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527Y1 - 습식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집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1527Y1 KR200361527Y1 KR20-2004-0018053U KR20040018053U KR200361527Y1 KR 200361527 Y1 KR200361527 Y1 KR 200361527Y1 KR 20040018053 U KR20040018053 U KR 20040018053U KR 200361527 Y1 KR200361527 Y1 KR 2003615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main body
- coupled
- washing water
-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2 coars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53 pneumocon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기간 사용시 필터에 부착 누적되어 세척하기 어려운 잔여 분진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의 교환 및 이로 인한 집진장치 자체의 교체등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불꽃이 발생되는 그라인딩 및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함유된 분진으로 인하여 필터에 점화되어 화재 발생등의 작업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건식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공기중의 미세한 분진이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H)에 있어서,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상기 본체(H) 내측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획판(10)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에 흡입유도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도관(11)의 일측은 세척수(PW)내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플레시블한 흡입관(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가까이에는 드레인(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제거실(1)과,
상기 제1 구획판(10)과 하측에는 망체(2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 2 구획판(20)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의 제2 분진제거실(2)과,
상기 제2 구획판(20)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휠터(F)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일측에 배출관(30)이 결합되어 있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31)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분진제거실(3)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분진제거실(1)과 제2 분진제거실(2)과 제3 분진제거실(3)의 넓이 비율을 1 : 1 : 2로 구획한 것과,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H)에 있어서,
하측에는 망체(10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분판(102)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측면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B)의 일측은 플레시블한 흡입관(202)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유입관(BI)이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여과실(100)과,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B)의 유입관(BI)과 연결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된 세척수(PW)내에 위치하는 연결관(201)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본체(H)를 관통하여 댐퍼(204)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 분진제거실(200)과,
상기 제1 구분판(102)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필터(F)가 배출플렌지(301)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관(302)이 결합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303)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분진여과실(300)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과 제2 분진여과실(300)의 넓이 비율을 1 : 1로 구획한 것과,
상기 본체(H)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배판(4,4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필터에 부착 누적되어 세척하기 어려운 잔여 분진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의 교환 및 이로 인한 집진장치 자체의 교체등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불꽃이 발생되는 그라인딩 및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함유된 분진으로 인하여 필터에 점화되어 화재 발생등의 작업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건식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공기중의 미세한 분진이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기간 사용시 필터에 부착 누적되어 세척하기 어려운 잔여 분진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의 교환 및 이로 인한 집진장치 자체의 교체등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불꽃이 발생되는 그라인딩 및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함유된 분진으로 인하여 필터에 점화되어 화재 발생등의 작업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건식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공기중의 미세한 분진이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경제 성장, 도시화 및 산업화를 통하여 우리나라 역시 환경 오염의 심화로 인한 대기, 수질 및 폐기물 등의 오염문제가 사회문제화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국민의 이러한 인식이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연결되며, 이는 다시 환경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을 제고시키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환경 과학 기술의 현황을 사펴볼때 여러가지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근래들어 우리나라에도 수계별 수질검사소, 자동차 공해 연구소, 한국 환경 기술 개발원이 설립되는 등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점차 고조되고 환경문제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환경 정보의 체계화, 환경과학기술의 개발 등 국내외의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더욱이, 환경기술의 개발이 종전의 사후처리기술 위주에서 앞으로는 사전처리기술 위주로 전환될 것이 예상되어, 향후 청정기술 등에 대한 기술 요구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오염은 단체 또는 개인에 따라 그 정의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별도로 정의되고 있지는 않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하고 있는 대기오염의 정의는 대기 중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이 존재하여 오염물질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이 어떤 지역의 불특정 다수인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해당지역에 공중보건상 위해를 끼치고, 인간이나 동물, 식물의 활동에 해를 주어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받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대기중에 배출되는 먼지나 연기에 의한 인체 및 동,식물 등에 주는 피해는 입자상 물질 그 자체가 유해성이 있을 뿐아니라 공존하는 유해가스에 의해서 더욱 큰 폐해를 미치고, 입자가 미세하게 될수록 그 영향은 커진다. 또한 수 ㎛이하의 소위 부유상 입자들은 쉽게 지상에 떨어지지 않고, 장시간 대기중 부유하기 때문에 시야 장애, 진폐증 내지 스모그(smog)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미세한 입자의 대기방출을 억제하는 일이 중요하다. 연료, 기타 물질이 연소 또는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는 매연 및 물질의 파쇄, 선별기타의 기계적 처리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중에서 고체 또는액체가 미립자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을 연무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를 부착한 함진 가스를 기체로 부터 분리 포집하는 것이 집진장치(dust collector)이다.
