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1381Y1 - 인덕션 낮은 렌지 - Google Patents

인덕션 낮은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81Y1
KR200361381Y1 KR20-2004-0017892U KR20040017892U KR200361381Y1 KR 200361381 Y1 KR200361381 Y1 KR 200361381Y1 KR 20040017892 U KR20040017892 U KR 20040017892U KR 200361381 Y1 KR200361381 Y1 KR 200361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ilt
stove
stove frame
pc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기
Original Assignee
유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상 filed Critical 유길상
Priority to KR20-2004-0017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8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덕션 낮은 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및 먼지에 의한 손상을 막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조리시 안정성이 최대한 보장되는 인덕션 낮은 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에 따르면, 조리 용기와 갑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빌트인부와 PCB 박스가 따로 구성되어 빌트인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PCB 의 파손이 방지되고, 공기필터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내의 먼지등을 차단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PCB 등 내부부품의 오염 및 파손이 방지되며, 공기차단막을 통해 빌트인부와 PCB 박스를 통한 더운공기의 재순환이 방지되어 열에 의한 PCB 및 기타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인덕션 낮은 렌지{INDUCTION LOW RANGE}
본 고안은 인덕션 낮은 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및 먼지에 의한 손상을 막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조리시 안정성이 최대한 보장되는 인덕션 낮은 렌지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렌지란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상판위에 놓인 냄비의 바닥을 통과시에 냄비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를 생성하고, 와류전류는 냄비 자체만을 발열시켜서 조리를 수행하게 되는 렌지이다. 상기와 같은 인덕션 렌지는, 연료의 연소에 의한 불꽃등에 의해 조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고, 조리시에도 렌지의 표면이 뜨겁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며,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없으며, 열효율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스렌지나 전자렌지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조리기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덕션 렌지는, 종래, 핫플레이트와 같이 소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테이블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덕션 렌지가 낮은렌지의 형태로 가정용으로 실용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는, 상기 인덕션 렌지가 전기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PCB 박스가 내장되며, 상기 낮은 렌지 내에서의 더운 공기의 순환에 의해 상기 PCB 박스 및 인덕션 렌지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고, 또한, 순환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 먼지등에 의해 작동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열 및 먼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높은 열효율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한 상업용 인덕션 낮은 렌지를 창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외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빌트인부의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렌지프레임 내에서의 공기흐름도를 각각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렌지프레임 12: 후방지지판
14: 빌트인부 16: 세라믹판 18,18': 워킹코일
20,20': 냉각 25: PCB 박스 고정구
26: 유입공 28: 공기필터
29: 공기필터함 30: 삽입판
36,36',36'': 연통구멍 38: 가로막
40: 공기차단막 50: 워킹코일장착판
51: 통공 52: 중심볼록부
54: 볼트 56: 중앙거치대
58,58': 측면거치대 60: 돌출부
62: 스프링 70: 제어패널
72: 제어조작부 73: 파워스위치
74: 조절손잡이 75: 출력디스플레이부
76: 누전차단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중공형 렌지프레임과, 상기 렌지프레임의 후방단부에서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판과,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 내의 상부 공간에 매설되며 조리용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2개의 인접한 워킹코일이 내장되는 빌트인부와, 상기 빌트인부 상부에 장착되는 내열성 세라믹판과, 상기 각 워킹코일의 전방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워킹코일 후방에 설치되는 공기흡입팬과, 상기 렌지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워킹코일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PCB 박스와, 상기 렌지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 타측 저면부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필터와, 상기 렌지프레임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낮은 렌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조작부와,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팬 및 공기흡입팬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형 랜지 프레임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 박스와 빌트인부는 가로막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빌트인부 하방에는 상기 렌지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을 전후방으로 분리시켜 더운 공기의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횡방향 공기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의미를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의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원시점을 기준으로 다양한 균등물 내지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구성된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렌지프레임(10)을 포함하며, 상기 렌지프레임(10)의 후방 단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지를 주방 벽에 지지하는 후방지지판(12)이 형성된다.