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6264Y1 -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 Google Patents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64Y1
KR200356264Y1 KR20-2004-0012330U KR20040012330U KR200356264Y1 KR 200356264 Y1 KR200356264 Y1 KR 200356264Y1 KR 20040012330 U KR20040012330 U KR 20040012330U KR 200356264 Y1 KR200356264 Y1 KR 200356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cooling
water pipe
h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비알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알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알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absorption or de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7Parallel syste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탑, 냉동기, 급탕조, 및 각종 펌프류 등과 같은 다수의 실외기 구성요소들을 단일의 유닛으로 모듈화함으로써, 공간절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수 유지관리 및 각종 제어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 냉난방설비에 있어서, 응축기, 저온재생기, 증발기, 흡수기, 열교환기, 및 고온재생기로 이루어진 흡수식 냉온수기와; 흡수식 냉온수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급탕조와; 급탕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냉각탑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식 냉온수기의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냉온수배관이 건물 내의 각 실에 구비된 실내유니트에 연통되고, 이 냉온수배관 일측에는 냉온수펌프가 설치되며, 이 냉온수배관의 유입 및 유출 측이 공통되는 위치에는 팽창탱크가 구비되고, 냉각탑으로부터 연장된 냉각수배관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기 및 흡수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이 냉각수배관 일측에는 냉각수펌프가 설치되고, 급탕조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의 일측에 구비된 연도 측에 전열배관을 통해 연통된 실외기 모듈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Outdoor module structure of an air-conditoning apparatus}
본 고안은 건물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내공간을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냉난방제어하는 중앙 냉난방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탑, 냉동기, 급탕조, 및 각종 펌프류 등의 실외기 구성요소들을 단일의 유닛으로 모듈화함으로써, 공간절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수 유지관리 및 각종 제어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중앙 냉난방설비는 대형 건물 내의 기계실 내에 냉동기, 보일러 , 공기조화기 및 각종 펌프류 등을 구비하고, 건물의 옥상에는 냉각탑 및 그에 부속되는 각종 부품들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기계실 내에서 건물 내의 각 실을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하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중앙 냉난방설비는 각 구성요소들이 기계실 및 옥상 등에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냉동기와 냉각탑을 연결하는 냉각수 배관의 길이가 길어 냉각효과가 저하되며, 관내의 스케일 발생으로 그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고, 그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공간절약성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중앙 냉난방설비의 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일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냉매배관으로 연결한 시스템형 에어컨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형 에어컨은 전통적인 중앙 냉난방설비에 요구되는 기계실이나 냉각탑, 공조기 등과 같은 부대적인 기계설비가 필요없어 공간절약 및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형 에어컨은 냉매배관 내의 프레온가스가 누설될 염려가 있으며, 그 누설시 누설부분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이로 인해 그 작동상의 오류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형 에어컨은 부대적인 기계설비 대신에 복잡한 제어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작동 상의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크고, 그 초기 설치비가 상당히 고가이며, 전통적인 중앙 냉난방설비가 설치된 기존의 건물 등에 적용될 경우 건물 내의 모든 실내기 유니트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그 호환성이 극히 저조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설비를 단일의 유니트로 모듈화함으로써, 공간절약성을 향상시키고, 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주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잡한 제어구조 대신에 전통적인 기계적인 설비에 의해 냉난방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작동상의 오류 발생의 위험성이 적으며, 또한 초기 설치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고, 기존의 건물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실내기 유니트에 호환가능한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별도의 급탕용 보일러가 필요없으므로 실외기 구조를 컴팩트화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한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외기 모듈구조의 냉방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외기 모듈구조의 난방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수식 냉온수기 20 : 냉각탑
30 : 급탕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 냉난방설비에 있어서, 응축기, 저온재생기, 증발기, 흡수기, 열교환기, 및 고온재생기로 이루어진 흡수식냉온수기와; 흡수식 냉온수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급탕조와; 급탕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냉각탑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식 냉온수기의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냉온수배관이 건물 내의 각 실에 구비된 실내유니트에 연통되고, 이 냉온수배관 일측에는 냉온수펌프가 설치되며, 이 냉온수배관의 유입 및 유출 측이 공통되는 위치에는 팽창탱크가 구비되고, 냉각탑으로부터 연장된 냉각수배관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기 및 흡수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이 냉각수배관 일측에는 냉각수펌프가 설치되고, 급탕조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의 일측에 구비된 연도 측에 전열배관을 통해 연통된 실외기 모듈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급탕조 및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 사이에는 보조 전열배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온수배관의 냉온수펌프의 상류측에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이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냉온수배관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감지되면 냉온수펌프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실외기 모듈구조는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외기 모듈구조는 흡수식 냉온수기(10)와, 흡수식 냉온수기(10)의 응측기(14) 및 흡수기(12)에 냉각수배관(21)을 통해 연결된 냉각탑(20)과, 흡수식 냉온수기(10)의 고온재생기(16)의 연도(16b)측에 전열배관(31)을 통해 연결된 급탕조(30)로 이루어진다.
