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7844Y1 -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 Google Patents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844Y1
KR200357844Y1 KR20-2004-0014103U KR20040014103U KR200357844Y1 KR 200357844 Y1 KR200357844 Y1 KR 200357844Y1 KR 20040014103 U KR20040014103 U KR 20040014103U KR 200357844 Y1 KR200357844 Y1 KR 200357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valve
valves
plunger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쎈스텍
박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쎈스텍, 박현준 filed Critical (주)쎈스텍
Priority to KR20-2004-0014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각 방에 배관된 온수 파이프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 측 라인에 부착하여 온도 컨트롤러에 의한 각 방의 희망온도를 원격조절로 조정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의한 조절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하는 대형 열원시설 (열 병합 중앙공급소, 대형 보일러 공급시스템)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에 공급되는 중앙집중방식 난방장소나 단독 가정이라도 방마다 별도 관리를 하는 가정에도 필요한 자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온수분배용 밸브는 볼 밸브, 또는 글러브 밸브로 온수공급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조절하려면 직접 밸브를 돌려 조절해 왔으며 특히 욕실과 주방에도 수시 수동으로 조절해 온 것을 전동구동방식과 솔레노이드 방식 등으로 하는 등의 개발이 활발히 하고 있어도 아직 완전한 원격조절 장치는 불완전하여 편의상 기존의 수동 작동을 제1세대로 칭하고 기름보일러에서 전기 모터와 솔레노이드 방식을 제2세대로 한다면 이제 본 고안은 완벽한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각 방마다 원격 조절되는 제3세대로 불려지게 될 것이다.
특히 소음 면에서 볼 때 모터방식과 솔레노이드 방식에서는 진동과 소음이 크며 전력소비도 많으며 4kg/㎠의 저압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우수한 제품으로 개발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Heat control device running value}
본 고안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각 방에 배관된 온수 파이프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 측 라인에 부착하여 온도 컨트롤러에 의한 각 방의 희망온도를 원격조절로 조정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의한 조절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하는 대형 열원시설 (열 병합 중앙공급소, 대형 보일러 공급시스템)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에 공급되는 중앙집중방식 난방장소나 단독가정이라도 방마다 별도 관리를 하는 가정에도 본 고안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온수분배용 밸브는 볼 밸브, 또는 글러브 밸브로 온수공급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조절하려면 직접 밸브를 돌려 조절해 왔으며 특히 욕실과 주방에도 수시 수동으로 조절해 온 것을 전동구동방식과 솔레노이드 방식 등으로 하는 등의 개발이 활발히 하고 있어도 아직 완전한 원격조절 장치는 불완전하다.
편의상 기존의 수동 작동을 제1세대로 칭하고 기름보일러에서 전기 모터와솔레노이드 방식을 제2세대로 한다면 이제 본 고안은 완벽한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각 방마다 원격 조절되는 제3세대로 불려지게 될 것이다.
특히 소음 면에서 볼 때 모터방식과 솔레노이드 방식에서는 진동과 소음이 크며 전력소비도 많으며 4kg/㎠의 저압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우수한 제품으로 개발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술적인 과제와 경제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는데 기술적인 면에서는 장치의 크기에서 최소화 한 점이고 마모 면에서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경제적인 면에서 구동력 발생과 전달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선택하여 사출시켜 성형하였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시켰다.