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전면에는 상기 렌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70)이 형성되며,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의 중심부에는 세라믹판(16)이 장착된다. 상기 제어패널(70)에는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로 누전차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누전차단기(7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어조작부(72)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조작부(72)는 제품의 출력을 시작하는 버튼 스위치인 파워스위치(73)와, 제품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절손잡이(74), 그리고 제품의 출력 단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디스플레이부(75)가 구비된다.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10)은 후술하는 인덕션 렌지의 내부 부품의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은 조리 용기를 올려놓는 플레이트로서 작용한다. 상기 세라믹판(16)은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에 걸쳐 설치되며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자리를 지정하며, 조리시 가열된 조리 용기의 높은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지프레임(10)은 중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 내에는 개별적인 부품들이 적절하게 배열된다. 상기 세라믹판(16)의 하부, 즉,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10) 내부의 상부 공간에는 빌트인부(14;built-in part)가 삽입된다. 상기 빌트인부(14)는 대체로 높이가 낮고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 상자와 같은 구성으로서, 상단 가장자리 외주면은 밑면보다 외부로 더욱 길게 연장되어, 마치, 세수대야 형상과 같은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렌지프레임(10)의 단차지게 형성된 상응하는 내측 단부에 얹혀지면서 지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빌트인부(14)가 상기 렌지프레임(10) 내부의 상부 공간에 삽입 매설되는 것이다. 상기 빌트인부의 상단부 내측은 외주면을 따라 다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차져서 형성된 홈 상에 상기 세라믹판(16)의 가장자리 단부가 놓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 빌트인부(14)의 상단, 그리고 세라믹판(16)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판(16)이 위치되는 상기 빌트인부 상단 가장자리상의 접촉표면에는 고무볼(8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세라믹판(16)이 놓여지는 경우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빌트인부(14) 내에는, 2 개의 워킹코일(18,18')이 위치된다. 상기 워킹코일(18,18')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세라믹판(16) 위에 놓여질 조리 용기의 철성분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빌트인부(14)의 하부, 즉,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10)의 하부 공간에는, 일측에 PCB 박스(24)가 놓여진다. 상기 PCB 박스(24)는 상기 워킹코일(18.1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10)의 하부 공간의 타측은 외부공기의 통로로서, 그 저면부에는 다수개의 유입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26)은 종방향으로 긴 슬롯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공(26)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빌트인부(14)의 냉각팬(20,20')에 의해 흡입 송풍되어 코일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입공(2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대기중의 먼지나 분진등 오염물등을 고스란히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오염물질들이 상기 렌지 내부에 그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내부 부품의 손상을 야기하여 인덕션 렌지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사용 수명을 단축시킬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공(26)을 커버하는 공기필터(2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는 상기 빌트인부(14)의 상세도가 도시된다. 상기 빌트인부(14)에는 가로 방향으로 2 개의 워킹코일(18.18')이 설치된다. 상기 각 워킹코일(18,18')의 전방부에는 각각 1개씩의 냉각팬(20,2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팬(20,20')은 상기 워킹코일(18,18')에 전류가 공급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열을 식혀주기 위해 상기 워킹코일(18,18')에 찬 바람을 불어넣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팬(20,20')은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이 직접적으로 상기 워킹코일(18,18')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팬(20,20') 하부의 빌트인부(14) 저면부에는 상기 중공 렌지프레임(10)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멍(36,36')이 형성된다. 도 1 의 설명 부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지프레임(10)의 하부공간의 타측 저면부에 형성된 유입공(26)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 공기는 상기 냉각팬(20,20') 하부에 형성된 연통구멍(36.36')을 통하여 상기 빌트인부(14)로 공급된다. 공급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20,20')에 의해 상기 워킹코일(18,18')에 송풍되고, 송풍된 공기에 의해 워킹코일(18,18')의 냉각이 수행된다. 