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1344Y1 -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344Y1
KR200371344Y1 KR20-2004-0028208U KR20040028208U KR200371344Y1 KR 200371344 Y1 KR200371344 Y1 KR 200371344Y1 KR 20040028208 U KR20040028208 U KR 20040028208U KR 200371344 Y1 KR200371344 Y1 KR 200371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mmunication equipment
handle
detachable device
loc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8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3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1Draw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쉘프와, 이에 슬라이딩되면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씨비와, 피씨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과, 이에 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피씨비가 쉘프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전면판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피씨비의 인출을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회동손잡이와, 회동손잡이에 걸림되는 록커를 포함한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 폭방향 위치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에는 이에 밀착배치되고 상기 안내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안내편을 갖는 밀대가 설치되며, 상기 록커의 길이 일부에는 고정슬릿이 천공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슬릿에 출몰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밀대의 안내편에 고정되도록 상기 회동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이중시건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그 잠금기능을 더욱 강화시킴은 물론 미백업된 데이터의 여부를 재검검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와 충분한 백업시간을 제공하여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탈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PCB INJECTION OR EJEC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OUBLE LOCKING IN COMMUNIC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이 오프된 후 피씨비가 통신장비에서 인출될 때 1,2차에 걸쳐 그 잠금장치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피씨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분히 백업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 교환기 또는 기지국 등에 사용되는 통신장비는 바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랙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랙에는 전면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쉘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비용 쉘프(10)는, 상하방향 및 가로방향을 따라 거의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11) 및 가로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피씨비(17)의 상하연부를 각각 수용하여 피씨비(17)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13) 및 하부가이드(14)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각 피씨비(17)의 후면에는 쉘프(10)의 후면에 배치된 마더보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피씨비(17)의 전면에는 피씨비(17)가 쉘프(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또한 쉘프(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20)는 피씨비(17)의 전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면판(21)과, 전면판(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쉘프(10)의 개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5)과 맞물림 및 해제되어 피씨비(17)를 고정 및 인출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착탈조립체(23)를 구비하고 있다.
착탈조립체(23)는 전면판(21)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지지부재(31)와, 손잡이지지부재(3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손잡이(51)와, 회동손잡이(51)를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록커(62)와, 손잡이지지부재(31)에 결합되어 후술할 조작스위치(71)를 온 또는 오프 위치로 회동 조작하는 조작레버(65)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레버(65)의 중앙영역에는 레버핀(38)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핀공(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조작스위치(71)의 스위치핀(72)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핀수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지지부재(31)의 일측에는 피씨비(17)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피씨비결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영역에는 록커(62)가 수용되어 고정볼트(3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32)의 하측에는 조작레버(65)가 레버핀(3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핀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지지부재(31)의 하부에는 회동손잡이(51)가 손잡이핀(3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손잡이핀(37)이 수용되는 핀공(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핀(37)의 둘레에는 토션스프링(39)이 결합되어 있다. 핀공(40)의 일측에는 회동손잡이(51)의 하부와 접촉되어 회동손잡이(5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42)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손잡이(51)는 손잡이지지부재(31)를 폭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조작레버(65)의 일단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회동손잡이(51)의 회동에 연동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레버(65)의 끝단을 가이드하는 레버가이드(53)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손잡이(51)의 하부영역에는 손잡이핀(37)이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핀수용공(5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수용공(55)의 하측에는 쉘프(10)에 형성된 걸림턱(15)이 수용될 수 있도록 걸림턱수용홈(57)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수용홈(57)의 일측에는 스톱퍼(42)와 접촉되는 스톱퍼접촉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손잡이(51)의 상부영역에는 록커(6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쉘프(10)로부터 피씨비(17)를 인출하고자 할 때는, 록커(62)가 회동손잡이(51)의 손잡이핀(3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록커(62)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회동손잡이(51)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손잡이(51)를 손잡이핀(37)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전방으로 당긴다. 