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0709Y1 -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709Y1
KR200370709Y1 KR20-2004-0028059U KR20040028059U KR200370709Y1 KR 200370709 Y1 KR200370709 Y1 KR 200370709Y1 KR 20040028059 U KR20040028059 U KR 20040028059U KR 200370709 Y1 KR200370709 Y1 KR 200370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opening
groove
valve body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8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7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통형의 밸브 형상으로 일측 상부에 T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그 T 형상의 대응하는 하부로 사각형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의 상부로 제 1, 2 개구홈이 형성되고, 내경 중심부위에 관통형의 구획벽이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구획벽에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되고, 그 스프링의 또 다른 일측에 카트리지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과 카트리지를 내부에 포함하는 상하로 일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그 통형상의 외주면에 일정 형상을 가지는 브러쉬가 형성된 내부 투명관과, 상기 내부 투명관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O-링이 장착되는 단차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O-링이 삽입되는 O-링홈이 형성되며 단차가 형성된 일측 상부에 볼트홈이 형성된 외부 투명관과, 상기 외부 투명관의 단차 및 O-링홈에 삽입되는 O-링과, 상기 볼트홈에 삽입 장착되는 렌찌 볼트, 및 멈춤링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다음단에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조절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조절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제 1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1 스템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상기 유량 조절부의 다음단 일측으로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개폐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개폐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제 2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개폐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2 스템으로 이루어져 유량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량 개폐부의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와 기밀되게 장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은 유량계를 이용한 통과 유량의 확인과 동시에 유량 조절부 및 유량 개폐부의 신속한 조정을 통한 유량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그로인한 시스템 계통의 유량 제어성능이 향상되어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밸런스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고 운용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A FLOW CONTROL VALVE OF HOT WATER DISTRIBUTOR}
본 고안은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과 아파트 등의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온수를 조절하기 위한 온수분배기용 유량조절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량 측정용 유량계와 유량의 미세 조정을 위한 유량 조절부 및 유량의 단속을 위한 유량 개폐부를 하나의 조절 밸브를 통해 일체로 구성하여 개별적인 각 방의 난방을 적정상태로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아파트 등에서 난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온수는 보일러에서 히팅된 상태에서 배관을 통해 난방 분배기로 공급되고, 그 난방 분배기로 공급된 온수는 온수 파이프를 통해 실내 바닥으로 이동하여 실내 바닥을 가열하게 되며, 실내 바닥을 가열한 온수는 난방 분배기로 복귀된 후 배관을 통해 보일러로 이동되고, 상기 보일러로 귀환된 온수는 보일러에 의해 재가열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재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난방 분배기는 공급 분배체와 환수 분배체로 분류되고, 그 공급 분배체는 분배 헤더의 측부에 분배노즐을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분배노즐에 밸브 손잡이를 형성하며, 그 분배노즐에는 온수파이프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환수 분배체는 분배 헤더의 측부에 분배노즐을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분배노즐에 온수파이프가 결합된다.
이러한, 분배노즐의 밸브 손잡이는 온수파이프로의 온수 공급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밸브 손잡이를 이용하여 특정 분배노즐을 차단하는 경우 해당 온수파이프로 온수가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특정 룸이 난방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온수의 순환은 특정 룸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에 의해서 조절이 가능해지며, 그 온도 조절기를 조작하여 해당 룸의 온도를 우선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보일러의 작동으로 온수가 공급되고, 공급된 온수는 실내를 히팅함으로써 특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설정 온도로 실내가 난방되면 온수의 순환은 자동적으로 정지되고, 그 온수 순환이 특정 룸의 온도에 의해서 정지됨으로써 각 룸의 온도가 적정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난방시 유량계와 유량 조절부 및 유량 개폐부가 일체로 형성된 유량 조절밸브를 통해 난방 분배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량을 난방하고자 하는 룸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세 조정하여 공급함으로써 각 룸의 온도가 적정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는, 관통형의 밸브 형상으로 일측 상부에 T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그 T 형상의 대응하는 하부로 사각형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의 상부로 제 1, 2 개구홈이 형성되고, 내경 중심부위에 관통형의 구획벽이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구획벽에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되고, 그 스프링의 또 다른 일측에 