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7293Y1 -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93Y1
KR200367293Y1 KR20-2004-0022433U KR20040022433U KR200367293Y1 KR 200367293 Y1 KR200367293 Y1 KR 200367293Y1 KR 20040022433 U KR20040022433 U KR 20040022433U KR 200367293 Y1 KR200367293 Y1 KR 200367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hinge
slide
cent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용
Original Assignee
백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용 filed Critical 백남용
Priority to KR20-2004-0022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93Y1/ko
Priority to PCT/KR2005/002548 priority patent/WO2006014088A1/en
Priority to US11/573,189 priority patent/US7907981B2/en
Priority to JP2007524755A priority patent/JP2008509593A/ja
Priority to CN200580033967A priority patent/CN100583660C/zh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5Display device with hous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 상단부키패드하면(10b)에 가이드레일(16)및 3개의 고정부(18a,18b,18c)와 하단부키패드상면(10a)에 힌지(17)를 구축하여 상단부 키패드(10)가 하단부 키패드(20)의 상, 하 양 방향위치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단부키패드를 하단부 키패드의 상, 하 양 방향으로 구동할수 있게 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본적 기능인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카메라,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omitted}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키패드를 상, 하 양 방향으로 구동될수 있도록 가이드레일및 힌지를 구비하여 통화, 게임, 카메라등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휴대단말기는 전화통화등의 고유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모바일뱅킹이나 위치서비스등 여러가지 부가기능들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나 게임, 동영상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은 젊은층 사이로 깊숙이 파고들어 카메라의 경우 디지탈카메라와 대등한 성능을 보유하게 되었고 게임의 경우 3D게임까지 지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드웨어의 발달에 비해 그들을 구동하는 인터페이스방식엔 큰 변화가 없어 게임이나 카메라사용에 있어 아쉬움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슬라이드 키패드에 상, 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레일 및 힌지를 구비하여 상단부 키패드가 하단부 키패드 아래로 이동 되었을시 액정화면이 휴대단말기 정중앙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게임이나 카메라같은 멀티미디어사용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상단부키패드(10)와 하단부키패드(20)가 닫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키패드(10)가 하단부키패드(20) 위로 밀려 올려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키패드가 하단부키패드 아래로 밀려 내려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단부 키패드와 하단부 키패드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단부키패드와 하단부키패드가 닫힌모습(a)과 상단부키패드가 올려 진모습(b), 상단부키패드가 내려진 모습(c)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모드의 상태를 보인 실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사용시의 상태를 보인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부 키패드상면(10a)에는 액정화면(11), 스피커(12), 옵션버튼부(13,14)가 구비되고, 하단부키패드상면(20b)에는 통화에 필요한 번호버튼(21)과 게임에 필요한 이동버튼(23)이 따로 구비된다.
상단부 키패드 하면(10b)에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가이드레일(16)및 3개의 고정부(18a,18b,18c)가 하단부 키패드 상면(20a)중앙에 돌출된 힌지(17)와 연결되어 힌지가 가이드레일 양끝단과 중앙에 가고정 될수 있도록 한다.
힌지가 가이드레일 하단 고정부(18c)에 가고정 되었을 때는 하단부키패드상면(20a)의 숫자버튼부(21)가 드러나게 되어 통화나 문자사용등, 본래 고유의 통신 기능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힌지가 상단고정부 (18a)에 가고정되었을 때는 하단부 키패드상면(20a)의 이동버튼부(23)의 드러남및 액정화면(11)이 휴대단말기 중앙에 디스플레이되어 게임이나 카메라, 동영상이용등 멀티미디어사용에 적합한 환경이 된다. 물론 꼭 이런상태에서 만이 게임이나 카메라, 동영상이용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나 보통 게임,영화같은 경우 가로가 긴 와이드 화면이 대부분 이므로 이를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이런 형식의 모드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러난 하단키패드 상면의 이동버튼부는 상단키패드상면(10a)의 옵션버튼부(13)와 더불어 게임조작에 쓰이게 되어 두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하는 양손 플레이가 가능해짐에 따라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엑스박스와 유사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추게 되어 게임조작감을 한층 높일수 있다. 상단부 키패드(10)와 하단부키패드(20) 측면에 자리잡은 15,22의 버튼들도 게임모드시 옵션키로 작동 되기도 한다, 특히 15,22의 버튼들은 카메라 모드시 셔터버튼으로도 사용될수 있는 버튼들이다.