상기 워킹코일(18,18')의 후방부에는 공기흡입팬(2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흡입팬(22)은 상기 워킹코일(18,18')로부터 발생하는 뜨거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흡입팬(22)의 하부의 빌트인부(14) 저면부에도 상기 중공 렌지프레임(10)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공간의 후방부는 개방되거나, 또는 소정의 배기관이 형성되어 상기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18,18')은 상기 냉각팬(20,20')에의해 찬 바람으로 냉각되고, 뜨거운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팬(2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이중 냉각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워킹코일(18,18')은 대체로 원형인 워킹코일장착판(50,50') 상에 설치된다. 상기 워킹코일(18,18')은 여러 가닥의 코일이 꼬여져서 하나의 큰 코일 다발이 긴 밧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밧줄 형태의 워킹코일(18,18')은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 상에서, 중심볼록부(52)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마치 팽이줄 감기듯 감겨지며, 이것은 PCB 박스를 거쳐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워킹코일(18,18')이 감겨진 워킹코일장착판(50,50')은 빌트인부(14)의 저면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고정된다. 상기 거치대는 1개의 중앙거치대(56) 및 상기 중앙거치대(56)의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된 측면거치대(58,58')로 구성된다. 각 거치대는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지지되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평면부를 빌트인부(14)의 바닥에 지지하는 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거치대 상에는 막대형 돌출부(60)가 형성되는데, 양 측면 거치대(58,58') 상에는 2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중앙거치대(56) 상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2개씩 총 4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의 측면부에 형성된 통공(51)에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통공(51)을 관통한 돌출부(60)의 끝은 볼트(54)에 의해서 죄어지는데, 상기 볼트(54)의 두부는 그 넓이가 상기 통공(51)을 덮고 남을 정도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상기 돌출부(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은 상기와 같이 거치대 상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돌출부(60) 둘레에 스프링(62)을 설치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스프링(62)을 돌출부(60)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씌워주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상기 돌출부(60)에 끼워맞춤되면서 상기 스프링(62)을 압착하게된다. 이때 상기 볼트(54)로 고정시키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정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을 유동가능하게 탄성 지지시키는 목적은, 상기 워킹코일(18,18')과 그 상부에 위치될 조리 용구 사이의 간격이 상기 렌지의 효율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영향을 미치는데, 상기 워킹코일(18,18') 상부, 즉,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에 경우에 따라 상이한 중량을 갖는 조리 용기가 올려지는 경우, 해당 압력에 따라 상기 스프링(62)의 압축 정도가 달라짐으로써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상부 표면과 워킹코일(18,18') 사이의 간격이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 에는 상기 렌지프레임(10) 내부 공간에서의 공기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하, 도 2 및 도 4 를 참조로 상기 렌지프레임(10) 내부의 하부 공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지프레임(10) 하부 공간에는 가로막(38)이 형성된다. 상기 가로막(38)은 PCB 박스(24; 도 2 참조)를 상기 빌트인부(14)와 분리시키는 격벽으로서, 상기 빌트인부(14)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PCB박스(24)로 전달되어 PCB 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조리시에 발생되는 물방울이 상기 PCB 박스(2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로막(38)의 면적은 상기 빌트인부(14)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물방울등이 상기 PCB 박스(24)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상기 PCB 박스(24)를 커버할 정도면 충분하다. 상기 PCB 박스(24)는 자체적으로도 열을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은 상기 렌지프레임(10) 저면부의 유입공(26)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냉각팬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PCB 박스(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식 고정구(25)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공간에는 상기 렌지프레임(10) 내부를 전후방으로 분리하는 수직방향 공기차단막(4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차단막(40)은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지프레임(10) 내의 하부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뜨거운 공기의 재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 를 참조로 하면, 상기 유입공(26)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는 다시 연통구멍(36,36')을 통하여 빌트인부(14)로 유입되고 상기 냉각팬(20,20')에 의해 워킹코일(18,18')의 열을 식혀준다. 