대기 중의 먼지(dust)의 입경 분포는 전체적으로는 약 0.001~500㎛정도이나 대부분이 0.1~10㎛의 크기를 가지며, 이 가운데 분자와 비슷한 기체 분자와 충돌해 제멋대로 운동하는 브라운(Brown)운동을 하는 먼지는 주로 약 1~20㎛정도의 입경을 갖는다. 먼지발생원인 작업장에서 발생된 먼지의 크기는 천차만별이지만 주로 0.01~100㎛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이들의 제거를 위해 집진장치를 설비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장에서 근로자 및 생활환경에서 인간의 폐(lug)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크기인 0.5~5㎛정도의 분진 입자는 필히 포집되어야 한다.
현재, 입자상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는 싸이클론 집진장치, 여과 집진장치, 전기 집진기 내지 습식 분진제거 장치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중에서 통상 습식 집진장치로 일컬어지는 세정 집진장치는 액적, 액막 또는 기포 등에 의해 함진 가스를 세정하여 입자에 부착하고 입자 상호간의 응집을 촉진시켜 직접 가스의 흐름으로 부터 입자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정 집진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적에 대한 입자의 충돌 부탁, 미립자 확산에 의한 입자간 응집, 배기가스의 증습에 의한 입자간 응집, 입자를 핵으로 하는 증기의 응결 및 응집성 촉진 그리고 액막, 기포에 대한 입아의 접촉 부착 등의 포집 원리에 따라 분진을 포집한다. 상기 세정 집진장치는 크게 집진기 내에 일정량의 액체를 채워놓고 처리가스를 유입시켜 함진 가스를 세정하는 유수식, 물을 가압 및 공급하여 함진 가스를 세정하는 방식인 가압수식 그리고 송풍기의 회전을 이용하여 물방울, 수막 기포를 형성하여 세정하는 회전식으로 분류되나, 종래의 상기 습식 집진장치는 일반적으로 집진 효율이 낮고, 미립자의 분진의 경우에는 포집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집진 효율과 미립자의 분진을 모두 해결할 수 있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그 구성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필터에 부착 누적된 분진을 제거 및 세척키 위해서 자주 필터의 교체 및 세척을 하여야 하는데 이점에서도 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필터에 부착 누적되어 세척하기 어려운 잔여 분진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의 교환 및 이로 인한 집진장치 자체의 교체등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불꽃이 발생되는 그라인딩 및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함유된 분진으로 인하여 필터에 점회되어 화재 발생등의 작업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건식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공기중의 미세한 분진이나 먼지 및 입자가 굵은 분진 및 먼지도 함께 동시에 포집하여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1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3b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3a의 단면도,도 4b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3b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제1 분진제거실 2 : 제2 분진제거실 3 : 제3 분진제거실 4 : 구배판
10 : 제1 구획판 11 : 흡입유도관
12 : 흡입관 13 : 드레인
20 : 제2 구획판 21 : 망체
30 : 배출관 31 : 드레인
100 : 제1 분진여과실 101 : 망체
102 : 제1 구분판 200 : 원통 분진제거실
201 : 연결관 202 : 흡입관
204 : 댐퍼 300 : 제2 분진여과실
301 : 배출플렌지 302 : 배출관
303 : 드레인 400 : 구배판
B : 블로워 F : 여과휠터
H : 본체 M : 모터
BI : 유입관 PW : 세척수
WI : 세척수투입구
상기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에 있어서,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상기 본체 내측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에 흡입유도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도관의 일측은 세척수내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플레시블한 흡입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가까이에는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제거실과, 상기 제1 구획판과 하측에는 망체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 2 구획판의해 구획되어 세척수가 수납된 상태의 제2 분진제거실과, 상기 제2 구획판과 본체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가 타측에는 여과휠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일측에 배출관이 결합되어 있는 블로워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분진제거실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분진제거실과 제2 분진제거실과 제3 분진제거실의 넓이 비율을 1 : 1 : 2로 구획한 것과,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에 있어서, 하측에는 망체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분판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측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워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의 일측은 플레시블한 흡입관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유입관이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여과실과, 상기 제1 분진여과실에 수납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제1 분진여과실에 수납된 세척수내에 위치하는 연결관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댐퍼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 분진제거실과, 상기 제1 구분판과 본체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가 타측에는 여과필터가 배출플렌지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관이 결합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분진여과실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분진여과실과 제2 분진여과실의 넓이 비율을 1 : 1로 구획한 것과,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배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H)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서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체(H)의 형상은 도면에서 단지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본체(H)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크게 3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즉, 제1 분진제거실((1)과 제2 분진제거실(2) 및 제3 분진제거실(3)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분진제거실내에는 일정량의 세척수(PW)가 수용되어 있는데 상기 세척수(PW)는 일반적인 물이 아니라 세정액이 첨가된 물인 것이다.
