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1680Y1 -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 Google Patents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680Y1
KR200361680Y1 KR20-2004-0016604U KR20040016604U KR200361680Y1 KR 200361680 Y1 KR200361680 Y1 KR 200361680Y1 KR 20040016604 U KR20040016604 U KR 20040016604U KR 200361680 Y1 KR200361680 Y1 KR 200361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knots
flaw
bonded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호
Original Assignee
홍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호 filed Critical 홍기호
Priority to KR20-2004-001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68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목재를 적용하여 구성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슬라이스된 목재의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로 봉합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이 같은 결로 적층으로 접착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의 표면에 기판이 접착 형성되어 종래에 폐기되던 목재인 옹이 및 하자 부위를 활용하여 구성되는 고부가가치의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A building materials using scrapped wood}
본 고안은 목재가 0.5 ∼ 1 ㎜의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그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로 봉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 다수매가 적층으로 접착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의 일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기판이 접착제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되며 폐목재인 옹이 및 하자 부위를 활용하여 바닥재, 벽재, 천정재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의 건축자재를 제조하므로서 목재 활용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벌목된 원목에는 옹이 부위 뿐만 아니라 나무진, 변색, 부패, 훼손, 공동 등의 각종 하자 부위가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목재 가공 공정에서 목재를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상기 슬라이스된 목재로부터 옹이 및 하자 부위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만을 활용하여 베니어, 합판, 기타 목조 건축자재를 제조하며, 상기 목재 가공 과정에서 제거된 옹이 및 하자 부위는 폐기되거나 땔감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원목에 대한 목재의 활용 비율이 평균 35 %에 불과하여 대량의 목재가 낭비되며, 이것은 결국 과다한 목재 소비로 연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가 0.5 ∼ 1 ㎜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그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로 봉합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이 같은 결로 적층으로 접착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의일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기판이 접착되어 구성되며 폐목재인 옹이 및 하자 부위를 활용하여 건축자재를 형성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목재 단판의 구성도
도 2는 목재 다층 보드의 구성도
도 3은 건축자재의 구성도
도 4는 조각면의 결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
2 : 목재 단판
3 : 목재 다층 보드
4 : 기판
5 : 봉합사
본 고안의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는 목재가 0.5 ∼ 1 ㎜의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그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5)로 봉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2) 다수매가 같은 결로 적층으로 접착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3)의 일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기판(4)이 접착제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변이 접착제로 접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구성된다.
또한, 서로 다른 수종의 목재 단판(2) 다수매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구성된다.
도 1은 목재 단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목재 다층 보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완성된 건축자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의 결합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원목이 1차 가공된 목재가 0.5 ∼ 1 ㎜의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상기와 같이 슬라이스된 목재로부터 옹이 및 각종 하자가 존재하는 부위가 분리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형성된다. 목재가 0.5 ㎜ 미만의 두께로 슬라이스되면 슬라이스된 목재 또는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훼손되기 쉽고, 1 ㎜를 초과하는 두께로 슬라이스되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을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로 봉합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봉합사(5)로 봉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형성된다.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봉합되어 연결되는 봉합사(5)는 접착제 재질로 구성되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봉합되어 연결되는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5)는 같은 결로 적층된 목재 단판(2)이 일정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용융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 사이로 침투하여 경화되므로 상기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5)의 이음 표시가 노출되지 않으며 적층된 목재 다층 보드(3)의 강도가 배가된다.
또는,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변이 접착제로 접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므로서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봉합된 목재 단판(2) 다수매가 같은 결로 적층으로 접착되고, 적층된 목재 단판(2)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목재 단판(2)의 표면에 접착제가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다른 목재 단판(2)이 접착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매의 목재 단판(2)이 같은결로 차례로 적층되며, 적층된 목재 단판(2)이 롤러 사이로 통과되어 일정한 압력과 온도 조건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형성된다. 목재 단판(2)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는 같은 결로 적층된 목재 단판(2)을 일정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하는 과정에서 용융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변 사이로 침투하여 경화된다.
목재 다층 보드(3)로 적층되는 목재 단판(2)의 수효가 3 매 미만이면 목재 다층 보드(3)의 강도와 내구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건축자재로서의 적용이 불가하며, 적층되는 목재 단판(2)의 수효가 11 매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적층 공정이 발생하여 목재 다층 보드(3)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저하된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수종의 목재 단판(2) 다수매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되고 적층된 목재 단판(2)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나무의 목재 단판(2)과 박달나무의 목재 단판(2)과 단풍나무의 목재 단판(2)이 교대로 접착되어 적층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서로 다른 수종으로 이루어지는 목재 다층 보드(3)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 형성된 목재 다층 보드(3)의 일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기판(4)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건축자재가 구성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목재 다층 보드(3)의 반대 표면에 장식지 또는 장식 쉬트 또는 무늬목판 등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미려한 외관의 건축자재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자재는 바닥재, 벽재, 천정재 등과 같이 주로 건축물의 내장재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건축자재의 사용 목적과 설치 장소 등에 따라서 목재 다층 보드(3)의 표면에 접착되는 일정한 두께의 기판(4)은 목재, 철, 동, 합금, 합성수지 재질로 다양하게 선택되며,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기판(4)이 목재 다층 보드(3)를 지지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목을 1차 가공한 목재를 양 방향으로 왕복시키면서 깍아내어 0.5 ㎜의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상기 슬라이스된 목재로부터 옹이 및 각종 하자가 존재하는 부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옹이 및 하자 부위를 절단기로 분리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을 형성한다.
