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4525Y1 - 백폰 겸용 헤드폰 - Google Patents

백폰 겸용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525Y1
KR200364525Y1 KR20-2004-0021135U KR20040021135U KR200364525Y1 KR 200364525 Y1 KR200364525 Y1 KR 200364525Y1 KR 20040021135 U KR20040021135 U KR 20040021135U KR 200364525 Y1 KR200364525 Y1 KR 200364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s
ear unit
ear
headphon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형
Original Assignee
(주)현대제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제이피씨 filed Critical (주)현대제이피씨
Priority to KR20-2004-002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52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백폰과 헤드폰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백폰 겸용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백폰 겸용 헤드폰은, 헤드밴드의 양쪽에 이어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유닛의 내측에 인접하여 인체의 귓바퀴에 걸 수 있는 귀걸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걸이판은 일정 간격으로 상기 이어유닛으로부터 이격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귀걸이판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확고하게 고정되거나,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피봇결합된다.

Description

백폰 겸용 헤드폰 {Headset being able to be used as a backset}
본 고안은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는 일명 백폰과 머리 위쪽으로 착용하는 일반 헤드폰을 겸할 수 있는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헤드폰은 머리 위쪽(정수리)으로 착용하였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감각파를 위해, 그리고 사용상의 편리함과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머리 뒤쪽(뒤통수)으로 착용하는, 일명 백폰(backphone)이 시판되고 있다.
백폰은 머리 위로 쓰지 않기 때문에 헤어스타일에 지장을 주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귀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는 한계상 장시간 착용시 귀가 아프거나 소파 등에 머리를 뒤로 기대고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에 헤드폰은 백폰과는 반대로, 착용시 헤어스타일에 지장을 주는 등의 단점이 있는 반면, 머리에 위에서 아래로 씌워지기 때문에 머리에 확실히 지지되어 장시간 착용시에도 귀가 아프거나 소파 등에 머리를 기대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유닛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음질 우선으로 이어유닛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본 고안자는 백폰과 헤드폰이 나름대로 모두 장점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양자를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백폰과 헤드폰으로 겸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백폰과 헤드폰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백폰 겸용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헤드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백폰 겸용 헤드폰의 이어유닛 중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백폰 겸용 헤드폰의 착용 예시도.
도4a,b는 도2의 A-A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백폰 겸용 헤드폰은, 헤드밴드의 양쪽에 이어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유닛의 내측에 인접하여 인체의 귓바퀴에 걸 수 있는 귀걸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귀걸이판은 일정 간격으로 상기 이어유닛으로부터 이격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귀걸이판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확고하게 고정되거나,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피봇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헤드폰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도1에 일반적인 헤드폰을 도시하였다. 도1의 헤드폰은 전형적인 정수리 착용형 헤드폰을 나타내고 있는데, 헤드밴드(20)의 양쪽에 이어유닛(10)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폰을 뒤통수 쪽으로 쓰면 헤드폰의 고정점이 없기 때문에 흘러내리게 되므로, 백폰으로는 착용이 불가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헤드셋 장치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2는 양쪽의 이어유닛(10) 중 하나만 표시한 것인데, 이어유닛(10)의 내측의 쿠션(12)에 인접하여 귀걸이판(30)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3과 같이, 귀걸이판(30)을 귓바퀴(40)에 걸면 백폰으로 사용하여도 머리 뒤통수쪽에 헤드밴드(20)가 오도록 착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백폰으로 쓰려면 귀걸이판(30)과 이어유닛(10) 사이에 인체의 귓바퀴(40)가 끼일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즉 귀걸이판(30)이 일정 간격으로 이어유닛(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헤드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귀걸이판(30)이 귓바퀴에 끼이는 것이 아니라 귓바퀴에 접촉해야 하므로, 귀걸이판(30)은 이어유닛(10)에 고정되는 것 보다는 일정 간격의 범위 내에서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b는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은 도2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a에 따르면 이어유닛(10)에 귀걸이판(30)이 확고히 고정되는데, 귀걸이판(30)은 탄성재질(탄성 합성수지 등)로 제작되어 고정점(32)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귀걸이판(30)과 이어유닛의 쿠션(12) 사이에 귓바퀴를 끼우면 백폰으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도4b는 다른 실시예로서, 이어유닛(10)에 귀걸이판(30)이 확고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34)을 중심으로 귀걸이판(30)이 소정 각도록 회전가능하도록 피봇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4a의 경우와 달리 귀걸이판(30)의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귓바퀴에 힘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귀가 덜 아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도면은 본 고안의 한가지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 것 뿐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판(30)의 형상, 재질, 설치구조는 이상의 설명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형태로 본 고안의 헤드폰을 변형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헤드폰에는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셋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헤드폰과 백폰의 장점을 모두 살려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 및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생산자나 유통자에게는 그 반사적 이익을 줄 수 있다.

Claims (4)

  1. 헤드밴드의 양쪽에 이어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유닛의 내측에 인접하여 인체의 귓바퀴에 걸 수 있는 귀걸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폰 겸용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판은 일정 간격으로 상기 이어유닛으로부터 이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폰 겸용 헤드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판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폰 겸용 헤드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판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상기 이어유닛에 피봇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폰 겸용 헤드폰.
KR20-2004-0021135U 2004-07-23 2004-07-23 백폰 겸용 헤드폰 Expired - Fee Related KR200364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35U KR200364525Y1 (ko) 2004-07-23 2004-07-23 백폰 겸용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35U KR200364525Y1 (ko) 2004-07-23 2004-07-23 백폰 겸용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525Y1 true KR200364525Y1 (ko) 2004-10-14

Family

ID=4935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13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4525Y1 (ko) 2004-07-23 2004-07-23 백폰 겸용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366B1 (en) Aircraft headset
JP6277502B2 (ja) 耳栓及びこれを有する耳栓セット
JP4239404B2 (ja) ヘッドホン装置
US6418230B1 (en) Flexible earhook
JP2010041632A (ja) ヘッドホン
US20080219492A1 (en) Headphone
US6148446A (en) Multi-position banded earmuff
CN102065806A (zh) 无带式听力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US11800273B2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US6698028B2 (en) Headphone earmuffs
JP4560488B2 (ja) ヘッドホン
EP2346267A2 (en) Personal receiving set
KR200364525Y1 (ko) 백폰 겸용 헤드폰
CN217428328U (zh) 头戴式便携耳机
US20130329933A1 (en) Hexagonal Headphone Earpiece
JP2657446B2 (ja) ヘッドホン
KR102673529B1 (ko) 음향부의 출력 방향이 제어되는 헤드셋
KR100904026B1 (ko) 청취 장치
CN208369801U (zh) 一种头戴耳机
CN215010668U (zh) 一种头戴式耳机
JP3151291U (ja) ヘッドホン装置
KR200319618Y1 (ko) 백폰의 헤드밴드 조정장치
CN208227256U (zh) 具舒适及高封闭性的耳机装置
JP5035462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S5818388Y2 (ja) ヘツ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7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7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