우선, 제1 분진제거실(1)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상기 본체(H) 내측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획판(10)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H) 측면에 흡입유도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도관(11)의 일측은 세척수(PW)내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플레시블한 흡입관(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가까이에는 드레인(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흡입유도관(11)은 본체(H)의 측면에 일측이 본체(H)와 일체로 내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PW)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제2 분진제거실(2)은 상기 제1 구획판(10)과 제2 구획판(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구획판(20)은 하측에는 망체(21)가 결합되어 있어 세척수(PW)가 유동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 분진제거실(2)에도 일정량의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이다.
다음, 제3 분진제거실(3)은 상기 제2 구획판(20)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휠터(F)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일측에 배출관(30)이 결합되어 있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하단에는 드레인(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진제거실(1)과 제2 분진제거실(2)과 제3 분진제거실(3)의 넓이 비율을 1 : 1 : 2로 구획하였으며, 또한 상기 본체(H)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배판(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배판(4)은 상기 제1 및 제2, 제3 분진제거실(1,2,3)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척수(PW)를 드레인(13,31)을 통해 배출할때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한편, 제1, 제2, 제3 분진제거실(1,2,3)의 크기 비율을 1 : 1 : 2로 구획한 것은 상기 블로워(B)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본체(H)로 분진을 유입함에 있어 그 흡입력을 최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D는 수면계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목공소나 연마, 연삭작업장 및 기타 분진이 발생 가능한 모든 작업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장 선반에서 작업자가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을 할때 상기 플렉시블한 흡입관(12)을 작업자 선반 즉, 분진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 다음 우선 상기 제1, 제2 및 제3 분진제거실(1,2,3)내에 세정액이 함유된 세척수(PW)를 일정 높이의 량만큼 세척수투입구(WI)를 통해 수납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집진장치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분진 등이 흡입되고 상기와 같이 흡입된 분진은 흡입유도관(11)을 통해 제1 분진제거실(1)에 수납된 세척수(PW) 즉, 수중으로 흡입되면 기포와 함께 거품이 발생하면서 굵은 분진가루는 침전되고 가벼운 분진가루는 세척수(PW)에 의해 세정된 상태에서 제2 분진제거실(2)로 이송되며 이와 같이 이송된 분진가루는 제2 구획판(20)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고 다시 제2 분진제거실(2)에 수납된 세척수(PW)내로 흡입되어 재차 기포와 거품을 발생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망체(21)를 통과한 분진가루나 기타 공기 및 미립자는 제3 분진제거실(3)에 수납된 세척수(PW)에서 또다시 기포 및 거품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3 분진제거실(3) 상측면에 형성된 여과필터(F)에 의해 재차 필터링된 후 신선하고 정화된 공기만이 블로워(B)의 일측에 결합된 배출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분진가루나 기타 미세한 먼지 등은 상기 제1 ,제2, 제3 분진제거실(1,2,3) 내부에 수납된 세척수(PW) 내에 침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것은 본체(H)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장에서 분진을 발생하는 작업을 마치면 상기 드레인(13,31)을 개방하면 본체(H)의 바닥에 구배판(4)이 형성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침전된 분진이나 먼지와 함께 세척수(PW)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모든 분진가루 및 먼지를 수차례 세척수(PW)를 이용하여 필터링함으로서 기존의 1차 필터링하는 습식 집진장치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별도의 블로워(B)를 장착하여 분진가루 및 먼지의 필터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주로 미세한 미립자에 적합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의 분진 가루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2에서 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3a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3b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4a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3a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도 3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의 분진 및 먼지등을 정화 및 집진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이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H)의 대략적인 형상은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서 진공상태인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본체(H)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본체(H)는 크게 나누어서 제1 분진여과실(100)과 원통 분진제거실(200) 및 제2 분진여과실(300)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분진여과실(100)이나 제2 분진여과실(300)은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인 제1, 제2, 제3 분진제거실(1,2,3)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단지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명확하고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명칭을 변경한 것에 불과하며, 또한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 구분판(102)도 실시예 1의 구성요소인 제2 구획판(20)과 동일한 기능이나 실시예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명칭을 변경한 것에 불과하다.
