチ付ハンドル旋回装置
JP2011143088A (ja) 自動車玩具
US20020089138A1 (en) Scooter steering control
CN102125762A (zh) 汽车玩具
US20030067151A1 (en) Frame for an electric scooter
KR200372537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JP4961318B2 (ja) ワイパアーム
US20020089139A1 (en) Scooter steering control
CN218463798U (zh) 一种儿童三轮车
KR100783364B1 (ko) 조향핸들 커버 일체형 선회장치
KR100610978B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JPH04100975U (ja) 二輪車用部品の取付装置
EP2388492B1 (fr) Dispositif d'assistance à la pédale de débrayage d'un véhicule automobile
CN219948292U (zh) 一种方向盘助力球
EP4470895B1 (en) Straddled vehicle
JP4582323B2 (ja) ブレーキのグリップ装置
CN100408425C (zh) 车辆用速度设定装置
KR200353932Y1 (ko) 자동차용 보조 핸들
KR200359888Y1 (ko)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CN2818230Y (zh) 汽车脚踏按喇叭装置
JP5599295B2 (ja) 自転車の前ブレーキ保護装置
JPS6419572U (ko)
JP3068452U (ja) 自転車用発電機の起倒遠隔操作装置
KR200227626Y1 (ko) 스티어링 휠용 보조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0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0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92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