또한 원격조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컨트롤러에 의한 모터작동으로 캠 장치를 장착하고 이에 의한 플런저의 작동은 오류가 없게 고안하므로 온수의 차단과 통과를 정확하게 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의 옆면도
도 1-1은 구동장치와 밸브가 조립된 상태의 옆면도
도 1-2는 구동장치와 밸브가 분리된 상태의 옆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가 조립된 한쪽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온도조절 구동장치 내부를 보여주는 상부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조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3개가 연결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리된 밸브의 플런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씌운 단면도
도 5-1은 밸브의 플런저 보호용 커버를 씌운 체 보여주는 단면도
도 5-2는 밸브와 플런저 보호용 커버를 분리시킨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밸브 몸체. B : 구동장치 몸체,
1 : 밸브용 배관 입구, 2 : 밸브용 배관 출구,
3, 3a : 밸브 내부 차단벽, 4 : 캠 장치 (구동장치),
5 : 볼 (캠 작동 전달용), 6 : 플런저 (Plunger-공이 쇠),
7 : 압축 스프링, 8 : 밸브 시트,
9 : 모터, 10 : 감속 기어박스,
11 : 볼 가이드, 12 : O링,
13 : 플런저 하우징, 14 : 스위치,
15 : 스위치보호 플레이트, 16 : 나사부위,
17 : 분배용 관 (주 배관), 18 : 난방용 배관 (소 배관),
19 : 구동장치 밸브연결 고정 캡, 20 : 플런저 보호 뚜껑,
21 : 멈춤 링, 22 : 전원 연결용 배선,
중앙집중방식이나 단독 난방방식에서 각방의 온도를 달리하기 위한 작동으로 주 배관(17)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난방용 배관(18)으로 분배할 때 밸브 몸체(A)를 통하여 연결하고 밸브 몸체(A) 위에 구동장치(B)를 연결하여 별도의 컨트롤러를 연결시켜 조절되는 온도에 따라 모터(9)를 가동시키면 감속기어(10)에 의해 캠(4)이 작동하여 조절되는 깊이로 플런저(6)가 눌려 밸브 시트(8)가 닫히고 열려 온수 통과가 조절되어 난방을 원격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하여 밸브 몸체(A) 양측에 나사부위(16)로 주 배관(17)에 연결하고 다른 쪽 나사부위(16)에는 난방용 배관(18)에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 밸브용 배관 입구(1)는 주 배관(17) 쪽이고 밸브용 배관 출구(2) 쪽은 난방용 배관(18), 즉 소 배관과 연결되는 것이다.
밸브 몸체(A)와 구동장치 몸체(B)와의 연결은 플런저 하우징(13)에 수나사로 하고 구동장치 몸체(B)의 하부에는 멈춤 링(21)을 두어 구동장치와 밸브가 서로 고정되도록 고정 캡(19)을 두어 조립되도록 하였다.
온수의 흐름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작동은 컨트롤러에서 전달되는 바에 의하여 모터(9)가 작동되면서 캠(4)이 상승할 때 압축 스프링(7)의 반력(反力)에 의하여 플런저(6)가 상승되어 밸브 내부 차단벽(3, 3a)으로 온수가 통과된다.
이 때에 공급되는 온수가 스며나가지 않도록 플런저 하우징(13)과 플런저(6) 사이에 운동용 O링(12)이 부착되어 일정 압력으로 통과되는 온수 중 일부가 상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 차단방식은 모터(9) 회전을 감속기어 박스(10)로 감속되면서 고토오크 출력으로 되어 캠(4)을 회전시키므로 편심이 된 캠(4)의 회전은 볼(5)을 누르게 되고 볼(5)은 플런저(6)가 들어가는 구동장치 몸체(B) 하단에 볼 가이드(11)에 따라 직하방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플런저(6)를 동시에 누르므로 플런저(6) 밑에 부착된 밸브시트(8)가 내려앉아 차단벽(3, 3a)을 막아 온수 흐름이 차단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는 별도로 컨트롤러(별도 고안)에 연결해야 하고 실내온도 검출기(별도 고안)와 공급과 차단을 위한 드라이버(별도 고안) 및 비교온도 인식시스템으로 마이컴(별도 고안)등에 의해 조작되어 진다.
설정온도보다 실내온도가 낮으면 공급되는 방법은 마이컴(별도 고안)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드라이버(별도 고안)가 받아 수행하는데 이 때에 밸브 시트(8)의 작동이 스위치보호 플레이트(15)의 밀착에 의해 스위치(14)가 작동하여 모터가 정지되고 밸브 시트(8)가 열리게 되며 설정온도보다 현재 온도가 높으면 온수가 차단되도록 컨트롤러의 마이컴(별도 고안)에 의해 제어신호를 드라이버(별도 고안)에서 받아드려 수행하게 하였는데 이때에는 밸브 시트(8)가 내려져 닫히게 되도록 볼(5)과 플런저(6)를 거쳐 밸브 시트(8)가 차단벽(3)을 눌러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마이컴(별도 고안)이 감지하므로 모터가 정지되면서 밸브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온도조절 구동장치와 밸브는 그 구조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설치도 아주 쉬워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적고 밸브동작이 자동으로 되어 플런저 상승, 즉 열림이 스프링 힘으로 되고 닫히는 동작은 감속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캠의 구동장치 사이에 볼이 장치되어 플런저의 마모와 마찰 소음이 최소화하였고 밸브 몸체와 밸브 시트가 수직으로 동작되어 밸브 개폐되어 이물질과 스케일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배관과 밸브 몸체 좌우에 테이퍼 수나사로 되어 있어서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설비도 간편하며 비용도 절감되어 보급에 어려움이 적어 파급효과가 크다.