카트리지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스프링과 카트리지를 내부에 포함하는 상하로 일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그 통형상의 외주면에 일정 형상을 가지는 브러쉬가 형성된 내부 투명관과, 상기 내부 투명관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O-링이 장착되는 단차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O-링이 삽입되는 O-링홈이 형성되며 단차가 형성된 일측 상부에 볼트홈이 형성된 외부 투명관과, 상기 외부 투명관의 단차 및 O-링홈에 삽입되는 O-링과, 상기 볼트홈에 삽입 장착되는 렌찌 볼트, 및 멈춤링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다음단에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조절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조절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제 1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1 스템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상기 유량 조절부의 다음단 일측으로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개폐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개폐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제 2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개폐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2 스템으로 이루어져 유량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량 개폐부의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와 기밀되게 장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중 유량조절볼과 유량개폐볼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 몸체 101 : T 형상의 장공
102 : 사각형상의 장공 103 : 제 1 개구홈
104 : 제 2 개구홈 105 : 구획벽
200 : 유량계 210 : 내부 투명관
211 : 카트리지 212 : 스프링
213 : 브러쉬 220 : 외부 투명관
221 : 단차 222 : O-링홈
223 : 볼트홈 230 : O-링
240 : 렌찌 볼트 250 : 멈춤링
300 : 유량 조절부 301 : 스템홈부
302 : 유량조절볼 303 :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
304 : 제 1 스템 305 : 보호 뚜껑
310 : 와셔 320 : O-링홈
400 : 유량 개폐부 401 : 스템홈부
402 : 유량개폐볼 403 :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
404 : 제 2 스템 500 : 덮개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는 크게 구분하여 볼 때 밸브 몸체(100), 유량계(200), 유량 조절부(300), 유량 개폐부(400), 및 덮개(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몸체(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관통형의 밸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난방을 위한 난방 분배기(미도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상부에 T 형상의 장공(101)을 형성하고, 그 T 형상의 장공(101)과 대응하는 하부로 사각형상의 장공(102)을 형성하며, 또 다른 일측의 상부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연이은 제 1, 2 개구홈(103, 104)을 형성하고, 내경 중심부위에 단턱이 지게 일체로 형성된 관통형의 구획벽(105)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형의 구획벽(105)을 통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량계(200)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구획벽(105)에 의해 형성된 제 1 공간에 설치되어 온수의 통과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몸체(100)의 구획벽(105)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구획벽(105)에 스프링(212)의 일측이 삽입되고, 그 스프링(212)의 또다른 일측에 카트리지(211)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212)과 카트리지(211)를 내부에 포함하는 상하로 일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그 통형상의 외주면에 일정 형상을 가지는 브러쉬(213)가 형성된 내부 투명관(210)과, 상기 내부 투명관(210)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O-링(230)이 장착되는 단차(221)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O-링(230)이 삽입되는 O-링홈(222)이 형성되며 단차(221)가 형성된 일측 상부에 볼트홈(223)이 형성된 외부 투명관(220)과,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단차(221) 및 O-링홈(222)에 삽입되는 O-링(230)과, 상기 볼트홈(223)에 삽입 장착되는 렌찌 볼트(240), 및 멈춤링(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2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스프링(2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투명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브러쉬(213)는 상기 내부 투명관(210)의 외주면 길이 방향으로 그 외주면상에 물결 형상이 돌출 형성된 이중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브러쉬(213)의 형상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213)는 물결 형상 이외에도 파형이나 톱날 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의 변경도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부(300)는 상기 유량계(200)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몸체(100)의 구획벽(105) 다음단에 스템홈부(301)가 형성된 유량조절볼(302)을 형성하고, 그 유량조절볼(302)의 양측으로 기밀되게 장착되는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30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몸체(100)의 제 1 개구홈(103)을 통해상기 유량조절볼(302)의 스템홈부(301)와 연결되는 제 1 스템(3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량 조절부(300)내 제 1 스템(304)의 상부에는 유량의 미세 조정후 임의적인 유량 변경의 방지를 위한 보호 뚜껑(305)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볼(302)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유량 조절 기능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또 다른 일측으로 원 형상의 개구된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부(300)의 제 1 스템(304)에는 상기 밸브 몸체(10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O-링(230)이 삽입된 O-링홈(32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 개폐부(400)는 상기 유량 