그리고 또한 뜨거운 열은 상기 공기흡입팬(22)에 의해 흡입되고 그 하부의 연통구멍(36'')을 통하여 다시 하부 공간으로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렌지프레임(10) 후방의 개방면 또는 소정의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기차단막(4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흡입팬(22)에 의해 렌지프레임(10) 내부의 하부 공간으로 들어간 공기가 재순환되어 다시 연통구멍(36,36')을 통하여 냉각팬(20,20')으로 공급되어 상기 냉각팬(20,20')에서 뜨거운 공기가 송풍되어 결국 상기 냉각팬(20,20')이 워킹코일(18,18')의 냉각이라는 본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상기 워킹코일(18,18')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회재의 위험성과 이로 인한 내부 부품 및 PCB 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기차단막(4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기흡입팬(22)으로부터 들어온 공기는 더이상 재순환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에는 공기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또한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지프레임(10)의 하부에는 공기필터함(29)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필터함(29)에는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저면부에 형성된 유입공(26)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 만큼의 그물망 형태의 공기필터(28)가 형성된 삽입판(30)이 수납된다. 상기 공기필터(28)를 구비하는 삽입판(30)은 상기 공기필터함(29) 내에서 책상 서랍과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필터(28)에 먼지등 이물질이 걸리는 경우 상기 삽입판(30)을 빼내어 손쉽게 공기필터를 청소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의 전체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부연결부(도시되지 않음)를 전원에 연결한다. 사용전원은 단상 220V, 50/60Hz 5.2 Kw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제어패널(70)의 누전차단기(76)의 전원을 올리고, 세라믹판(16) 위에 인덕션 전용 그릇을 올려놓고 그 안에 요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채운다. 빈그릇 사용시에는 제품 파손 및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빈그릇 사용은 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워스위치(73)를 누른후 요리하고자 하는 온도에 맞추어 조절손잡이(74)를 돌려가며 출력을 조절한다.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인덕션 렌지를 작동시키면, 워킹코일(18,18')에서 자기력선이 발생하고 이것이 조리 용기의 철성분과 반응하여 음식물이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낮은 렌지에 따르면, 조리 용기와 갑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빌트인부와 PCB 박스가 따로 구성되어 빌트인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PCB 의 파손이 방지되고, 공기필터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내의 먼지등을 차단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PCB 등 내부부품의 오염 및 파손이 방지되며, 공기차단막을 통해 빌트인부와 PCB 박스를 통한 더운공기의 재순환이 방지되어 열에 의한 PCB 및 기타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중공형 렌지프레임(10)과, 상기 렌지프레임(10)의 후방단부에서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판(12)과, 상기 중공형 렌지프레임(10) 내의 상부 공간에 매설되며 조리용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2개의 인접한 워킹코일(18,18')이 내장되는 빌트인부(14)와, 상기 빌트인부(14) 상부에 장착되는 내열성 세라믹판(16)과, 상기 각 워킹코일(18,18')의 전방에 설치되는 냉각팬(20,20')과, 상기 워킹코일(18,18') 후방에 설치되는 공기흡입팬(22)과, 상기 렌지프레임(10) 내의 하부 공간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워킹코일(18,18')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PCB 박스(24)와, 상기 렌지프레임(10) 내의 하부 공간 타측 저면부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26)과, 상기 유입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필터(28)와,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전면부의 제어패널(10)에 형성되며 상기 낮은 렌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조작부(72)와,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팬(20,20') 및 공기흡입팬(22)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형 랜지프레임(10)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멍(36,36',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 박스(24)와 빌트인부(14)는 가로막(38)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빌트인부(14) 하방에는 상기 렌지프레임(10) 내의 하부 공간을 전후방으로 분리시켜 더운 공기의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횡방향 공기차단막(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낮은 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워킹코일(18,18')은, 대체로 원형인 워킹코일장착판(50,50') 상에서 중심볼록부(52) 둘레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권취되어 설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은 빌트인부(14)의 저면에 설치되는 거치대(56,58,58')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대는 1개의 중앙거치대(56)와 2개의 측면거치대(58,58')로 구성되고, 상기 각 거치대 상에는 막대형 돌출부(6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0)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스프링(62)이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60) 끝은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의 측면부에 형성된 통공(51)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상기 통공(51)을 관통한 돌출부(60)의 끝은 볼트(54)로 고정되어, 상기 워킹코일장착판(50,50')이 상기 거치대 상에서 유동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낮은 렌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지프레임(10)의 하부에는 공기필터함(29)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필터함(29)에는 상기 렌지프레임(10)의 저면부에 형성된 유입공(26)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그물망 형태의 공기필터(28)가 형성된 삽입판(3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탈착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낮은 렌지.
