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9786Y1 - 목걸이줄 연결구 - Google Patents

목걸이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86Y1
KR200369786Y1 KR20-2004-0024441U KR20040024441U KR200369786Y1 KR 200369786 Y1 KR200369786 Y1 KR 200369786Y1 KR 20040024441 U KR20040024441 U KR 20040024441U KR 200369786 Y1 KR200369786 Y1 KR 200369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locking
button
r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유순섭
Original Assignee
이종석
유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유순섭 filed Critical 이종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취부하기 위한 목걸이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 몸체(20)의 상단에는 목걸이줄(3)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반지형 악세사리(1)의 반지부(11)가 끼워지는 원형대(22)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22)에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원형대(22)의 외측으로 걸림편(231)이 출몰되면서 상기 반지부(11)가 끼워진 상태에서 록킹시키는 걸림구(23)와, 상기 걸림구(23)의 하단에 설치되어 걸림구(23)를 상기 원형대(22)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4)과, 상기 걸림구(23)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23)들을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누름버튼(25)과, 상기 누름버튼(25)이 관통되는 버튼공(261)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대(22)의 상면을 복개하는 커버(26)를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폰 또는 MP3 등의 휴대용 기기를 취부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 몸체(20')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여 핸드프리장치(4)의 목걸이와이어(41)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목걸이줄 연결구{CONNECTOR OF NECKLACE}
본 고안은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를 취부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를 목걸이줄에 탈착식으로 취부하도록 하여 휴대폰 또는 MP3를 취부하거나, 핸드프리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우는 반지부(11)와, 핸드폰에 묶는 고리줄(13) 및 반지부(11)와 고리줄(13)을 연결하는 연결끈(12)으로 구성되어 핸드폰을 떨어뜨리지 않고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소지하면서도 외관상 반지를 착용하고 있는 악세사리의 효과도 발휘하게 되는 2중의 기능을 갖는 제품이다.
그러나 종래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는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항시 핸드폰을 사용자의 손에 휴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폰을 보관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를 목걸이줄에 간편하게 탈착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목걸이줄에 착탈가능하게 보관하도록 한 목걸이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프리장치의 목걸이와이어가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핸드프리장치에 결합가능하도록 한 목걸이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연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의해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가 조립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의해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가 분리되는 상태의 요부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악세사리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악세사리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줄 연결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 11 ; 반지부
12 ; 연결끈 13 ; 고리줄
2 ; 목걸이줄 연결구 20 ; 연결구 몸체
21, 211 ; 관통공 22 ; 원형대
23 ; 걸림구 231 ; 걸림편
232 ; 경사면 233 ; 스프링장착홈
24 ; 스프링 25 ; 누름버튼
251 ; 버튼부 252 ; 가압부
252a ; 경사면 26 ; 커버
261 ; 버튼공 3 ; 목걸이줄
4 ; 핸드프리장치 41 ; 목걸이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해 휴대폰이나 MP3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구 몸체의 상단에는 목걸이줄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반지형 악세사리의 반지부가 끼워지는 원형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에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원형대의 외측으로 걸림편이 출몰되어 상기 반지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록킹시키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걸림구를 상기 원형대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걸림구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들을 원형대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이 관통되는 버튼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대의 상면을 복개하는 커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는 상단 일측에 상기 원형대의 외측으로 출몰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이 접촉되어 걸림구를 원형대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장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버튼은 원형의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들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가압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해 핸드프리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구 몸체의 내부에 핸드프리장치의 목걸이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몸체의 전면에 커버가 복개되고, 그 하측에는 반지형 악세사리의 반지부가 끼워지는 원형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에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원형대의 외측으로 출몰됨으로써 상기 반지부를 록킹시키기 위한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걸림구를 상기 원형대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걸림구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들을 원형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이 관통되는 버튼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대의 상면을 복개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줄 연결구(2)는 연결구 몸체(20)의 상단에 목걸이줄(3)이 삽입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1)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형성되어 있다.
목걸이줄(3)이 관통되는 관통공(21)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1)의 양단에는 목걸이줄(3)이 끼워지는 좌,우 연결관(211)(212)이 결합되어 있다.