조절부(300)의 다음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 조절부(300)를 통해 미세 조정되어 공급되는 온수량, 즉 유량의 흐름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 조절부(300)의 다음단 일측으로 스템홈부(401)가 형성된 유량개폐볼(402)을 형성하고, 그 유량개폐볼(402)의 양측으로 기밀되게 장착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40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몸체(100)의 제 2 개구홈(104)을 통해 상기 유량개폐볼(402)의 스템홈부(401)와 연결되는 제 2 스템(4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량 개폐부(400)내 제 2 스템(404)에는 상기 유량 조절부(300)내 제 1 스템(304)과 같이 상기 밸브 몸체(10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O-링(230)이 삽입된 O-링홈(32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개폐볼(402)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 조절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온/오프시켜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개구된 원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부(300)와 유량 개폐부(400)의 각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303, 403) 사이에는 상기 유량 조절부(300)와 유량 개폐부(400)의 구획을 위한 환형의 와셔(31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500)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제 2 공간이 형성되는 일측 내부에 삽입이 가능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량 개폐부(400)의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403)와 기밀되게 장착되어 상기 유량 개폐부(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303, 403)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상기 유량조절볼(302) 및 유량개폐볼(402)에 대응하여 회전이 용이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일측으로 난방을 위한 온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온수는 상기 유량계(200)의 내부 투명관(210)에 형성된 카트리지(211)를 통해 상기밸브 몸체(100)의 제 2 공간에 형성된 유량 조절부(300)로 공급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유량계(200)의 카트리지(211)가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에 밀려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211)와 접속된 스프링(212)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T 형상의 장공(101)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유량계 측정 눈금이 표시된 외부 투명관(220)의 측정 눈금을 읽음으로서 현재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유량계(200)는 장시간 사용시 내부에 흐르는 유량에 의해 물 때가 끼이게 되고, 그로인해 유량의 측정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내경에 끼인 물 때는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볼트홈(223)에 삽입 장착된 렌찌 볼트(2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내경과 상기 내부 투명관(210)의 브러쉬(213)가 마찰되고, 그로인해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내경에 끼인 물 때가 쉽게 제거된다.
이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300)로 공급된 온수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유량조절볼(302)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관통공을 통해 미세 조정되어진 후 상기 유량 개폐부(4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량 조절부(300)의 미세 조정은 상기 유량조절볼(302)의 상부에 형성된 스템홈부(301)와 결합되는 제 1 스템(304)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관통공의 개구량이 제어되고, 그에 따라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량 개폐부(400)로 공급된 온수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유량개폐볼(402)에 형성된 원 형상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덮개(5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량 개폐부(400)는 상기 유량개폐볼(402)의 상부에 형성된 스템홈부(401)와 결합되는 제 2 스템(404)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유량개폐볼(402)이 좌우로 이동되고, 그로인해 원 형상의 관통공이 온/오프되어 공급되는 유량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량조절볼(302)과 유량개폐볼(402)의 형상은 도 4의 (a) 및 (b)에 좌/우측면도 및 좌/우측 사시도로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500)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일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유량 개폐부(400)의 일측에 형성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403)와 기밀되게 밀착되어, 상기 유량 개폐부(4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10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상기 멈춤링(250)은 상기 유량계(200)의 일측에 기밀되게 장착되어 상기 유량계(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참고로,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의 평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고, 그 밸브 몸체(100)의 평면도 및 배면도에는 유량조절 및 유량개폐를 위한 표시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 투명관(220)의 유량 표시눈금도 상기 밸브 몸체(100)의 상기 T 형상의 장공(101) 및 사각형상의 장공(102)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에 의하면,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량 측정용 유량계와 유량의 미세 조정을 위한 유량 조절부 및 유량의 단속을 위한 유량 개폐부를 하나의 조절 밸브를 통해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유량계를 이용한 통과 유량의 확인과 동시에 유량 조절부 및 유량 개폐부의 신속한 조정을 통한 유량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그로인한 시스템 계통의 유량 제어성능이 향상되어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밸런스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고 운용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량 