흡수식 냉온수기(10)는 증발기(11), 흡수기(12), 저온 및 고온 열교환기(13a, 13b), 응축기(14), 저온 재생기(15), 고온재생기(16)로 구성된다.
증발기(11)는 내부에 냉온수배관(11a) 및 냉각수배관(21)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내부 상부측에는 냉매가 분무되는 분무기(11b)가 구비되며, 일측에 용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11c)가 구비된다.
냉온수배관(11a)은 건물 내의 각 실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실내유니트에 연결되고, 이 냉온수배관(11a)의 일측에는 냉온수펌프(11d)가 설치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실내(또는 실외)로부터 증발기(11)측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냉온수배관(11a)의 냉온수펌프(11b)의 상류측에는 온도감지센서(11e)를 더 구비하고, 이 온도감지센서(11e)에 의해 냉온수배관(11a)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대략 5℃) 이하로 감지되면 냉온수펌프(11d)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주로 동절기에 냉온수배관(11a)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대략 5℃)이하인 상태에서, 냉온수배관(11a) 내의 온수(또는 냉수)가 순환하지 않을 경우 냉온수배관(11a)이 동파되기 때문에, 냉온수배관(11a)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냉온수펌프(11d)를 작동시킴으로써 냉온수배관(11a)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구조이다.
또한, 이 냉온수배관(11a)의 유입 및 유출 측이 공통되는 소정위치에는 팽창탱크(40)가 구비되고, 이 팽창탱크(40)는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하는 냉온수배관(11a)상에 발생되는 잔류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흡수기(12)는 증발기(11)의 엘리미네이터(11c)를 통해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리튬브로마이드(LiBr) 수용액과 같은 흡수제가 저장되는 흡수제 저장조(12a)가 구비되며, 후술하는 저온 및 고온재생기(15, 16)로부터 이송되는 중간농도의 흡수제가 분무되는 분무기(12b)가 구비되고, 흡수제 저장조(12a)에 연결된 배관에는 후술하는 응축기(14) 및 고온재생기(16) 측으로 묽은 농도의 흡수제를 펌핑하는 용액펌프(12c)가 구비된다.
저온 열교환기(13a)는 후술하는 저온 재생기(15)로부터 이송되는 중간농도의 흡수제와 흡수기(12)의 중간농도 흡수제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고온 열교환기(13b)는 후술하는 고온 재생기(15)로부터 이송되는 진한농도의 흡수제와 흡수기(12)의 중간농도 흡수제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응축기(14)는 후술하는 고온재생기(16)에 냉매증기배관(16c)을 통해 연통되고, 증발기(11)에 응축수배관(14a)을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 냉각탑(20)의 냉각수 배관(21)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엘리미네이터(14b)를 통해 후술하는 저온재생기(15)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응축수배관(14a)의 일측에는 증발기(11)측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펌프(14c)를 구비한다.
저온재생기(15)는 응축기(14)의 엘리미네이터(14b)를 통해 연통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고온재생기(16)로부터 응축기(14) 또는 증발기(11)로 이송되는 냉매증기가 흐르는 냉매증기배관(16c)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고온재생기(16)는 내부에 버너(16a)를 구비하고, 이 버너(16a)는 흡수기(12)에서 펌핑된 묽은 농도의 흡수제를 가열하여 진한 농도의 흡수제 및 냉매증기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고온재생기(16)의 일측에는 버너(16a)에서 발생된 각종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도(16b)가 구비되며, 버너(16a)에 의해 묽은 농도의 흡수제에서 분리된 냉매증기를 응축기(14) 또는 증발기(11)로 이송시키는 냉매증기배관(16c)이 구비된다.
