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0059Y1 - 호안 보호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호안 보호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059Y1
KR200370059Y1 KR20-2004-0027707U KR20040027707U KR200370059Y1 KR 200370059 Y1 KR200370059 Y1 KR 200370059Y1 KR 20040027707 U KR20040027707 U KR 20040027707U KR 200370059 Y1 KR200370059 Y1 KR 200370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tructure
present
anchor
protection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이엔.씨(주) filed Critical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to KR20-2004-0027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상, 고수, 호안 등 각 용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그리드에 앵커로 고정하여,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안 보호용 구조체{Structure for revetment protection}
본 고안은 호안 보호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상, 고수, 호안 등 각 용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그리드에 앵커로 고정하여,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은 홍수, 파도, 해일 침식 등으로 인해 무너지지 않게 해안·하천의 지반 표면을 적당한 재료로 덮어서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여기서, 하천호안은 비탈덮기공, 비탈고정공, 기초다짐공 방법이 있다.
먼저, 상기 비탈덮기공은 물살에 따라서 잔디, 돌망태, 축댓돌,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으로 비탈면을 보호하는 공사이다.
또한, 상기 비탈고정공은 말뚝, 토대목, 널말뚝 등으로 비탈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초다짐공은 침상, 사석, 돌망태, 편비내, 콘크리트 이형 등으로 비탈면에 접한 강바닥을 다지는 공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중 비탈덮기공 공법은 자연석을 하나씩 아래에서 위로 채워가면서 빈 부위에 쇄석을 채워서 적층시키는 공법으로, 시공중 채우는 자연석 등이 빠지는 경우에는 그곳을 기점으로 하여, 적층된 자연석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적층식 비탈덮기공 공법은 안정하고 견고한 토목구조물을 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공중에 기 적층된 자연석이 붕괴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자연석을 적층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공상 치밀성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하상, 고수, 호안 등 각 용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그리드에 앵커로 고정하여,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록 110 : 조립체
200 : 앵커 210 : 스트롱앵커
220 : 아이볼트 230 : 카나비나
300 : 연결부재 400 : 그리드
B : 기초콘크리트층 C : 기초잡석
G : 기초지반 N : 부직포
P : 식물체 S : 호안 보호용 구조체
T : 천단콘크리트층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체인, 강선, 철근, 강봉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블록(100), 앵커(200), 연결부재(300) 및 그리드(4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100)은 쇄석, 호박돌 등의 자연석 또는 인조석이 사용되며, 직경은 Φ150∼Φ500의 것을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종류 및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한다.
특히, 상기 블록(100)은 필요에 따라 자연석을 계단형태로 잘라서 가공한 석재와 철망을 공장에서 일체로 성형하여 수변의 경관에 맞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자연석을 평석으로 가공하여 철망에 일체로 성형하여, 저수 호안의 산책로 등에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앵커(200)는 블록(100)의 배면을 천공한 후, 삽입되는 철재금구로서, 그 표면을 용융아연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토록 한다.
특히, 상기 앵커(200)는 그 단면형상이 블록(100)의 배면에 압착 삽입되는 일자형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두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는 블록(100)과 연결되고, 두부는 연결부재(300) 또는 그리드(400)와 연결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블록(100)을 직접적으로 그리드(400)에 밀착 또는 부착시킬 수 없으므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앵커(200)를 이용하여 블록(100)을 연결부재(300) 또는 그리드(4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그리드(400)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망 또는 철망을 사용하며, 상기 철망은 아연 알루미늄 합금도금 철선(300g/㎡, 알루미늄 10%함유)으로 그물간격은 50㎜, 지름은 금망4㎜, 골선6㎜, 폭2000㎜ X 길이2000㎜로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블록(100) 뒷면에 앵커(200)를 단단히 부착하고, 그 끝 부분에는 연결부재(300) 또는 그리드(400)를 부착시킨 것으로, 채움재를 블록(100)과 연결부재(300) 또는 그리드(400) 사이에 메워가면서사면을 적층시켜 채움재와 블록(100)과 연결부재(300) 또는 그리드(400)를 일체로 연결시켜 견고한 호안을 구축토록 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기초지반(G)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C)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C)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의 소정의 경사를 갖는 사면에 부직포(N)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 및 상기 부직포(N)의 표면에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호안 보호용 구조체(S)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호안 블록 구조체(S)의 최상단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T)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기초지반(G)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C)을 포설하고, 상기 기초잡석(C)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초지반이 양질호안인 경우에는 직접기초를 하되, 기초콘크리트층의 형상은 표준기초를 이용한다.
기초콘크리트층 공사에는 기초콘크리트를 10m 간격을 표준으로 하며 거푸집을 설치하며, 세굴심은 하상면에서 기초콘크리트층 천단부까지를 표시하고, 원칙적으로 0.5m 이상 확보토록 한다.
이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의 소정의 경사를 갖는 사면을 따라서 부직포(N)를 포설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 및 상기 부직포(N)의 표면에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며, 상기 호안 보호용 구조체(S)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한 후, 상기 호안 블록 구조체(S)의 최상단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T)을 형성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이 저수호안에 사용할 경우에는 홍수시에 천단에서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의 최상단의 앵커 부분에 두께 200㎜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단콘크리트층(T)을 형성한다.
상기 천단콘크리층 공사에는 천단콘크리트를 10m 간격을 표준으로 하며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한다.
이때, 상기 천단콘크리트층(T)이 보이지 않도록 천단계획단면선에서 100㎜ 정도 내린 위치에 복토를 행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블록(100)을 4개가 한조를 이룬 상태로 조립체(110)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110)의 앵커(200) 4개가 연결부재(300) 1개에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100)에 각각의 앵커(200)를 부착하고, 상기 4개의 앵커(200)를 두 개씩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운데에 연결부재(300)를 두고 앵커(200)를 연결부재(300)에 고정 결합시킨 구조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상술한 본 고안의 기본예와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며, 단지 기본예와의 차이점은 블록(100) 4개를 묶어서 1개의 연결부재(300)에 고정시켜 연결부재(300)의 개수를 75% 감소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기초지반(G)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C)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C)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의 소정의 경사를 갖는 사면에 부직포(N)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 및 상기 부직포(N)의 표면에 블록(100) 4개를 묶어서 1개의 연결부재(300)에 고정시킨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호안 보호용 