이때 액정화면(11)은 이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내부장치의 작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와이드 화면을 구현하여 정상적인 화면구성이 나타나도록 한다.
힌지(17)가 중단고정부(18b)에 가고정 되었을때는 상단부키패드(10)와 하단부키패드(20)가 서로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 보통 휴대하기 좋은 대기모드의 상태가 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부 키패드(10)가 하단부 키패드(20)의 상, 하 양 방향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됨에 따라 본래고유의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카메라 동영상같은 엔터테인먼트기능까지 각 모드에 맞추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화 되는 휴대단말기 환경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5)

  1. 상단부 키패드하면(10b)에 상단부 키패드하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가이드레일(16)및 3개의 고정부(18a,18b,18c)가 하단부 키패드상면(20a)중앙에 돌출되도록 구비한 힌지와 연결되어 힌지가 가이드레일 양끝단과 중앙에 가고정 되게 하는 수단으로 작용, 상단부 키패드가 하단부 키패드(20)의 상, 하 양 방향의 위치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상, 하 양 방향 구동의 슬라이드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고정부에서 힌지(17)가 상단고정부(18a)에 위치 되었을 시 액정화면(11)이 휴대단말기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구조를 갖는 상, 하 양방향 구동의 슬라이드 휴대 단말기
  3. 제 1항 혹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힌지(17)가 상기상단고정부(18a)에 위치되었을시 드러나게 되는 상기하단부 키패드상면(20a)에는 게임에 필요한 4개의 이동버튼(23)(상,하,좌,우)를 통화에 필요한 숫자버튼(21)과 따로이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상, 하 양 방향 구동의 슬라이드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따로 구비된 상기이동버튼(23)을 이용하여 게임사용시 양손 조작이 가능한 상, 하 양 방향 구동의 슬라이드 휴대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액정화면(11)이 중앙에 위치될 때, 내부장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화면전환을 하게 되어 와이드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양 방향 구동의 슬라이드 휴대 단말기
KR20-2004-0022433U 2004-08-05 2004-08-05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36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33U KR200367293Y1 (ko) 2004-08-05 2004-08-05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PCT/KR2005/002548 WO2006014088A1 (en) 2004-08-05 2005-08-05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573,189 US7907981B2 (en) 2004-08-05 2005-08-05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524755A JP2008509593A (ja) 2004-08-05 2005-08-05 スライド型の移動通信端末機
CN200580033967A CN100583660C (zh) 2004-08-05 2005-08-05 滑动型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33U KR200367293Y1 (ko) 2004-08-05 2004-08-05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757A Division KR100719002B1 (ko) 2005-11-01 2005-11-01 양방향 멀티슬라이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93Y1 true KR200367293Y1 (ko) 2004-11-09

Family

ID=3578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433U KR200367293Y1 (ko) 2004-08-05 2004-08-05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7981B2 (ko)
JP (1) JP2008509593A (ko)
KR (1) KR200367293Y1 (ko)
CN (1) CN100583660C (ko)
WO (1) WO200601408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682A (ko) * 2005-03-02 2006-09-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WO2007018399A1 (en) * 2005-08-09 2007-02-15 Phoenix Korea Co., Ltd.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20070064219A (ko) * 2005-12-16 2007-06-20 백남용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43412B1 (ko) * 2011-09-21 2012-05-22 김영준 키패드 노출형 휴대용 단말기
KR101155242B1 (ko) * 2005-11-28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351732B1 (ko) * 2007-03-0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62B1 (ko) * 2003-12-10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WO2006085129A1 (en) 2005-02-11 2006-08-17 Nokia Corporation H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odes of operation
US7970444B2 (en)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JP4973610B2 (ja) * 2007-08-28 2012-07-1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ビデオカメラ
KR100964415B1 (ko) * 2008-02-28 2010-06-16 한 상 이 슬라이드식 개폐 휴대 단말기와 이를 위한 모듈 및 캠도구
KR100879513B1 (ko) * 2008-03-27 2009-01-20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TWM382502U (en) * 2010-02-05 2010-06-11 Quanta Comp Inc Biaxial rotating display module
US20130257735A1 (en) * 2010-12-17 2013-10-03 Idris Omerovic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Keypads and Related Methods
JP6846305B2 (ja) * 2017-07-20 2021-03-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携帯型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796B2 (en) * 2000-05-31 2004-10-05 Nokia Mobile Phones Ltd. Soft key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oveable panels
