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1632Y1 -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 Google Patents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632Y1
KR200361632Y1 KR20-2004-0015926U KR20040015926U KR200361632Y1 KR 200361632 Y1 KR200361632 Y1 KR 200361632Y1 KR 20040015926 U KR20040015926 U KR 20040015926U KR 200361632 Y1 KR200361632 Y1 KR 200361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mbustion fuel
lighting means
cooking oil
ignition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순 filed Critical 박광순
Priority to KR20-2004-0015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6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04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liquid fuel
    • F21V37/0008Fuel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교행사나 각종 파티나 영업장소 등의 인테리어 용도로 이용되는 조명수단에 관한 것으로, 조명용기(10)의 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에 비중차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물(11)과 연소연료(12)를 일정높이로 충진하면서, 상기 조명용기(10)에 연소연료(12)를 통해 부유되는 점화부재(13)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소연료의 녹아내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원이 최소화되어 주변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조명수단에 필요에 따라 식용유를 보충하여 연소원으로 사용하므로 조명수단의 유지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Illuminator using edible oil}
본 고안은 종교행사나 각종 파티나 영업장소 등의 인테리어 용도로 이용되는 조명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수단의 수용공간에 연소연료로서 식용유를 충진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조명수단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촛불은 실내를 밝혀주어 조명 및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이 촛불은 몸체에 삽입된 심지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불빛을 이용하여 주변을 밝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조명기구의 발달에 따라 촛불의 사용범위가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정전 등과 같은 비상의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하며, 그 외에도 케익 등의 선물이나 까페 등에서 장식용 등과 같이 한정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촛불의 기능적인 측면 보다는 장식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디자인이나 색상 등을 변경한 기능성 제품이 주로 제조되고 있고, 장식적인 기능의 측면이 점차로 한계점이 들어나면서 소비자가 쉽게 식상하게 됨은 물론 제품의 부가가치를 증대시키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촛불을 오랜동안 사용하는 경우 촛농이 흘러내리므로 몸체의 모양이 울퉁불퉁하게 변형될 뿐만 아니라 촛불이 놓여진 탁자 등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촛불을 부주의하게 다루거나 바람 등에 의해 넘어지는 경우 화재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수단의 수용공간에 연소연료로 식용유를 충진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조명수단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명용기의 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에 비중차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물과 연소연료를 일정높이로 충진하면서, 상기 조명용기에 연소연료를 통해 부유되는 점화부재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수단의 점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화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명용기 11 : 물
12 : 연소연료 13 : 점화부재
13a : 심지 13b : 무게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수단에 내장되는 점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로, 조명용기(10)의 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에 비중차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물(11)과 연소연료(12)를 일정높이로 충진하면서, 조명용기(10)에 연소연료(12)를 통해 부유되는 점화부재(13)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조명용기(10)는 조명수단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원에서는 그 몸체를 원통형으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지만 그 밖에도 어떠한 형태로도 성형이 가능하며, 특히 그 몸체를 투명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11)은, 조명용기(10)에 충진되는 통상적인 물로서, 색소나 장식물을 첨가하여 장식미를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소연료(12)는, 조명용기(10)에 물(11)과 함께 충진되면서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어 물(11)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재료로는 구입 및 재활용이 용이한 식용유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화부재(13)는, 조명용기(10)에 내장되면서 연소연료(12)의 일정높이로 침적되어 부유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중심부에 심지(13a)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면서, 그 몸체의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무게추(13b)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점화부재(13)의 심지(13a)로는 공지기술에서와 같이 면섬유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점화부재(13)의 무게추(13b)는 연소연료(12)에 침적된 상태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돌출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점화부재(13)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중의 기능을 수행함은 당연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명용기(10)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조명용기(10)의 수용공간에 물(11)을 적정량 충진하고 색소나 장식물을 첨가하여 장식미를 증대시킨 다음, 연소연료(12)를 적정량 충진한다.
이때, 조명용기(10)가 투명체이므로 색소나 장식물이 확연하게 외부로 들어나 장식미가 증대된 상태이다.
이렇게 하면, 조명용기(10)의 수용공간에서 비중차에 의해 물(11)의 상부측에 연소연료(12)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조명용기(10)의 수용공간에 점화부재(13)를 내장하면, 점화부재 (13)는 그 몸체에 장착된 무게추(13b)에 의해 연소연료(12)에 일정깊이를 갖도록 침적된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이어서, 점화부재(13)의 심지(13a)를 점화하면서, 심지(13a)의 흡인력에 의해 연소연료(12)가 흡인되어 연소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에 의하면, 조명수단에 물과 식용유를 충진함은 물론 식용유에 의해 부유되는 점화부재를 내장하여 연소작용을 수행하므로써, 연소연료의 녹아내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원이 최소화되어 주변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조명수단에 필요에 따라 식용유를 보충하여 연소원으로 사용하므로 조명수단의 유지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조명용기(10)의 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에 비중차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물(11)과 연소연료(12)를 일정높이로 충진하면서, 상기 조명용기(10)에 연소연료(12)를 통해 부유되는 점화부재(13)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11)은,
    색소 또는 장식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연료(12)는,
    그 재료가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재(13)는,
    그 몸체 중심부에 심지(13a)가 설치되면서 그 몸체하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무게추(13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KR20-2004-0015926U 2004-06-08 2004-06-08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Expired - Fee Related KR200361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26U KR200361632Y1 (ko) 2004-06-08 2004-06-08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26U KR200361632Y1 (ko) 2004-06-08 2004-06-08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632Y1 true KR200361632Y1 (ko) 2004-09-14

Family

ID=4943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9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1632Y1 (ko) 2004-06-08 2004-06-08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295B1 (ko) 2015-11-10 2017-07-25 원홍섭 양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295B1 (ko) 2015-11-10 2017-07-25 원홍섭 양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76317S1 (en) Glowing artificial candle flame
DE602006013266D1 (de) Lichtobjekt mit wechselnder farbe und benutzerschnittstelle dafür
US9527103B2 (en) Flameless candle device with fountain
US20120307516A1 (en) Electronic candle
US20110262875A1 (en) Thermo-sensing color-changeable candle
KR200361632Y1 (ko)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US8628208B1 (en) Flickering candle
CN205480668U (zh) 内嵌式发光蜡烛
CN205299385U (zh) 装饰蜡烛
CN204829732U (zh) 一种led蜡烛灯
CN108167726A (zh) 一种带有彩色图案的光纤电子蜡烛
CN108167725A (zh) 一种带有燃烧效果的电子蜡烛
EP1831601A4 (en) LUMINAIRE REFLECTOR WITH LIGHT MODIFYING FLANGE
CN104595818A (zh) 一种隐形艺术灯笼
CN205480218U (zh) 家用新型环保蜡烛
CN204300964U (zh) 一种多层七彩电子蜡烛
TWM515619U (zh) 水蠟燭燈焰噴泉裝置
CN201651794U (zh) 电子蜡烛灯
CN201739941U (zh) 一种变色蜡烛灯
CN201502900U (zh) 一种工艺灯
GB2394999A (en) Candle lamp holder
CN208919733U (zh) 油灯浮台
CN209484466U (zh) 一种灯罩及采用该灯罩的仿真蜡烛灯
RU84380U1 (ru) Свеча
CN2771624Y (zh) 电子仿真蜡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0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