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7766Y1 -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766Y1
KR200367766Y1 KR20-2004-0015875U KR20040015875U KR200367766Y1 KR 200367766 Y1 KR200367766 Y1 KR 200367766Y1 KR 20040015875 U KR20040015875 U KR 20040015875U KR 200367766 Y1 KR200367766 Y1 KR 200367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e
main body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2004-0015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7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부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은 상부걸림턱, 하부지지판 및 측면지지판이 형성되어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고정홈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의 전면측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케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는 터치스크린용 펜이 분리 가능하게 압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BELT CLIP OF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본 고안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부로부터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기술의 발전에 의해 통신장비가 소형화됨과 아울러 이동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통신장치의 이동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현대인은 휴대폰, PDA 및 PDA 겸용 휴대폰을 포함한 각종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휴대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소정의 신체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상기 단말기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구로서, 이동통신용단말기의 벨트클립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200)은, 상부걸림턱 및 하부지지판(211)이 형성되어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부(210)와, 상기 케이스부(210)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210)를 사용자의 벨트 또는 기타 신체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22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210)로는 본체부 상으로 표시부가 접촉되도록 절첩된 상태로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지지판(211)은 절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표시부의 전면측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아야 경우 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켜야만 하는데,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200)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지지판(211)이 본체부 상으로 표시부가 접촉되도록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의 전면측 하부를 감싸 지지함에 따라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될 수 없는 관계로, 상기 케이스부(210)로부터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분리하여야만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부(210)로부터 빈번하게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착탈할 경우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200)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가의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파손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케이스부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가 장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클립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양측 고정홈에 양단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로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의 전면측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케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10 : 케이스부
11 : 상부걸림턱
13 : 하부지지판
14 : 하부걸림턱
15 : 측면지지판
16 : 고정홈
17 : 삽입홈
20 : 클립부
30 : 탄성밴드부
40 : 터치스크린용 펜
100 : 이동통신용 단말기
110 : 본체부
120 : 표시부
200 : 종래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은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와 힌지 이음으로 절첩되는 표시부(120)로 구성된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표시부(120)를 제외하고 본체부(110)를 한정 착탈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에 있어서, 상부걸림턱(11), 하부지지판(13) 및 측면지지판(15)이 형성되어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15)에는 고정홈(16)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10)와, 상기 케이스부(10)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10)를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20)와, 상기 케이스부(10)의 고정홈(16)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10)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전면측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밴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상단이 걸려져 고정되는 상부걸림턱(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지지판(13)이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양 측면이 각각 지지되는 측면지지판(1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면측 상부에는 상부걸림턱(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걸림턱(11)은 케이스부(10)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전면측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 1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으로 각각 1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면측 하단에는 하부지지판(13)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지지판(13)은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전체 중량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판(13)은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표시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본체부(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지지판(13)의 전면측 단부에는 상기 케이스부(10)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전면측 하단이 걸려져 지지되는 하부걸림턱(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부걸림턱(14)은 상부걸림턱(11)과 함께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가 케이스부(10)의 전면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케이스부(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 하부에는 측면지지판(15)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지지판(15)은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 측면지지판(15)에는 고정홈(16)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홈(16)은 차후에 설명될 탄성밴드부(30)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홈(16)에 고정된 탄성밴드부(30)가 본체부(110)의 버튼들을 가리지 않도록 양 측면지지판(15)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이 형성되는 PDA, 또는 PDA 겸용 휴대폰일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10)에는 터치스크린용 펜(40)이 분리 가능하게 압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삽입홈(17)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장착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면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부(10)의 배면측에는 클립부(20)가 결합되는데, 상기 클립부(20)는 케이스부(10)를 예를 들어, 벨트와 같은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정부위에 반복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탄성집게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20)는 케이스부(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그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립부(20)를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고정시킬 경우에 상기 클립부(20)에 대해 케이스부(1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립부(2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부(10)의 고정홈(16)에는 탄성밴드부(3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데, 상기 탄성밴드부(3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본체부(110)의 전면측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케이스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무밴드, 합성수지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부(30)의 양단은 상기 케이스부(10)의 고정홈(16)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밴드부(30)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 또는 강제압입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10)의 고정홈(16)에 확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부(3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의 사용을 위해 본체부(110)에 대해 표시부(120)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켰을 경우에 사용자가 본체부(110) 상의 모든 버튼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전면측 하부에 걸쳐짐으로써 본체부(110) 상의 버튼들을 가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의 전체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부(110)에 대해 표시부(120)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부걸림턱(11), 하부지지판(13), 하부걸림턱(14), 측면지지판(15) 및 탄성밴드부(30)를 이용하여 본체부(110)만을 케이스부(10)에 장착고정시킨 후, 본체부(110) 상으로 표시부(120)를 접철시킨 다음, 케이스부(10)의 배면측에 형성된 클립부(20)를 이용하여, 벨트와 같은 사용자의 소정 부위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아야 할 경우, 또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케이스부(10)에 대해 이동통신용 단말기(100)를 분리하여 사용한 후 다시 케이스부(10) 상으로 보관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클립부(20)를 고정위치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1)에 장착된 상태로 본체부(110)에 대해 표시부(120)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한 후, 다시 상기 클립부(20)를 고정위치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0)가 PDA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PDA 겸용 휴대폰일 경우에는, 삽입홈(17) 내에 압입고정된 터치스크린용 펜(40)을 상기 삽입홈(17)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용 펜(40)을 다시 삽입홈(17) 내에 압입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은 본체부에 대한 표시부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케이스부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PDA, 또는 PDA 겸용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사용에 필요한 터치스크린용 펜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힌지 이음으로 절첩되는 표시부로 구성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표시부를 제외하고 본체부를 한정 착탈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에 있어서,
    상부걸림턱, 하부지지판 및 측면지지판이 형성되어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고정홈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의 전면측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밴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지지판에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본체부의 전면측 하단이 걸려져 지지되는 하부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터치스크린용 펜이 분리 가능하게 압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KR20-2004-0015875U 2004-06-07 2004-06-07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75U KR200367766Y1 (ko) 2004-06-07 2004-06-07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75U KR200367766Y1 (ko) 2004-06-07 2004-06-07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766Y1 true KR200367766Y1 (ko) 2004-11-17

Family

ID=4944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8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766Y1 (ko) 2004-06-07 2004-06-07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30Y1 (ko) 2009-09-22 2012-06-14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30Y1 (ko) 2009-09-22 2012-06-14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0258B2 (en) Mobile terminal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US7458826B1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KR200478818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JPH06268724A (ja) 携帯用折たたみ式電子機器
KR200367766Y1 (ko)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벨트클립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KR100806940B1 (ko) 크래들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케이스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20042291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sim) 카드 커넥터
KR20010001938A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KR20190021844A (ko)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033867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카드 고정장치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821140B1 (ko) 다단형 이동 통신 기기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50020901A (ko) 휴대폰 휴대케이스 장치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5011083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JP2003283629A (ja) アダプタ
US6819763B2 (en) Electronic accessory capable of securely attaching to a mobile phone with two pairs of hooks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21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