우선, 제1 분진여과실(100)의 구성은 하측에는 망체(10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분판(102)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세척수(PW)는 세정액이 함유된 것으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차이점은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의 외부 상측면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B)의 일측은 플레시블한 흡입관(202)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유입관(BI)이 형성된 점이다.
즉, 실시예 1과 달리 작업장의 분진을 흡입관(202)이 흡입할때 상기 흡입관(202)이 직접 블로워(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흡입력이 매우 강력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실시예 1보다 입자가 큰 분진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과 가장 큰 차이점은 원통 분진제거실(200)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은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용접처리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B)의 유입관(BI)과 연결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된 세척수(PW)내에 위치하는 연결관(201)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본체(H)를 관통하여 댐퍼(20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블로워(B)의 유입관(BI)이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에 직접 연결되어 본체(H)인 제1 분진여과실(100)을 거치지 아니하고 바로 원통 분진제거실(2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204)는 본체(H)를 관통하여 직접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에서 집진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에는 세척수(PW)가 수용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다음, 제2 분진여과실(300)의 구성은 상기 제1 구분판(102)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휠터(F)가 배출플렌지(301)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관(302)이 결합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3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과 제2 분진여과실(300)의 넓이 비율을 1 : 1로 구획함으로서 상기 본체(H) 내의 분진가루 및 먼지의 정화 및 집진 기능이 최적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H)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배판(4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WB는 원통 분진제거실(200) 외부에는 세척수(PW)가 일정 높이까지 수용됨으로서 발생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을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D는 수면계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목공소나 연마, 연삭작업장 및 기타 분진이 발생 가능한 모든 작업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장 선반에서 작업자가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을 할때 상기 플렉시블한 흡입관(202)을 작업자 선반 즉, 분진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 다음 우선 상기 제1, 제2 분진여과실(100,200)내에 세정액이 함유된 세척수(PW)를 일정 높이의 량만큼 세척수투입구(WI)를 통해 수납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집진장치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관(202)을 통해 분진 등이 흡입되고 상기와 같이 흡입된 분진은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로 유입되어 원심력을 일으키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 외벽에 수용된 세척수(PW)에 의해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 내벽에는 결로현상 즉, 물방울(WB)가 발생하며 상기 물방울(WB)과 원심력현상에 의해 상기 분진가루 및 먼지 중 굵은 입자는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의 바닥으로 낙하되고 미립자는 상기 원통 분진제거실(200)의 내벽에 유착되지만 더욱 작은 미립자는 상기 연결관(201)을 통해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용된 세척수(PW)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재차 필터링되어 제1 구분판(102)의 하단에 형성된 망체(101)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2 분진여과실(300)에 수용된 세척수(PW)에 의해 또다시 필터링되어 분진가루 및 먼지등은 세척수(PW)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측으로 상승하여 본체(H) 상측에 형성된 여과필터(F)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어 정화된 신선한 공기가 되어 배출관(3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과정에서 분진가루 및 먼지등은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된 세척수(PW) 즉, 수중으로 흡입되어 기포와 함께 거품이 발생하면서 굵은 분진가루는 침전되고 가벼운 분진가루는 세척수(PW)에 의해 세정된 상태에서 이송되며 이와 같이 이송된 분진가루는 반복적으로 기포와 거품을 발생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망체(101)를 통과한 분진가루나 기타 공기 및 미립자는 제2 분진여과실(300)에 수납된 세척수(PW)에서 또다시 기포 및 거품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2 분진여과실(300) 상측면에 형성된 여과필터(F)에 의해 재차 필터링된 후 신선하고 정화된 공기만이 배출관(3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분진가루나 