Claims (3)

  1. 중앙집중방식이나 단독 난방방식에서 각방의 온도를 달리하기 위한 작동으로 주 배관(17)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난방용 배관(18)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밸브의 몸체(A) 위에 구동장치(B)를 연결하여 별도의 컨트롤러를 연결시켜 조절되는 온도에 따라 모터(9)가 가동되면 감속기어(10)에 의해 캠(4)이 작동하여 플런저(6)가 눌러 밸브 시트(8)가 닫히고 열려 온수 통과가 조절되어 난방을 원격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인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2.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하여 밸브 몸체(A) 양측에 나사부위(16)로 주 배관(17)에 연결하고 다른 쪽 나사부위(16)에는 난방용 배관(18)에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 밸브용 배관 입구(1)는 주 배관(17) 쪽이고 밸브용 배관 출구(2) 쪽은 난방용 배관(18)에 연결되고 밸브 몸채(A)와 구동장치 몸체(B)와의 연결은 플런저 하우징(13)에 수나사로 하고 구동장치 몸체(B)의 하부에는 멈춤 링(21)을 두어 구동장치와 밸브는 고정 캡(19)을 두어 조립되는 것이 특징인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3. 온수의 흐름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작동은 컨트롤러에서 전달되는 바에 의하여 모터(9)가 작동되면서 캠(4)이 상승할 때 압축 스프링(7)의 반력(反力)에 의하여 플런저(6)가 상승되어 밸브 내부 차단벽(3, 3a)으로 온수가 통과될 때에 공급되는 온수가 스며나가지 않도록 플런저 하우징(13)과 플런저(6) 사이에 운동용 O링(12)이 부착되어 일정 압력으로 통과되는 온수 중 일부가 상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KR20-2004-0014103U 2004-05-18 2004-05-18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KR200357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03U KR200357844Y1 (ko) 2004-05-18 2004-05-18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03U KR200357844Y1 (ko) 2004-05-18 2004-05-18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844Y1 true KR200357844Y1 (ko) 2004-07-31

Family

ID=4934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103U KR200357844Y1 (ko) 2004-05-18 2004-05-18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8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701B1 (ko) 2008-01-31 2010-04-19 주식회사 티에프씨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701B1 (ko) 2008-01-31 2010-04-19 주식회사 티에프씨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05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trofitting water control valves
US91399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release of hot water from a fixture
US7073528B2 (en) Water pump and thermostatically controlled bypass valve
CA2556382C (en) Bath drain closure assembly
US5323803A (en) Instant hot water device
KR100929211B1 (ko)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US20090007975A1 (en) Water control fixture having auxiliary functions
US3929153A (en) Gravity hot water circulating system and flow regulator therefor
KR200357844Y1 (ko) 온도조절 구동장치작동 밸브
KR101218079B1 (ko)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WO2007096771A2 (en) Sanitary valve, water-supply device using said valve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water within a building that uses said device
KR100914678B1 (ko) 밸브 구동 장치
KR101478261B1 (ko) 정유량 복합밸브
CA2607818C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fluid temperature
WO2020056482A1 (en) Automated dual valve manifold
KR100583828B1 (ko)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유량 조절밸브
EP0444879A1 (en) Improved control valve
KR20110092729A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JP2017057905A (ja) 配管接続構造及び電気温水器
CN113682134B (zh) 一种车载加热控制系统的工作方法
KR100675730B1 (ko) 온수분배기용 자동 온도조절밸브 조립체
US9016313B2 (en) Regulation system
EP3693671B1 (en) Filling system with thermal actuating device
KR200407000Y1 (ko) 온수분배기용 자동 온도조절밸브 조립체
KR200180759Y1 (ko) 실내온도 조절용 난방밸브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