회동손잡이(51)가 손잡이핀(3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레버가이드(53)의 내부에 수용된 조작레버(65)의 끝단은 가압되어 레버가이드(5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65)는 레버핀(38)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핀수용부(67)의 내부에 수용된 스위치핀(72)은 오프위치로 회동된다. 조작스위치(71)가 오프로 되면 피씨비(17)의 데이터의 백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회동손잡이(51)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회동손잡이(51)의 스톱퍼접촉부(59)와 스톱퍼(42)가 상호 접촉되면 회동손잡이(51)는 회동저지되고, 각 걸림턱(15)은 걸림턱수용홈(57)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된다. 이때 회동손잡이(51)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쉘프(10)로부터 피씨비(17)가 상부가이드(13) 및 하부가이드(14)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쉘프(10)로부터 인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착탈장치는 록커(62)에 의한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손잡이핀(37)을 중심으로 아무런 제약없이 회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씨비(17)의 데이터의 백업이 완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피씨비(17)가 마더보드로부터 무리하게 접속이 해제 및/또는 분리될 경우, 데이터의 손실 또는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순히 탄력성만을 통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록커(62)는 신뢰할만한 시건장치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통신장비에서 피씨비를 인출할 때에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인출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피씨비의 데이터를 충분한 시간동안 백업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장비용 쉘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착탈조립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통신장비 피씨비의 인출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착탈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착탈조립체중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착탈조립체 51....회동손잡이
61....관통공 62....록커
100....고정판 110....고정슬릿
120....밀대 122....안내편
130....안내공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쉘프와, 이에 슬라이딩되면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씨비와, 피씨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과, 이에 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피씨비가 쉘프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전면판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피씨비의 인출을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회동손잡이와, 회동손잡이에 걸림되는 록커를 포함한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 폭방향 위치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에는 이에 밀착배치되고 상기 안내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안내편을 갖는 밀대가 설치되며, 상기 록커의 길이 일부에는 고정슬릿이 천공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슬릿에 출몰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밀대의 안내편에 고정되도록 상기 회동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착탈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착탈조립체중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착탈조립체(23')는 전면판(도 2의 '21')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지지부재(31)와, 손잡이지지부재(3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손잡이(51)와, 회동손잡이(51)를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록커(62)와, 손잡이지지부재(31)에 결합되어 전술한 종래기술에 속하는 도면상에 기재된 조작스위치(71)를 온 또는 오프 위치로 회동조작하는 조작레버(도 3의 '65')를 기존과 같은 형태와 구조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손잡이(51)의 상면에는 그 폭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슬릿형 안내공(130)이 천공형성된다.
상기 안내공(130)에는 안내편(122)이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끼워진 후에는 안내공(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편(122)은 밀대(120)의 폭방향 양측단으로부터 하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된 사각편상의 부재이다.
상기 밀대(120)는 그 상면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편(122)이 안내공(130)에 삽입되면서 밀대(120)의 하단면이 상기 회동손잡이(51)의 상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회동손잡이(51)의 내부에는 록커(62)가 통과하는 관통공(61)을 향하여 출몰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판(1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00)은 직선형으로 연장된 일부분의 단부가 동일거리만큼 이격된 후 분기된 형태, 예컨대 대략 소리굽쇠 형상을 갖되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분기된 부분중 일부는 상기 밀대(120)의 안내편(122) 측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아울러, 록커(51)의 길이방향 일부인 상기 고정판(100)의 출몰지점과 일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판(100)이 관통될 수 있는 고정슬릿(110)이 천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대(120)를 밀어 전후진 동작시키게 되면 안내편(122)과 연결된 고정판(100)이 연동되면서 이 고정판(100)의 선단이 상기 록커(51)의 고정슬릿(110)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잠금상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동손잡이(51)의 밀대(120)가 유동되는 부위에 잠금(close), 개방(open) 등과 같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하지 아니한 다른 부분은 종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기술구성은 기존 구조에 잠금기능을 하나더 추가하여 이중시건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통신장비로부터 피씨비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과정이 선행된 다음 전술하였던 종래 기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되어 인출되게 된다.