구조체(S)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2]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200)는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와 상기 아이볼트(220)에 고리형상으로 카나비나(23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상술한 본 고안의 기본예와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며, 단지 기본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앵커(200)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를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와 상기 아이볼트(220)에 고리형상으로 카나비나(230)로 구성된 점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스트롱앵커(210)는 속이 빈 원통형 금속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다수개가 쪼개진 절개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삽입되는 원추형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원통형 본체부는 그 구조상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부의 최상단이 가운데로 오무라지려는 수축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그대로 방치시키면, 스트롱앵커(210)는 블록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축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인 원추형 금속을 본체부 상단에 일정부분 삽입시키면, 이 원형 금속부분이 절개부의 수축을 강력하게 저지시키게 되는 쐐기기능을 수행하여 궁극적으로 스트롱앵커(210)가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아이볼트(220)는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환상고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한 아이볼트(220)는 스트롱앵커(210)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환상고리에 카나비나(230)를 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나비나(230)는 일반적으로 등산용 금속제품으로 로프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바늘귀 형상으로 중간부분이 일정압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한 아이볼트(220)와 그리드(400)를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기초지반(G)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C)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C)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에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와 상기 아이볼트(220)에 고리형상으로 카나비나(230)로 구성된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호안 보호용 구조체(S)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호안 블록 구조체(S)의 최상단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T)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3]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200)는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상술한 본 고안의 기본예와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며, 단지 기본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앵커(200)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를 헤어핀 형상으로 그 형상을 변형시켜 완경사에 사용한 점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200)는 환상고리와 상기 환상고리로부터 하단부로 연장되는 수직부분이 겹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블록(100)의 배면에 부착하여 경사가 완만한 사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필요에 따라 블록(100)의 4면에 상기 앵커(200)를 설치하여, 그리드와(4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그리드(400)와의 연결은 상술한 카나비나(230)를 이용하여 연결하면 완경사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기초지반(G)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C)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C)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에 헤어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200)가 부착된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호안 블록 구조체(S)의 최상단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T)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4]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200)는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상술한 본 고안의 기본예와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며, 단지 기본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앵커(200)는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한 실시예2의 구성요소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아이볼트(220)를 개폐시켜 그리드(400)에 바로 걸 수 있도록 하여, 완경사에서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시공시 카나비나(230)가 필요 없도록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2와의 차이가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사면에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로 구성된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호안 블록 구조체(S)의 사이에 식물체(P)를 식재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호안 보호용 구조체(S)를 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호안 보호용 구조체(S)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400)에 블록(100)이 듬성듬성하게 설치된 구조이므로, 이들 블록(100)들 간에 식물체의 씨앗을 뿌리거나 혹은 식물체를 식재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식물체를 식재하면 곤충이나 조류, 소동물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주는 측면에서 보다 더 환경친화적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용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블록과 그리드가 일체로 되어 치수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블록과 수변식물이 어우러져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며,하천의 자정 기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그리드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시공이 뛰어나며, 디자인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블록의 적층공법에 비하여 30∼40% 정도 저렴하게 시공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블록(100)과;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이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각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앵커(200)와;
    상기 앵커(200)들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장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리드(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을 4개가 한조를 이룬 상태로 조립체(110)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110)의 앵커4(200)개가 연결부재1(300)개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체인, 강선, 철근, 강봉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00)는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 설치되는 스트롱앵커(210)와 상기 스트롱앵커(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아이볼트(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00)는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220)에는 소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카나비나(230)가 끼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용 구조체.
KR20-2004-0027707U 2004-09-25 2004-09-25 호안 보호용 구조체 KR200370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707U KR200370059Y1 (ko) 2004-09-25 2004-09-25 호안 보호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707U KR200370059Y1 (ko) 2004-09-25 2004-09-25 호안 보호용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555A Division KR20060028557A (ko) 2004-09-25 2004-09-25 호안 보호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059Y1 true KR200370059Y1 (ko) 2004-12-10