착탈부는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반지부(11)가 삽입되는 원형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대(22)의 내부에는 원형대(22)의 외측으로 출몰되는 걸림구(23)가 일정 간격을 갖고 3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구(23)를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24)이 각각 걸림구(23)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원형대(22)의 중앙에는 걸림구(23)를 원형대(22)의 내측으로 도피시키는 누름버튼(25)이 걸림구(23)들의 상단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대(22)의 상면에는 중앙에 누름버튼(25)이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공(261)이 형성된 커버(26)가 복개되어 있다.
원형대(22)의 중앙에는 상기 걸림구(23)와 압축코일스프링(24)을 지지하는 지지축(221)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대(22)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구(23)들이 설치되기 위해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격벽(222)들 사이의 공간에서 걸림구(23)들 사이의 공간은 커버(26)의 원호형 삽입부(262)가 장착되는 커버삽입홈(22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대(22)의 외주면 일측에는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연결끈(12)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결끈 도피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구(23)는 상단 일측에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반지부(11)를 규제하기 위한 걸림편(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타측에는 누름버튼(25)의 승강동작에 의해 걸림구(23)의 걸림편(231)이 원형대(22)의 내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압축코일스프링(24)이 삽입되는 스프링장착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25)은 원형으로 형성된 버튼부(251)의 가장자리에 상기 걸림구(23)의 경사면(232)과 대응되는 경사면(252a)이 형성된 3개의 가압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의 하면에는 원호형으로 3개의 삽입부(26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262)의 외측면에는 걸림후크(26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26)의 가장자리의 일측에는 연결끈 도피홈(2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대(22)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262a)가 걸려지지되는 걸림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연결구에 의한 악세사리의 탈착 동작을 설명한다.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1)를 연결구(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대(22)의 가장자리에 악세사리의 반지부(11)를 일치시켜 반지부(11)를 걸림편(231)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주면 원형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편(231)이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걸림구(23)는 압축코일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원형대(22)의 내측으로 도피되고, 반지부(11)는 원형대(22)의 외주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부(11)가 원형대(22)의 외주면에 안착된 후에는 원형대(22)의 내측으로 도피되었던 걸림편(231)은 압축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형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형대(22)의 외주면에 안착된 반지부(11)를 록킹시키게 되어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1)는 연결구(2)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를 연결구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25)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누름버튼(25)의 버튼부(251)를 눌러주면 누름버튼(2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3개의 가압부(252)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252a)이 각각 걸림구(23)의 경사면(232)과 면접촉되면서 걸림구(23)는 압축코일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원형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걸림구(23)의 걸림편(231)이 원형대(22)의 내측으로 도피된다.
따라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의 반지부(1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반지부(11)를 연결구(2)에서 간단하게 이탈시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 몸체(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목걸이줄(3)이 연결구 몸체(20)의 관통공(21A)을 통과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목걸이줄(3)이 꺽이지 않는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 몸체(20)의 상단(20a)을 아치형으로 형성하여 디자인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1)의 연결끈(12)이 반지부(11)에 형성된 끼움공(111)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에 적합하도록 연결구(2)의 원형대(22) 및 커버(26)에 형성되는 연결끈 도피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 몸체(20')의 내부에 핸드프리장치(4)의 이어폰 목걸이줄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구 몸체(20')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에 핸드프리장치(4)의 목걸이와이어(41)가 고정태그(41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목걸이와이어(41)를 설치하기 위하여 연결구 몸체(20')의 전면에는 커버(20'a)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구 몸체(20')의 일측에는 단부에 이어폰플러그(42)가 구비된 이어폰와이어(43)가 인출되어 있으며, 목걸이와이어(41)에는 결합태그(41b)에 의해 마이크와이어(44)가 인출되어 마이크(45)가 연결되어 있고, 계속 연장되는 마이크와이어(44)의 단부에는 이어폰스피커(46)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구 몸체(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원형대(22)의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프리장치(4)의 목걸이와이어(41)를 연결할 수 있어 핸드폰과 핸드프리장치를 사용하는 고객이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줄 결합구(2)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반지형 악세사리의 