상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을 적절하게 배열하고, 봉합기를 사용하여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5)로 봉합하여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 사이를 연결하고, 이러한 봉합 과정을 반복하여 0.5 ㎜ 두께인 사각형의 목재 단판(2)을 형성한다.
상기 목재 단판(2)의 표면에 목재 가공용 친환경적 멜라민 접착제를 0.1 ㎜의 두께로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제층에 다른 목재 단판(2)을 대면하여 접착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9 매의 목재 단판(2)을 같은 결로 차례로 적층하며, 적층된 목재 단판(2)을 2 개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서 압착하여 9 층의 목재 다층 보드(3)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재 다층 보드(3)를 절단기로 절단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태로 분할한다.
상기 목재 다층 보드(3)의 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동 재질의 기판(4)을 접착하여 바닥재인 건축자재를 완성한다.
상기 완성된 바닥재를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 차례로 배설하여 시공하며, 이때 상기 건축 자재의 기판(4)을 바닥에 대면하도록 접착하여 지하의 수맥파가 차단되는 마루 바닥을 완공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구성 및 기술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두께, 목재 단판(2)으로 봉합되는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배치, 적층되는 목재 단판(2)의 수효, 압착 과정에서 적용되는 온도 및 압력 등과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당업자에 의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이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스된 목재로부터 옹이가 존재하는 부위를 분리하여 형성되는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을 적용하여 고부가가치의 건축자재를 구성하므로 종래에 폐기되거나 땔감으로 사용되던 목재의 옹이 및 하자 부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목에 대한 목재의 활용 비율이 종래의 평균 35 %에서 70 %로 크게 증가된다.
또한, 목재 단판(2)이 적층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구성되므로 설치된 건축자재의 표면, 즉 목재 다층 보드(3)의 최상층이 훼손되는 경우에는 상기 훼손된 최상층의 목재 단판(2)을 그라인더로 용이하게 깍아내고 그 하부층의 목재 단판(2)을 노출시키므로서 상기 건축자재를 연속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건축자재의 수명을 건축물의 수명과 동일하게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재 다층 보드(3)가 서로 다른 수종의 목재 단판(2)으로 접착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목재 단판(2)을깍아내면 다른 수종의 목재 단판(2)이 노출되어 새로운 무늬와 분위기의 건축자재를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는 슬라이스된 목재의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가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로 봉합되어 목재 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이 적층되고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의 표면에 기판이 접착되어 구성되어 종래에는 폐기되던 목재의 옹이 및 하자 부위를 활용하여 바닥재, 벽재, 천정재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의 건축자재를 제조하므로서 원목에 대한 목재 활용 비율을 배가하고 원목 소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목재가 0.5 ∼ 1 ㎜의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그 옹이 및 하자 부위가 분리되어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형성되고, 상기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이 접착제 재질의 봉합사(5)로 봉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단판(2) 다수매가 같은 결로 적층으로 접착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형성되고, 상기 목재 다층 보드(3)의 일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기판(4)이 접착제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과 옹이 및 하자 부위 조각면(1)의 변이 접착제로 접합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목재 단판(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수종의 목재 단판(2) 다수매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되어 목재 다층 보드(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KR20-2004-0016604U 2004-06-14 2004-06-14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Ceased KR200361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04U KR200361680Y1 (ko) 2004-06-14 2004-06-14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04U KR200361680Y1 (ko) 2004-06-14 2004-06-14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43A Division KR100638110B1 (ko) 2004-04-23 2004-04-23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680Y1 true KR200361680Y1 (ko) 2004-09-13

Family

ID=4943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04U Ceased KR200361680Y1 (ko) 2004-06-14 2004-06-14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6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502A (ko) * 2004-12-21 2005-04-12 (주)금양합판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502A (ko) * 2004-12-21 2005-04-12 (주)금양합판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0602A1 (fr) Matériau composite pour une âm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dit matériau, contreplaqu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dit contreplaqué
CN101579867A (zh) 合成树脂增强的木材复合板及其加工方法
CN100557164C (zh) 实木复合地板及制造方法
CN101811313A (zh) 金属增强木材复合板及其加工方法
KR100638110B1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CN201309194Y (zh) 斜拼胶合板
KR200361680Y1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JP2002011708A (ja) 表面強化建材
CN221561686U (zh) 特殊多层结构拼制的细木工生态板
CN103790332A (zh) 一种三层实木复合地板及制作方法
JP4103545B2 (ja) 床材
CN208396217U (zh) 一种实木复合地板基材结构
CN101054852A (zh) 一种地板和其制造方法以及其用作地热地板
CN104128971A (zh) 竹木复合集装箱用底板及其生产方法
JPH09174518A (ja) 単板積層材集成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774769Y (zh) 竹木复合结构的装饰木质板
CN108316604A (zh) 一种实木复合地板基材结构及制作方法
CN2880483Y (zh) 板材结构
JP4750600B2 (ja) 集成材
JP2001232609A (ja) 多層構成集成材及びそれを用いた階段部材。
JP3024107U (ja) 単板積層材集成材
JP2008068421A (ja) 複合基材の製造方法
CN2527439Y (zh) 一种复合板
CN212045166U (zh) 一种采用竹集成材与规格材制备的复合交错层积材
KR102461680B1 (ko)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82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