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1010Y1 -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010Y1
KR200361010Y1 KR20-2004-0017191U KR20040017191U KR200361010Y1 KR 200361010 Y1 KR200361010 Y1 KR 200361010Y1 KR 20040017191 U KR20040017191 U KR 20040017191U KR 200361010 Y1 KR200361010 Y1 KR 200361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box
earthworm
waste
sepa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덕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 에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 에코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이오 에코테크
Priority to KR20-2004-0017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0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30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 A01K67/33Earth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사육장치는 박스(BOX) 형상으로 내부에 지렁이를 사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사육상자;와 적층된 상기 사육상자를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재수단;과 상기 이재수단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사육상자에서 지렁이의 분변토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에서 분변토가 분리된 상기 사육상자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사육상자의 상부에 지렁이의 먹이가 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급이수단; 및 상기 급이수단에서 폐기물이 보충된 상기 사육상자를 일정위치에 복수로 적층하는 적재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이 대량으로 배출되는 대도시 근교에서 적은 토지로 대량의 지렁이를 집약적으로 사육할 수 있고, 또한 지렁이를 사육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지렁이 먹이공급, 분변토 제거, 사육상자의 적재 등의 작업을 하는 관리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Layered devices for earthworms}
본 고안은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육상자를 적층하여서 좁은 공간에서 대량의 지렁이를 계절에 관계 없이 사육할 수 있고, 적은 관리인력으로 대량의 지렁이를 사육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매립하는 경우에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흘러 나오거나 지하수로 유입되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소각하는 경우에도 소각시설을 구비하고 이산화탄소나 다이옥신과 같은 배출 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서 지렁이를 이용하여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지렁이(earthworm/Oligochaeta)는 자연생태계의 모든 쓰레기를 청소하고는 자신의 몸은 다른 동물의 먹이로 내주는 동물이라는 표현이 있듯이, 자기체중의 80~120% 무게의 먹이를 먹고 분변토를 배설한다. 즉, 지렁이를 사육할 때, 음식물 쓰레기(폐기물)를 지렁이 먹이로 공급하므로서 폐기물을 환경오염 없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게되며, 또한 사육된 지렁이는 약용, 낚시밥, 동물사료 및 공산품 재료로 활용할 수 있고, 지렁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분변토는 농업용 비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량으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지렁이를 사육하는 데에는 매우 넓은 토지와 인력 및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농가에서 지렁이를 사육하는 방법은 투입되는 토지와 인력에 비하여 폐기물 처리능력과 사육되는 지렁이 및 분변토의 양이 저조하여 경제성이 확보되지 못한 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이 대량으로 배출되는 대도시 근교에서 적은 토지로 대량의 지렁이를 집약적으로 사육할 수 있고, 또한 지렁이를 사육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지렁이 먹이공급, 분변토 제거, 사육상자의 적재 등의 작업을 하는 관리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지렁이 사육장치에 사용되는 사육상자의 사시도.