기타 미세한 먼지 등은 상기 제1 ,제2 분진여과실(100,200) 내부에 수납된 세척수(PW) 내에 침전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하였지만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것은 본체(H)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즉, 실시예 1, 2에서 블로워(B)의 흡입력에도 불구하고 세척수(PW)가 각각의 구획판이나 구분판을 넘지 못하는 것은 상기 본체(H)의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장에서 분진을 발생하는 작업을 마치면 상기 드레인(303)을 개방하면 본체(H)의 바닥에 구배판(400)이 형성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침전된 분진이나 먼지와 함께 세척수(PW)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모든 분진가루 및 먼지를 수차례 세척수(PW)를 이용하여 필터링함으로서 기존의 1차 필터링하는 습식 집진장치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별도의 블로워(B)를 장착하여 분진가루 및 먼지의 필터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의 분진 가루를 집진하고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습식 집진장치는 기존 집진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필터에 부착 누적되어 세척하기 어려운 잔여 분진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의 교환 및 이로 인한 집진장치 자체의 교체등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불꽃이 발생되는 그라인딩 및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불꽃이 함유된 분진으로 인하여 필터에 점화되어 화재 발생등의 작업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건식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공기중의 미세한 분진이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H)에 있어서,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상기 본체(H) 내측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획판(10)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에 흡입유도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도관(11)의 일측은 세척수(PW)내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플레시블한 흡입관(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가까이에는 드레인(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제거실(1)과,상기 제1 구획판(10)과 하측에는 망체(2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 2 구획판(20)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의 제2 분진제거실(2)과,상기 제2 구획판(20)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휠터(F)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일측에 배출관(30)이 결합되어 있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31)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분진제거실(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분진제거실(1)과 제2 분진제거실(2)과 제3 분진제거실(3)의 넓이 비율을 1 : 1 : 2로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 외부 저면 4모서리에 스토퍼가 구비된 바퀴(R)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 집진장치의 본체(H)에 있어서,하측에는 망체(10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H)의 내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구분판(102)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측면에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워(B)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B)의 일측은 플레시블한 흡입관(202)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유입관(BI)이형성되어 있는 제1 분진여과실(100)과,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B)의 유입관(BI)과 연결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에 수납된 세척수(PW)내에 위치하는 연결관(201)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본체(H)를 관통하여 댐퍼(204)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 분진제거실(200)과,상기 제1 구분판(102)과 본체(H)의 내측 일면에 의해 구획되어 세척수(PW)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면 일측에는 세척수투입구(WI)가 타측에는 여과필터(F)가 배출플렌지(301)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관(302)이 결합되어 있고 일측면에 드레인(303)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분진여과실(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분진여과실(100)과 제2 분진여과실(300)의 넓이 비율을 1 : 1로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H)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배판(4,4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8053U KR200361527Y1 (ko) | 2004-06-25 | 2004-06-25 | 습식 집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8053U KR200361527Y1 (ko) | 2004-06-25 | 2004-06-25 | 습식 집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1527Y1 true KR200361527Y1 (ko) | 2004-09-13 |
Family