조절부 및 유량 개폐부의 더블 볼 밸브 방식의 장착 구성으로 인한 유량의 미세 조절 및 단속이 용이하며, 외부 투명관에 장착되는 렌찌 볼트의 간단한 조작으로 유량계의 눈금이 표시되는 외부 투명관의 내측에 끼인 물 때의 청소가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관통형의 밸브 형상으로 일측 상부에 T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그 T 형상의 대응하는 하부로 사각형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의 상부로 제 1, 2 개구홈이 형성되고, 내경 중심부위에 관통형의 구획벽이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구획벽에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되고, 그 스프링의 또 다른 일측에 카트리지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과 카트리지를 내부에 포함하는 상하로 일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그 통형상의 외주면에 일정 형상을 가지는 브러쉬가 형성된 내부 투명관과, 상기 내부 투명관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O-링이 장착되는 단차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O-링이 삽입되는 O-링홈이 형성되며 단차가 형성된 일측 상부에 볼트홈이 형성된 외부 투명관과, 상기 외부 투명관의 단차 및 O-링홈에 삽입되는 O-링과, 상기 볼트홈에 삽입 장착되는 렌찌 볼트, 및 멈춤링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밸브 몸체의 구획벽 다음단에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조절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조절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제 1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1 스템으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상기 유량 조절부의 다음단 일측으로 스템홈부가 형성된 유량개폐볼이 장착되고, 그 유량개폐볼의 양측으로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가 기밀되게 장착되며, 상기밸브 몸체의 제 2 개구홈을 통해 상기 유량개폐볼의 스템홈부와 연결되는 제 2 스템으로 이루어져 유량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량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량 개폐부의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와 기밀되게 장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내부 투명관의 외주면 길이 방향으로 그 외주면상에 물결 형상이 돌출 형성된 이중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내 제 1 스템의 상부에는 유량의 미세 조정후 임의적인 유량 변경의 방지를 위한 보호 뚜껑이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볼은, 미세한 유량 조절 기능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은 원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와 유량 개폐부의 각 테프론 재질의 환형체 사이에는 유량조절부와 유량 개폐부의 구획을 위한 환형의 와셔가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와 유량 개폐부의 제 1, 2 스템에는 상기 밸브 몸체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O-링이 삽입된 O-링홈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KR20-2004-0028059U 2004-10-04 2004-10-04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Expired - Lifetime KR200370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9U KR200370709Y1 (ko) 2004-10-04 2004-10-04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9U KR200370709Y1 (ko) 2004-10-04 2004-10-04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709Y1 true KR200370709Y1 (ko) 2004-12-16

Family

ID=4944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59U Expired - Lifetime KR200370709Y1 (ko) 2004-10-04 2004-10-04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7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113B1 (ko) * 2010-12-13 2015-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순차적 유량배분 밸브
KR20170037803A (ko) 2015-09-28 2017-04-05 주식회사 이에스에스이 미세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난방온수분배기
CN111649156A (zh) * 2020-06-16 2020-09-11 王大军 智能式风机盘管平衡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113B1 (ko) * 2010-12-13 2015-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순차적 유량배분 밸브
KR20170037803A (ko) 2015-09-28 2017-04-05 주식회사 이에스에스이 미세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난방온수분배기
CN111649156A (zh) * 2020-06-16 2020-09-11 王大军 智能式风机盘管平衡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639A (en) Shower head
US6367710B2 (en) Showerhead
US6321036B1 (en) Electric water heater
US6805151B1 (en) Valve seats and a ceramic control valve of a faucet
US3459208A (en) Cycling valve
CN106151596A (zh) 单侧定流量的阀门装置及其流体供应系统
KR200370709Y1 (ko) 온수분배기용 유량 조절 밸브
TW202014628A (zh) 冷熱水混合閥
CN104976383B (zh) 一种出水装置
CN108548002B (zh) 一种数显温度恒温控制阀
CN205877273U (zh) 单柄双联节水阀芯及其流体供应系统
CN107339498A (zh) 一种具有多个调节位置的阀芯
CN207830637U (zh) 一种五档淋浴器
CN218913836U (zh) 一种使用方便的控制阀及具有该控制阀的出水装置
CN209484847U (zh) 一种带机械恒温调控的电热水器
US2575940A (en) Mixing faucet
CN213143256U (zh) 一种双热水水路的恒温淋浴器
CN206600493U (zh) 一种恒温阀芯
CN209557676U (zh) 一种防粘小流量阀
CN211756075U (zh) 一种花洒
JP4002195B2 (ja) 流体加熱用ヒータ
KR200263677Y1 (ko) 온수분배 시스템
CN207180049U (zh) 一种稳流控制阀以及使用该稳流控制阀的热水器
CN206918324U (zh) 一种恒温阀
KR200422728Y1 (ko) 분배기용 난방 유량조절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C1801 Expiration of term

Not in force date: 20141005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EXPIRATION_OF_DU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4-oth-UC18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