KR20-2004-0017892U 2004-06-24 2004-06-24 인덕션 낮은 렌지 Expired - Lifetime KR200361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92U KR200361381Y1 (ko) 2004-06-24 2004-06-24 인덕션 낮은 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92U KR200361381Y1 (ko) 2004-06-24 2004-06-24 인덕션 낮은 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81Y1 true KR200361381Y1 (ko) 2004-09-13

Family

ID=4943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892U Expired - Lifetime KR200361381Y1 (ko) 2004-06-24 2004-06-24 인덕션 낮은 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8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88B1 (ko) * 2014-05-28 2016-04-20 정원식 인덕션 낮은 렌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4778A (ko) * 2017-08-03 2019-02-13 민후 오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101958814B1 (ko) * 2018-06-04 2019-03-15 정년가 유도코일 냉각 기능을 갖는 친환경 인덕션가열장치
KR20190105963A (ko) * 2018-03-07 2019-09-18 정년가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KR20230046479A (ko) * 2021-09-30 2023-04-06 박은용 인덕션 레인지
KR102647223B1 (ko) * 2023-12-05 2024-03-14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88B1 (ko) * 2014-05-28 2016-04-20 정원식 인덕션 낮은 렌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4778A (ko) * 2017-08-03 2019-02-13 민후 오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101988117B1 (ko) * 2017-08-03 2019-06-11 민후 오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20190105963A (ko) * 2018-03-07 2019-09-18 정년가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KR102047289B1 (ko) * 2018-03-07 2019-11-21 정년가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KR101958814B1 (ko) * 2018-06-04 2019-03-15 정년가 유도코일 냉각 기능을 갖는 친환경 인덕션가열장치
KR20230046479A (ko) * 2021-09-30 2023-04-06 박은용 인덕션 레인지
KR102613444B1 (ko) * 2021-09-30 2023-12-12 박은용 인덕션 레인지
KR102647223B1 (ko) * 2023-12-05 2024-03-14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2929B (zh) 嵌入式炉灶
KR101184999B1 (ko)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101988117B1 (ko)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200361381Y1 (ko) 인덕션 낮은 렌지
JP2009059564A (ja) 加熱調理器
JP2008059982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0399026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201922033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497907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20220153891A (ko) 후드 겸용 조리기기
KR20010044942A (ko) 유도 가열 장치
JP2002280155A (ja) 加熱調理器
JP3797472B2 (ja) ビルトインコンロ
CN219494182U (zh) 一种电焰灶炉头
CN222278669U (zh) 一种多用途集成灶
KR100527888B1 (ko) 전기밥솥의 냉각팬 구조
KR102274907B1 (ko) 조리기 일체형 테이블
CN220186885U (zh) 一种带散热功能的集成灶
KR102604562B1 (ko)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JP2005302463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3030518U (zh) 一种烹饪设备
CN217928889U (zh) 一种嵌入式灶具
JP3545310B2 (ja) グリル
KR101061985B1 (ko) 가열장치를 부가한 전기난로
CN211059932U (zh) 一种具有led照明结构的烹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