도4a와 도4b는 적재수단과 이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분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6은 급이수단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지렁이 사육장치, 20:이재수단,
27:가이드레일, 30:분리수단,
31:분리구, 41:이송 컨베이어,
51:먹이공급상자, 55:볼스크류,
90:사육상자, 120:대차,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는, 박스(BOX) 형상으로 내부에 지렁이를 사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사육상자;와 적층된 상기 사육상자를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재수단;과 상기 이재수단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사육상자에서 지렁이의 분변토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에서 분변토가 분리된 상기 사육상자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사육상자의 상부에 지렁이의 먹이가 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급이수단; 및 상기 급이수단에서 폐기물이 보충된 상기 사육상자를 일정위치에 복수로 적층하는 적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사육상자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이고 측면 하부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부의 분변토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 형상의 배출구가 한 쌍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측면이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받침판이 형성되고, 측면 상단부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되도록 형성된 파지구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재수단은 적재된 상기 사육상자를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파지하는 그리프부재;와 상기 그리프부재를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재; 및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따라 상기 그리프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이송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수단은 선단에 상기 사육상자의 배출구를 관통하는 분리프레임과, 상기 분리프레임을 다수의 중간프레임에 의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분리구;와 상기 분리구를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프레임은 단면이 "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이수단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의 먹이공급상자;와 상기 먹이공급상자의 하부 개방된 면에 장착되어서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먹이공급상자와 상기 컨베이어를 동시에 이송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는 내부에 지렁이를 사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사육상자(90)가 구비되고, 적층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재수단(20)과 상기 이재수단(20)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사육상자(90)에서 지렁이의 분변토를 분리하는 분리수단(30)과, 상기 분리수단(30)에서 분변토가 분리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40)과,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사육상자(90)의 상부에 지렁이의 먹이가 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급이수단(50) 및 상기 급이수단(50)에 의하여 폐기물이 보충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일정위치에 복수로 적층하는 적재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렁이가 사육되는 사육상자(9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고, 측면에는 후술하는 그라프부재(21)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구(94)가 형성되고, 또한 지렁이를 사육하면서 하층에 생성되는 분변토를 배출할 수 있는 길다란 공간인 배출구(91)가 형성된다. 지표의 표층에 서식하는 지렁이의 습성에 따라 상기 사육상자(90)의 지렁이는 대부분 중간층에 존재하게 되고, 하층에는 분변토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육상자(90)의 하층부에 위치하는 분변토는 후술하는 분리구(31)의 분리프레임(32a)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구(91)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배출구(91)는 개방된 부분이므로 이동 중이거나 적재된 상태에서 분변토가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91)를 따라받침판(93)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93)은 별도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사육상자(9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이 연장되면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육상자(90)는 대차(120)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대차(120)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대차(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사육상자(90)는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분변토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폐기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분변토를 배출하고 새로운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적층된 상기 사육상자(90)는 분변토를 배출하는 분리수단(30)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사육상자(90)는 하부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적층된 각각의 상기 사육상자(90)는 상기 이재수단(20)에 의하여 분리수단(30)에 위치한 장소로 이동한다. 상기 이재수단(20)은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육상자(90)를 파지하고, 파지된 사육상자(90)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이재수단(20)은 적재된 상기 사육상자(90)를 공압실린더(95a)의 작동에 의하여 파지하는 그리프부재(21)와 상기 그리프부재(21)를 공압실린더(95b)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재(23) 및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27)에 따라 상기 그리프부재(21)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이송부재(2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송부재(25)는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가이드레일(27)을 따라 움직이는 수 개의 휠이 좌우홀더에 비치되어 잇고, 체인이 구동되면 구동방향으로 휠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부재(25)에는 수평이송부재(23)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이송부재(23)는 공압실린더(95b)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부재(23)의 선단에는 좌우에 상기 사육상자(90)를 파지하기 위한 그라프부재(21)가 장착된다. 상기 그라프부재(21)는 상자를 파지하는 그라프와 상기 그라프를 작동시키는 공압실린더(95a)로 구성된다.(4b 참조)
