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0651Y1 - 인삼용 원터치 캔 - Google Patents

인삼용 원터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651Y1
KR200370651Y1 KR20-2004-0026834U KR20040026834U KR200370651Y1 KR 200370651 Y1 KR200370651 Y1 KR 200370651Y1 KR 20040026834 U KR20040026834 U KR 20040026834U KR 200370651 Y1 KR200370651 Y1 KR 200370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utting line
lid
touch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송규
Original Assignee
(주)한성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제관 filed Critical (주)한성제관
Priority to KR20-2004-0026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6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인삼용 원터치 캔에 구비되는 절취 라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인삼용 원터치 캔을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소정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인삼용 캔 용기와, 상기 인삼용 캔 용기의 상부에 밀봉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부에는 고리가 설치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절취라인을 갖는 인삼용 원터치 캔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내측부를 프레스로 가압함에 의해 형성한 단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삼용 원터치 캔{omitted}
본 고안은 인삼용 원터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용 캔 뚜껑에 구비되는 절취 라인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함에 의해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을 찾을수가 있으며 이러한 인삼용 원터치 캔은 내용물의 장기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고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물의 포장 용기로 널리 사용할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원터치 캔에 인삼과 같은 제품도 포장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와 같은 인삼용 원터치 캔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인삼용 캔 용기의 상단에 뚜껑이 밀봉되며, 상기 뚜껑의 상면에 손가락을 끼워 당길 수 있는 고리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절취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삼용 원터치 캔은, 상기 고리에 손가락을 끼우고 위로 당기면 고리에 의해 절취 라인이 절개되고, 이어서 고리를 잡아당기게 되면 뚜껑이 절취 라인을 따라 절개되어 분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삼용 캔은, 절취라인을 형성할 때 돌림 따게 형식으로 구성되어있어 개폐할 때 불편하고 안전성이 부족하여 다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또한, 홈이 깊이가 깊게 형성되면 유통 중에 상기 절취 라인이 절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또 홈이 깊이가 얇게 형성되면 사용시 절취 라인이 절개되지 않는 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정확한 상태의 홈을 형성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삼용 원터치 캔에 구비되는 절취 라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인삼용 원터치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삼용 원터치 캔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사각 형상의 인삼용 원터치 캔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용 원터치 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캔 용기 20 - 뚜껑
22 - 고리 30 - 절취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인삼용 캔 용기와, 상기 인삼용 캔 용기의 상부에 밀봉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부에는 고리가 설치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절취라인을 갖는 인삼용 원터치 캔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내측부를 프레스로 가압함에 의해 형성한 단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캔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사각 형상의 인삼용 원터치 캔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용 원터치 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삼용 원터치 캔은, 소정 내용물을 저장될 수 있게 하는 인삼용 캔 용기(10)와, 상기 인삼용 캔 용기(10)의 상부를 밀봉할 수 있게 설치한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취 라인(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을 어느 일측부에는 상기 절취 라인을 따라 절개할 수 있게 한 고리(2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취 라인(30)은 뚜껑(2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인삼용 캔 용기(10)는 양철 또는 알루미늄 소재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인삼용 캔 용기(10)의 내부 공간에는 살균 처리된 인삼과 같은 내용물이 포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인삼용 캔 용기(10)는 그 외관이 사각 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상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뚜껑(20)은 실질적으로 인삼용 캔 용기(10)의 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삼용 캔 용기(1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의 형상은 인삼용 캔 용기(10)의 형상 모양으로, 즉 사각형의 캔 용기인 경우에는 직사각판 형상 모양으로 제작된 후, 그 가장 자리 단이 인삼용 캔 용기(10)의 테두리 부분에 밴딩 되어서 일체로 접합된다.
이와 같은 뚜껑(20)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인삼용 캔 용기(10)의 테두리 부분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인삼용 캔 용기(1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취 라인(30)이 마련된다. 상기 뚜껑(20)은 절취 라인(30)을 기준으로 그 내측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개방될 수 있고, 외측 영역에 해당되며 가장자리 부분이 인삼용 캔 용기(10)의 테두리 부분에 접합된다.
상기 절취 라인(30)의 형성은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절취 라인(30)의 내측 영역을 가압함에 의해 소정 깊이의 단이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절취 라인(30)을 형성하게 되면 제작상의 편리성이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형태의 단을 형성할 수 있어 상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고리(22)는 뚜껑(20)의 절취 라인(30)을 따라 절개하여 인삼용 캔 용기(10)를 개봉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2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리벳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리(22)는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가 뚜껑(20)의 고정되는데, 그 단부가 절취 라인(21)에 최대한 근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고리(22)의 구멍에 손가락을 끼우고 위로 당기면 고리(22) 부근의 절취 라인(30)이 일부 절개되고, 이 상태에서 고리(22)를 위로 잡아당기게 되면 뚜껑(20)의 절취 라인(30)이 절개되면서 그 절취 라인(30)의 내측 영역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개봉한 상태에서 인삼용 캔 용기(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징으로는 상기 절취 라인(30)을 형성시 프레스를 이용하여 뚜껑(20)의 중앙부를 가압함에 의해 뚜껑(20)의 가장자리 부분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제작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 유통 중 쉽게 개봉되지 않으며 또 사용 중에는 쉽게 개봉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어 상품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인삼용 원터치 캔을 개봉하기 위해 형성하는 절취 라인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서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인삼용 캔 용기와, 상기 인삼용 캔 용기의 상부에 밀봉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부에는 고리가 설치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절취라인을 갖는 인삼용 원터치 캔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내측부를 프레스로 가압함에 의해 형성한 단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용 원터치 캔.
KR20-2004-0026834U 2004-09-17 2004-09-17 인삼용 원터치 캔 Expired - Fee Related KR200370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34U KR200370651Y1 (ko) 2004-09-17 2004-09-17 인삼용 원터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34U KR200370651Y1 (ko) 2004-09-17 2004-09-17 인삼용 원터치 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03A Division KR20040089023A (ko) 2004-09-18 2004-09-18 원터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651Y1 true KR200370651Y1 (ko) 2004-12-23

Family

ID=4944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8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0651Y1 (ko) 2004-09-17 2004-09-17 인삼용 원터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795B1 (ko)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US20190202607A1 (en) Packing box
KR20040093727A (ko) 캔용 플라스틱 뚜껑
JPS61273354A (ja) 容器密封キヤツプ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US7878354B2 (en) One touch-type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JP5517236B2 (ja) 容器密閉構造
JP2021024615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70651Y1 (ko) 인삼용 원터치 캔
CA2615462A1 (en) Packaging with sealing lid and method for filling the package
US9868576B2 (en) Plastic package with an open reminder
JP2013173570A (ja) 合成樹脂製の栓
KR20040089023A (ko) 원터치 캔
US2344325A (en) Wire opening container
JP3233007U (ja) 安全性が改善された缶蓋
JP2002114246A (ja) 容器本体と蓋体とからなる包装用容器
KR200417490Y1 (ko) 안전 캔
KR102699159B1 (ko) 음료 용기
JP4219205B2 (ja) 蓋付き容器
JP4447749B2 (ja) ガス飲料容器に適用される樹脂キャップ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JP2004010073A (ja) 容器の封緘具
KR20080005911U (ko) 밀폐용기
JPH06122462A (ja) 密閉キャップ
JP2012240699A (ja) 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9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9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