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2992Y1 - 분리형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분리형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992Y1
KR200362992Y1 KR20-2004-0015952U KR20040015952U KR200362992Y1 KR 200362992 Y1 KR200362992 Y1 KR 200362992Y1 KR 20040015952 U KR20040015952 U KR 20040015952U KR 200362992 Y1 KR200362992 Y1 KR 200362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ot
detachable
planter
insertion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 filed Critical 이용
Priority to KR20-2004-0015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9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을 바닥에 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화분이 거치되어 지며 중앙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가이드를 가지는 상판본체와, 상기 상판본체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가이드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을 가지며 상기 상판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판본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화분 받침대{a flowerpot support}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화분 받침대의 구조를 이루는 상판본체와 받침대본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화분 받침대란 화분이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받쳐주는 거치대의 기능과 함께 화초등에 물을 줄 경우 화분을 통과하여 걸러지는 물이 바닥으로 흘러 주변을 오염시키기 않도록 물을 받아주기 위한 기구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화분 받침대는 그 모양과 색상에 따라 놓인 공간의 분위기를 꾸밀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 화분을 보다 청결히 유지 관리할수 있는 시각적인 기능또한 겸비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제작과정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며 ,이러한 문제는 형상의 단조로움과 단일색상의 사용으로 인한 시각적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또한 종래 일체형 화분받침대의 경우 제작공정 과정에서 화분받침대 하단부가 뚫혀지게 제작하게 됨으로서(받침대의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과 일체로 사출되는 공정 특성상)그러한 부위를 메꾸기 위한 화분다리를 따로 제작하여 결합하여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구성품들을 별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의 구조와 색상의 다양성을 이루기 위해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를 분리함으로써 제작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수 있도록 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의 향상과 제작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분을 바닥에 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화분이 거치되어 지며 중앙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가이드를 가지는 상판본체와, 상기 상판본체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가이드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을 가지며 상기 상판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판본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화분받침대의 상판본체,받침판본체,물받침대의 주요부위를 저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분해도이다.
도2는 도 1에서 도시한 분리형 화분받침대의 상판본체,받침판본체,물받침대의 주요 부위를 상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분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화분받침대 전체의 형상을 좌측에서 본 결합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좌측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화분받침대 전체의 형상을 정면에서 본 결합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돌기 4: 돌기홈
6: 끼움공 8: 삽입가이드
9: 배수공 10: 상판본체
20: 받침판본체 30: 물받침대
100: 분리형 화분 받침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의 구조를 이루는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가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다양한 색상의 제작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품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도록 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상기와 같이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를 따로 성형하게 됨으로서 받침판본체의 내부가 비어지도록 성형(받침판본체의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받침판본체의 하면이 뚫어짐으로서 별도의 화분다리를 따로 제작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어 구성품의 단순함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분리형 화분 받침대의 상세구조는 후술하는 도 1과 도 2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도 1,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인 분리형 화분 받침대(100)는 화분(도면에미 도시 함)이 거치되어 지는 상판본체(10)와, 상기 상판본체(10)의 하면에 위치하며 지면에 놓여지게 되는 받침판본체(20) 및 상기 받침판본체(2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화분에서 배출된 물을 별도 저장하게 되는 물받침대(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판본체(10)와 받침판본체(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분리 구성함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도 1과 도 2 및 후술할 도 3, 4를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상판본체(10)의 중앙에는 삽입가이드(8)가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며 두개소 설치되어 지며. 이 삽입가이드(8)의 사이에는 돌기(2)가 돌출 형성되어 진다.
상기 받침판본체(20)에는 상기 삽입가이드(8)와 대응하도록 끼움공(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공(6)의 사이에는 상기 돌기(2)에 대응하는 돌기홈(4)이 형성되어 진다. 즉, 상기 상판본체(10)와 받침판본체(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가이드(8)가 끼움공(6)에 끼워짐으로서 상판본체(10)와 받침판본체(20)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본체(10)를 들어 올려줌으로서 상판본체(10)와 받침판본체(20)를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에서 삽입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된돌기가 끼움공의 사이에 형성된 돌기홈에 삽입되어 짐으로서 조립에 따른 결합성을 보다 견고히 보강하여 화분의 거치과정에서 상기 화분이 가지는 하중으로 비틀려지거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가이드의 내부에는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공은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침판본체의 측면에 조립되어 있는 물받침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서 물이 바닥으로 흘러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의 성형작업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본체(10)의 외곽직경(9)이 받침판본체(20)의 외곽직경(7)에 비해 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화분의 무게로 인해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며 보다 견고히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의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로 구분하여 분리 구성함으로서 각각의 부분에 다른색상으로 디자인할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만족감을 줄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자들에게 상품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본체와 받침판본체를 따로 성형하게 됨으로서 받침판본체의 내부가 비어지도록 성형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받침판본체의 하면이 뚫여짐으로서 별도의 화분다리를 따로 제작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어 구성품의 단순함을 기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회분을 바닥에 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분 받침대(100)에 있어서,
    화분이 거치되어 지며 중앙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가이드(8)를 가지는 상판본체(10)와;
    상기 상판본체(10)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가이드(8)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6)을 가지며 상기 상판본체(10)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판본체(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8)의 사이에는 돌기(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6)의 사이에는 상기 돌기(2)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홈(4)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8)의 내부는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9)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본체(20)에는 상기 배수공(9)을 통과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침대(30)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받침대.
KR20-2004-0015952U 2004-06-08 2004-06-08 분리형 화분 받침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362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52U KR200362992Y1 (ko) 2004-06-08 2004-06-08 분리형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52U KR200362992Y1 (ko) 2004-06-08 2004-06-08 분리형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992Y1 true KR200362992Y1 (ko) 2004-09-22

Family

ID=4935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9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2992Y1 (ko) 2004-06-08 2004-06-08 분리형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14Y1 (ko) 2009-06-24 2011-03-21 곽순진 화분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14Y1 (ko) 2009-06-24 2011-03-21 곽순진 화분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2992Y1 (ko) 분리형 화분 받침대
ITMI981165A1 (it) Contenitore per fiori e piante in genere con intercapedine per la riserva d&#39;acqua nell&#39;irrigazione automatica
KR100879055B1 (ko) 장식용 이중 화분
US4143487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EP2668841B1 (en) Plant pot and carrier assembly
KR101750179B1 (ko) 케이크 장식용 꽃꽂이 틀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130130940A (ko) 분리형 화환대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CN108849033A (zh) 一种便于装配使用的新型花盆
US7533492B2 (en) Illuminated plant holder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CN208524374U (zh) 一种新型花盆架
CN208863216U (zh) 一种积木式花盆
KR200360370Y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190000344U (ko) 화분
CN208113476U (zh) 一种便于装配使用的新型花盆
CN202617796U (zh) 自动加水花盆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CN223053521U (zh) 一种青瓷落地花盆组件
KR950005161Y1 (ko) 화분 장식편
KR970002359Y1 (ko) 화분( 花盆)
CN215421857U (zh) 花盆
KR200306807Y1 (ko) 탁자용 상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