ID=4943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80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1527Y1 (ko) | 2004-06-25 | 2004-06-25 | 습식 집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1527Y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569B1 (ko) | 2007-10-10 | 2008-03-20 | 한국정밀(주) |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
KR100974612B1 (ko) * | 2009-10-13 | 2010-08-06 | (유)동양건업 | 도로 커팅기 |
KR101118287B1 (ko) * | 2004-10-14 | 2012-03-20 | 주식회사 포스코 | 고로의 노정 브리더 분진 포집장치 및 방법 |
KR101179791B1 (ko) | 2012-06-28 | 2012-09-04 | 고상옥 |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
KR101450730B1 (ko) * | 2014-02-06 | 2014-10-16 | 정재억 | 습식 스크러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빙 설비 |
CN108619833A (zh) * | 2018-07-18 | 2018-10-09 | 安徽京仪自动化装备技术有限公司 | 一种适用于酸性气体、粉尘环境的前端水洗喷淋装置 |
CN109332334A (zh) * | 2018-11-15 | 2019-02-15 | 湖州拉杜拉塔服饰有限公司 | 一种纺织集尘装置 |
KR101999595B1 (ko) * | 2019-04-02 | 2019-10-01 |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 실내외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
KR102046837B1 (ko) * | 2019-06-19 | 2019-11-20 | (주)나노스 | 이동식 분진 집진장치 |
CN114768443A (zh) * | 2022-05-31 | 2022-07-22 | 山东科技大学 | 一种湿式旋流除尘装置 |
KR102491859B1 (ko) * | 2022-08-24 | 2023-01-27 | 주식회사 아이엠쓰리디 | 가연성 금속분진 회수용 방폭 청소기 |
CN115738567A (zh) * | 2022-11-21 | 2023-03-07 | 连云港市万事兴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粉尘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
-
2004
- 2004-06-25 KR KR20-2004-0018053U patent/KR200361527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8287B1 (ko) * | 2004-10-14 | 2012-03-20 | 주식회사 포스코 | 고로의 노정 브리더 분진 포집장치 및 방법 |
KR100815569B1 (ko) | 2007-10-10 | 2008-03-20 | 한국정밀(주) |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
KR100974612B1 (ko) * | 2009-10-13 | 2010-08-06 | (유)동양건업 | 도로 커팅기 |
KR101179791B1 (ko) | 2012-06-28 | 2012-09-04 | 고상옥 |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
KR101450730B1 (ko) * | 2014-02-06 | 2014-10-16 | 정재억 | 습식 스크러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빙 설비 |
CN108619833A (zh) * | 2018-07-18 | 2018-10-09 | 安徽京仪自动化装备技术有限公司 | 一种适用于酸性气体、粉尘环境的前端水洗喷淋装置 |
CN109332334A (zh) * | 2018-11-15 | 2019-02-15 | 湖州拉杜拉塔服饰有限公司 | 一种纺织集尘装置 |
KR101999595B1 (ko) * | 2019-04-02 | 2019-10-01 |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 실내외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
KR102046837B1 (ko) * | 2019-06-19 | 2019-11-20 | (주)나노스 | 이동식 분진 집진장치 |
CN114768443A (zh) * | 2022-05-31 | 2022-07-22 | 山东科技大学 | 一种湿式旋流除尘装置 |
KR102491859B1 (ko) * | 2022-08-24 | 2023-01-27 | 주식회사 아이엠쓰리디 | 가연성 금속분진 회수용 방폭 청소기 |
CN115738567A (zh) * | 2022-11-21 | 2023-03-07 | 连云港市万事兴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粉尘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
CN115738567B (zh) * | 2022-11-21 | 2023-10-13 | 连云港市万事兴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粉尘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61527Y1 (ko) | 습식 집진장치 | |
CN206810037U (zh) | 一种自动化除尘装置 | |
KR101612519B1 (ko) | 집진장치 | |
KR101569721B1 (ko) | 소각로용 미세먼지 저감장치 | |
WO2018106034A1 (ko) |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공기정화기 | |
KR101623015B1 (ko) | 재사용 효율이 높은 필터 시스템 | |
CN207772841U (zh) | 一种除尘效率高的车载空气净化器 | |
JP2003284911A (ja) | 集塵装置および集塵方法、該集塵装置を備えた焼却設備 | |
CN106175607B (zh) | 具有电动灌装洁净空气功能的清洁机器人 | |
CN106214064A (zh) | 具有手动灌装洁净空气功能的环境洁净机器人 | |
CN206793269U (zh) | 一种旋转式集尘净化器 | |
CN105920925A (zh) | 空气净化核心旋流分离装置 | |
CN213527958U (zh) | 一种旋风加振打布袋一体式除尘装置 | |
CN208194015U (zh) | 家具加工用除尘净化设备 | |
CN2471399Y (zh) | 油烟净化器 | |
CN207153363U (zh) | 一种净化装置 | |
CN2378107Y (zh) | 一种油烟净化器 | |
CN108548248A (zh) | 一种多功能负离子空气净化器 | |
KR20020097444A (ko) | 습식 집진 장치 | |
CN208824146U (zh) | 一种水沫除尘装置 | |
KR102521688B1 (ko) | 차량 검사소용 배기가스 여과 장치 | |
CN222585973U (zh) | 一种沥青拌合站沥青烟气处理装置 | |
CN201632172U (zh) | 一种带预处理滤筒组合式净化器 | |
CN222111227U (zh) | 一种活性炭生产用除尘装置 | |
CN112378027A (zh) | 一种除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2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08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