또한, 상기 분리수단(30)은 상기 사육상자(90)에서 분변토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육상자(90)의 배출구(91)를 관통할 수 있는 분리프레임(32a)이 선단에 구비된 분리구(31)와 상기 분리구(31)를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35)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구(31)에는 분변토를 밀거나 당기면서 배출할 수 있는 분리프레임(32a)과 상기 분리프레임(32a)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c) 및 상기 분리프레임(32a)과 상기 지지프레임(32c)을 연결하는 다수의 중간프레임(32b)으로 구성된다.(도5 참조) 그리고 상기 분리프레임(32a)은 단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배출되는 분변토에 의하여 상부에 위치한 지렁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즉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배출구(91) 중에서 한쪽 배출구(91)에 상기 분리프레임(32a)이 삽입되어 직진을 하면서 다른 쪽의 배출구(91)에서 분변토가 일부 배출되고, 후진 중에는 처음에 삽입되었던 배출구(91)에서 분변토가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변토가 분리된 상기 사육상자(90)에는 지렁이의 먹이가 될 수 있는 폐기물을 상부에서 보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폐기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급이수단(50)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송컨베이어(41)로 이루어진 이송수단(40)에의하여 상기 사육상자(9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급이수단(50)은 호퍼(미도시)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을 일시 저장하는 먹이공급상자(51)와 상기 먹이공급상자(51)에 위치하는 컨베이어(23) 및 이들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5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먹이공급상자(51)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박스로서 상부에서는 호퍼에 저장되었던 폐기물이 공급되고, 하부의 개방된 공간은 상기 컨베이어(53)가 접촉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5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먹이공급상자(51)에 수납되었던 폐기물은 상기 컨베이어(53)의 선단에서 낙하하게 된다. 낙하되는 폐기물은 상기 사육상자(90)의 상부에 균일하게 떨어져야 되므로 상기 먹이공급상자(51)와 컨베이어(53)는 상기 볼스크류(55)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도6 참조)
상기 급이수단(50)에 의하여 폐기물이 공급된 상기 사육상자(90)는 상기 적재수단(60)에 의하여 대차(120)의 상부에 차례로 적재되게 되는데, 상기 적재수단(60)은 상기 이재수단(20)과 동일한 구성으로 작동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이재수단(20), 분리수단(30), 이송수단(40), 급이수단(50) 및 적재수단(60)은 각각 독립되어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의 조작판넬(미도시)에 의하여 서로 연동되게 작동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이재수단(20)이나 적재수단(60)의 수평이동거리, 수직이동거리 등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연산되게 되며, 상기 실린더(35,95a,95b)의 행정길이도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자동화 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장치를 차용하여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이 대량으로 배출되는 대도시 근교에서 적은 토지로 대량의 지렁이를 집약적으로 사육할 수 있고, 또한 지렁이를 사육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지렁이 먹이공급, 분변토 제거, 사육상자의 적재 등의 작업을 하는 관리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지렁이를 사육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스(BOX) 형상으로 내부에 지렁이를 사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사육상자(90);와 적층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재수단(20);
    상기 이재수단(20)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사육상자(90)에서 지렁이의 분변토를 분리하는 분리수단(30);과 상기 분리수단(30)에서 분변토가 분리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이송하는 이송수단(40);과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사육상자(90)의 상부에 지렁이의 먹이가 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급이수단(50); 및 상기 급이수단(50)에서 폐기물이 보충된 상기 사육상자(90)를 일정위치에 복수로 적층하는 적재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상자(9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이고 측면 하부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부의 분변토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 형상의 배출구(91)가 한 쌍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91)가 형성되는 하측면이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받침판(93)이 형성되고, 측면 상단부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되도록 형성된 파지구(94)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수단(20)은 적재된 상기 사육상자(90)를 공압실린더(95a)의 작동에 의하여 파지하는 그리프부재(21);와 상기 그리프부재(21)를 공압실린더(95b)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재(23); 및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27)에 따라 상기 그리프부재(21)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이송부재(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30)은 선단에 상기 사육상자(90)의 배출구(91)를 관통하는 분리프레임(32a)과, 상기 분리프레임(32a)을 다수의 중간프레임(32b)에 의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c)으로 구성된 분리구(31);와 상기 분리구(31)를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프레임(32a)은 단면이 "ㅅ"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수단(5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의 먹이공급상자(51);와 상기 먹이공급상자(51)의 하부 개방된 면에 장착되어서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53); 및 상기 먹이공급상자(51)와 상기 컨베이어(53)를 동시에 이송시키는 볼스크류(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KR20-2004-0017191U 2004-06-18 2004-06-18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61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91U KR200361010Y1 (ko) 2004-06-18 2004-06-18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91U KR200361010Y1 (ko) 2004-06-18 2004-06-18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010Y1 true KR200361010Y1 (ko) 2004-09-06