선행되는 과정은 이중시건된 록커(62)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과정이다.
록커(62)의 해제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7에서와 같이, 피씨비가 잠금된 최종상태는 회동손잡이(51)에 잠금(close)라고 표시된 문자가 보이도록 된 상태로서 밀대(120)가 록커(62) 측으로 최대한 전진되어 고정판(100)이 고정슬릿(1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록커(62)를 분리하기 위해 당겨도 탄성변형되지 못하므로 인출자는 다시 한번 데이터의 백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록커(62)의 분리를 위해, 인출자는 밀대(120)의 상면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힘껏 밀게 되면 밀대(120)가 유동되면서 잠금(close) 표시는 사라지고 개방(open) 표시가 나타나면서 록커(62)의 고정슬릿(110) 끼워져 있던 고정판(100)이상기 고정슬릿(110)으로부터 빠져나와 그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록커(62)는 구속력이 없으므로 자유롭게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인출자는 상기 록커(62)를 관통공(61) 측으로 당기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탈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 착탈장치는 록커(62)에 잠금기능을 한번 더 부여함으로써 이중시건이 되도록 하여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신장비의 피씨비 탈착장치를 이루는 착탈조립체의 취약성을 보완하여 이중시건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그 잠금기능을 더욱 강화시킴은 물론 미백업된 데이터의 여부를 재검검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와 충분한 백업시간을 제공하여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탈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쉘프와, 이에 슬라이딩되면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씨비와, 피씨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과, 이에 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피씨비가 쉘프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전면판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피씨비의 인출을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회동손잡이와, 회동손잡이에 걸림되는 록커를 포함한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 폭방향 위치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에는 이에 밀착배치되고 상기 안내공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안내편을 갖는 밀대가 설치되며,
    상기 록커의 길이 일부에는 고정슬릿이 천공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슬릿에 출몰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밀대의 안내편에 고정되도록 상기 회동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의 상면에는 상기 밀대의 유동에 의해 가려지거나 노출되면서 잠금상태와 개방상태를 알리는 문자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안내편에 고정되는 후단이 소리굽쇠 형상으로 분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KR20-2004-0028208U 2004-10-05 2004-10-05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71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08U KR200371344Y1 (ko) 2004-10-05 2004-10-05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08U KR200371344Y1 (ko) 2004-10-05 2004-10-05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344Y1 true KR200371344Y1 (ko) 2004-12-29

Family

ID=4944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208U Expired - Lifetime KR200371344Y1 (ko) 2004-10-05 2004-10-05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82B1 (ko) * 2021-02-17 2021-04-06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동구조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셸프의 백피시비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82B1 (ko) * 2021-02-17 2021-04-06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동구조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셸프의 백피시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521B2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582287B2 (en) Drive carrier with pivoting handle
EP1653327B1 (en) Docking station
US20040211737A1 (en) Tiltable knife holder
US6898079B2 (en) Docking station and notebook computer using the same
US7128586B2 (en)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communication port on electronic apparatus
EP2632240B1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US9173310B2 (en) Latch for securing a compute node in a component storage rack
CN108089654B (zh) 插拔装置及具有该插拔装置的机箱
US9861193B2 (en) Bracket device
US8833715B2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CN101901026A (zh) 坞站
EP1466512B1 (en) A lever that combines insertion, retention, and ejection functions for cards
JP2014099007A (ja) 着脱機構、装着装置、電子機器
KR20140071760A (ko)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JP4113154B2 (ja) 機器ユニット着脱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371344Y1 (ko) 통신장비의 피씨비 이중시건 착탈장치
WO2014177937A2 (en) A display screen assembly having a selectively engageable mount assembly
CN210102564U (zh) 容器及其锁定装置
KR20040026441A (ko)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
KR20040043235A (ko)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
US5971778A (en) Memory storage device bracket having releasing and extracting handle
US7440292B2 (en)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0511318B1 (ko) 노트북 컴퓨터용 슬라이스의 록킹 장치
KR100500242B1 (ko) 배터리팩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0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0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