US6748242B1 (en) * 2000-08-04 2004-06-08 Nokia Mobile Phones Ltd.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full keyboard and gaming featur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US20030073414A1 (en) * 2001-10-15 2003-04-17 Stephen P. Capps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US7187363B2 (en) * 2001-11-30 2007-03-06 Palm, Inc. Integrated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a sliding form factor
KR100605862B1 (ko) * 2002-07-0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20040025624A (ko) 2002-09-19 2004-03-24 송민규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JP2004112559A (ja) * 2002-09-20 2004-04-08 Hitachi Ltd 携帯電話
KR100488011B1 (ko) * 2002-10-07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히스토그램의 빈값 양자화 방법
KR100551426B1 (ko) *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9703B1 (ko) 2003-09-16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7269450B2 (en) * 2003-10-09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JP3746284B2 (ja) * 2003-11-20 2006-02-15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0566282B1 (ko) * 2003-11-25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US7099708B2 (en) * 2004-01-14 2006-08-29 Nokia Corporatio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7398061B2 (en) * 2004-02-26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behavior of an electronic device
JP4458899B2 (ja) * 2004-03-30 2010-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0616544B1 (ko) * 2004-04-30 2006-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동구동방법
JP4345005B2 (ja) * 2004-05-31 2009-10-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60009255A1 (en) * 2004-06-29 2006-01-12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concept with a slide and twist mechanism
KR100703509B1 (ko) * 2005-01-1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USD542758S1 (en) * 2005-01-26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33531S1 (en) * 2005-03-21 2006-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682A (ko) * 2005-03-02 2006-09-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WO2007018399A1 (en) * 2005-08-09 2007-02-15 Phoenix Korea Co., Ltd.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101155242B1 (ko) * 2005-11-28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070064219A (ko) * 2005-12-16 2007-06-20 백남용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51732B1 (ko) * 2007-03-0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KR101143412B1 (ko) * 2011-09-21 2012-05-22 김영준 키패드 노출형 휴대용 단말기
WO2013042927A2 (ko) * 2011-09-21 2013-03-28 Kim Young Jun 키패드 노출형 휴대용 단말기
WO2013042927A3 (ko) * 2011-09-21 2013-05-23 Kim Young Jun 키패드 노출형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09593A (ja) 2008-03-27
US7907981B2 (en) 2011-03-15
WO2006014088A1 (en) 2006-02-09
US20080002343A1 (en) 2008-01-03
CN101036306A (zh) 2007-09-12
CN100583660C (zh)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7293Y1 (ko)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100721337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062341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KR100708607B1 (ko)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3038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EP218390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housing parts
KR100651410B1 (ko)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100664169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3343A (ko)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100641210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15811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100687200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3906A (ko)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
KR200376791Y1 (ko) 슬라이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1875A (ko) 키패드가 슬라이드 커버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되는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94653B1 (ko)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76789Y1 (ko)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37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50578Y1 (ko) 게임기겸용 모바일 단말기
KR100800753B1 (ko) 양면 사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956818B1 (ko) 이축힌지모듈을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14705B1 (ko) 이축힌지모듈을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4765B1 (ko)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일체형 휴대폰의 결합장치
KR100681016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100842632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82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