반지부를 연결구의 원형대에 간단하게 안착 및 이탈시킬 수 있어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목걸이줄에 악세사리와 함께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이나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핸드프리장치를 연결구 몸체에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어 핸드프리장치를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을 취부하기 위한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핸드폰을 취부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종 휴대용 단말기 또는 MP3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목걸이줄에 취부하는데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연결구 몸체(20)의 상단에는 목걸이줄(3)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반지형 악세사리(1)의 반지부(11)가 끼워지는 원형대(22)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22)에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원형대(22)의 외측으로 출몰됨으로써 상기 반지부(11)를 록킹시키기 위한 걸림구(23)와, 상기 걸림구(23)의 하단에 설치되어 걸림구(23)를 상기 원형대(22)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4)과, 상기 걸림구(23)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23)들을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버튼(25)과, 상기 누름버튼(25)이 관통되는 버튼공(261)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대(22)의 상면을 복개하는 커버(26)를 구비하여서 된 목걸이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23)는 상단 일측에 상기 원형대(22)의 외측으로 출몰하는 걸림편(231)이 형성되고, 상단 타측에는 상기 누름버튼(25)의 하단이 접촉되어 걸림구(23)를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경사면(232)이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24)이 삽입되는 스프링장착홈(2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25)은 커버(26)의 버튼공(26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버튼부(251)와, 상기 버튼부(25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23)들의 경사면(232)에 면접촉되는 경사면(252a)이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압부(2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연결구.
  4. 연결구 몸체(20')의 내부에 핸드프리장치(4)의 목걸이와이어(41)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몸체(20')의 전면에 커버(20'a)가 복개되고, 그 하측에는 반지형 악세사리(1)의 반지부(11)가 끼워지는 원형대(22)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22)에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원형대(22)의 외측으로 출몰됨으로써 상기 반지부(11)를 록킹시키기 위한 걸림구(23)와, 상기 걸림구(23)의 하단에 설치되어 걸림구(23)를 상기 원형대(22)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4)과, 상기 걸림구(23)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23)들을 원형대(22)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버튼(25)과, 상기 누름버튼(25)이 관통되는 버튼공(261)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대(22)의 상면을 복개하는 커버(26)를 구비하여서 된 목걸이줄 연결구.
KR20-2004-0024441U 2004-08-12 2004-08-26 목걸이줄 연결구 KR2003697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3069 2004-08-12
KR2020040023069 2004-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86Y1 true KR200369786Y1 (ko) 2004-12-16

Family

ID=493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441U KR200369786Y1 (ko) 2004-08-12 2004-08-26 목걸이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83B1 (ko) 2008-01-31 2011-07-08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걸이형 체결구
KR101993135B1 (ko) * 2018-04-16 2019-06-2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83B1 (ko) 2008-01-31 2011-07-08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걸이형 체결구
KR101993135B1 (ko) * 2018-04-16 2019-06-2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172B2 (en) Cases and covers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KR200369786Y1 (ko) 목걸이줄 연결구
US7640042B2 (en) Buckle phone
US83254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KR200396918Y1 (ko) 핸드폰 줄
KR20170002875A (ko)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CN213818135U (zh) 一种带防丢功能的无线蓝牙耳机
KR200252682Y1 (ko) 자석을 내장한 이어폰 홀더가 장착되어 이어폰 수납과착탈이 용이한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0375810B1 (ko)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10065800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갖는 악세사리
US20210021917A1 (en) Outdoor bluetooth speaker with adjustable clip fastener and lanyard holder
KR200274175Y1 (ko) 이동통신기기 부착용 손목밴드
KR200388163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연결구조체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200318724Y1 (ko) 핸드폰 손목 띠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KR200289446Y1 (ko) 인체 부착 양면 슬라이드 착탈식 집게가 구비된 목걸이형핸드프리 이어폰용 이어폰 홀더
KR200338945Y1 (ko) 핸드폰 손목 띠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327971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조립체의 결합장치
KR200194784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장착구
KR200221481Y1 (ko) 자석이 내장된 집게홀더가 장착된 휴대용 이어폰
KR200233030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폰
AU2013203842A1 (en) Cases and covers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2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