Family

ID=4943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19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1010Y1 (ko) 2004-06-18 2004-06-18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01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15B1 (ko) * 2018-01-30 2018-08-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귀뚜라미 사육설비
CN108719206A (zh) * 2018-05-09 2018-11-02 河北绿龙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蚯蚓自动化养殖生产线
KR20180127855A (ko) * 2017-05-22 2018-11-30 문영실 이동식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형 사육 장치 및 그의 원격제어 방법
KR101946833B1 (ko) *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KR101946839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
KR101946828B1 (ko) *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KR20190031861A (ko) * 2017-09-18 2019-03-27 (주)헬퍼로보텍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
KR20210138904A (ko) * 2020-05-13 2021-11-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티푸드솔루션 누에고치의 사육 자동화 장치
KR20240169328A (ko) * 2023-05-24 2024-12-03 김재근 곤충의 사육상자에서 산란망을 포함하는 산란 상자의 자동 분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64B1 (ko) * 2017-05-22 2019-06-07 문영실 이동식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형 사육 장치 및 그의 원격제어 방법
KR20180127855A (ko) * 2017-05-22 2018-11-30 문영실 이동식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형 사육 장치 및 그의 원격제어 방법
KR102028116B1 (ko) 2017-09-18 2019-10-02 (주)헬퍼로보텍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
KR20190031861A (ko) * 2017-09-18 2019-03-27 (주)헬퍼로보텍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
KR101946828B1 (ko) *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KR101891815B1 (ko) * 2018-01-30 2018-08-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귀뚜라미 사육설비
CN108719206A (zh) * 2018-05-09 2018-11-02 河北绿龙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蚯蚓自动化养殖生产线
KR101946833B1 (ko) *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KR101946839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
KR20210138904A (ko) * 2020-05-13 2021-11-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티푸드솔루션 누에고치의 사육 자동화 장치
KR102430064B1 (ko) 2020-05-13 2022-09-16 (주)케이앤제이 비전코리아 누에고치의 사육 자동화 장치
KR20240169328A (ko) * 2023-05-24 2024-12-03 김재근 곤충의 사육상자에서 산란망을 포함하는 산란 상자의 자동 분리장치
KR102809259B1 (ko) 2023-05-24 2025-05-22 김재근 곤충의 사육상자에서 산란망을 포함하는 산란 상자의 자동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1869B1 (en) Livestock handl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315714B1 (de) Vorrichtung zum vollautomatisierten kommissionieren von artikeln in auftragsladehilfsmittel
EP212558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setzung von stückgut
KR200361010Y1 (ko)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EP1270462B1 (de) Über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Folienbeutel
EP2327644B1 (de) Kommission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Kommissionieren
US20130340329A1 (en) Harvesting Device, Grow Space, Grow System and Method
US119859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eeding insects
CN108587871B (zh) 一种自动化发酵系统
KR20230112836A (ko) 동애등에 자동화 사육을 통한 폐기유기물 자원화 시스템
CN108347905B (zh) 用于保持育肥家禽笼的支架以及育肥家禽笼
US6939218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moving dead poultry from a poultry house
KR20010034743A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233594Y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CN217936955U (zh) 黑水虻自动养殖系统
JP2001037329A (ja) 容器の搬送装置
US7097025B2 (en) System for removing dead animals
DE102018213678B4 (de)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Waren
KR101699481B1 (ko)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US20250127150A1 (en) Unmanned insect breed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0139224A (ja) 育苗箱積替装置
GB2320407A (en) Livestock handling system
CN110844417A (zh) 垃圾桶摆放装置
JP3864623B2 (ja) 播種プラント
CN115246557B (zh) 周转箱流转系统及医疗废物处理车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