Family

ID=4944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707U KR200370059Y1 (ko) 2004-09-25 2004-09-25 호안 보호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0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327B1 (ko) * 2004-12-31 2005-11-02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
KR101971015B1 (ko) *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지오환경 자연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327B1 (ko) * 2004-12-31 2005-11-02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
KR101971015B1 (ko) *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지오환경 자연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471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8758B1 (ko) 하천 호안 생태계 식생매트 설치구조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20080000156A (ko) 호안블럭 시공방법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100597188B1 (ko) 다목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블록 조립체
JP2002105928A (ja) 護岸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法面工法
KR20190082131A (ko) 스톤네트 구조물
WO2003089720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heck dam or fire prevention dam using gear-type block
KR200370059Y1 (ko) 호안 보호용 구조체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060028557A (ko) 호안 보호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호공법
KR100665693B1 (ko) 호안기초 기능을 구비한 어소블록
JP6322365B2 (ja) 保護部材
JP2000096586A (ja) 開口部隠ぺい用中空ブロック体及びそのブロック体の組積方法
KR100650516B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NZ714385A (en) Erosion prevention arrangement
KR102299844B1 (ko) 구조적 기능을 갖는 스톤네트 생태 보
JP3315977B1 (ja) 土木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構造、土木構築物構造の構築方法及び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KR101318884B1 (ko) 호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보호공법
JP3066635B2 (ja) 護岸用敷石プレート
KR20140052350A (ko) 연안의 세굴방지구조 및 그것의 설치방법
JP2002070024A (ja) 土留め枠および傾斜地等の土留め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5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9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11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41201

Request date: 2006031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0427

Appeal identifier: 200610000065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16

Effective date: 20070427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610000065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0427

Request date: 20060316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