한편, 저온재생기(15) 및 응축기(14) 사이의 냉매증기배관(16c) 도중에는 난방절환용밸브(17)가 구비되고, 저온재생기(15) 및 증발기(11) 사이의 냉매증기배관(16c) 상에는 냉방절환용밸브(18)가 구비된다.
급탕조(30)는 흡수식 냉온수기(1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흡수식 냉온수기(10)의 고온재생기(16)의 연도(16b) 측에 장착되는 전열배관(31)을 통해 연통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급탕조(30) 및 고온재생기(16) 사이에는 보조 전열배관(32)이 더 구비되어, 급탕조(30) 내에 저장되는 온수의 열교환 작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냉각탑(20)은 급탕조(3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냉각탑(20)의 냉각수배관(21)이 흡수식 냉온수기(10)의 응축기(14) 및 흡수기(12) 내부를 관통하여 구성되며, 이 냉각수배관(21) 상에는 냉각수펌프(2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고안의 실외기 모듈구조는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중앙 냉난방설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실외기 모듈의 병렬 연결구성은 냉방 또는 난방부하의 변동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냉방 또는 난방효율을 향상시키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흡수식 냉온수기(10)의 냉방작동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난방절환용밸브(17)는 폐쇄되고 냉방절환용밸브(18)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매펌프(14c)에 의해 응축기(14)로부터 증발기(11)로 이송되는 냉매는 증발기(11)의 분무기(11b)를 통해 분무되고, 이 분무된 냉매는 냉온수펌프(11d)에 의해 냉온수배관(11a) 내부를 순환하는 냉수(실내에서 흡수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상태)와 열교환하여 냉매(물)는 냉매증기로 증발되고, 냉온수배관(11a)을 통과하는 냉수는 냉각되어 건물 내의 각 실로 공급되어 그 냉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증발기(11) 내에서 증발된 냉매증기는 엘리미네이터(11c)를 통과하여 흡수기(12) 내의 분무기(12b)에서 분사되는 중간농도의 흡수제에 흡수되고, 이로 인해 증발기 내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냉매증기가 흡수되는 흡수제은 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열은 냉각수배관(21)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연속적인 증발 및 흡수작용이 이루어진다.
흡수기(12)의 흡수제저장조(12a)에 저장된 묽은농도의 흡수제 중에서 일부는 용액펌프(12c)를 통해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저온재생기(15)로 이송되고, 나머지는 고온열교환기(13b)를 거쳐 고온재생기(16)로 이송된다.
여기서, 흡수기(12)의 흡수제저장조(12a)로부터 이송되는 묽은 농도의 흡수제는 저온열교환기(13a) 내에서 저온재생기(15)로부터 이송되는 고온의 중간농도 흡수제와 열교환하고, 고온열교환기(13b) 내에서 고온재생기(16)로부터 이송되어온 고온의 진한농도 흡수제와 열교환한다.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저온재생기(15)로 이송되는 묽은농도의 흡수제는 저온재생기(15) 내에서 고온재생기(16)로부터 이송된 고온의 냉매증기와 열교환하여 중간농도의 흡수제로 농축되고, 고온재생기(16)로부터의 냉매증기는 응축되어 냉매증기배관(16c)의 개방된 냉방절환용밸브(18)를 통해 응축기(14)로 이송된다.
고온열교환기(13b)를 거쳐 고온재생기(16)로 이송된 묽은 농도의 흡수제는 고온재생기(16)의 버너(16a)에 의해 가열되어 진한농도의 흡수제 및 고온의 냉매증기로 분리되고, 진한농도의 흡수제는 고온열교환기(13b) 및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열교환되어 중간농도의 흡수제가 되어 흡수기(12)의 분무기(12b)를 통해 분무되면서 증발기(11)로부터 발생된 냉매증기를 흡수하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흡수식 냉온수기(10)의 난방작동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냉방절환용밸브(18)는 폐쇄되고 난방절환용밸브(17)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온재생기(16)로부터 저온재생기(15)로 이송되는 고온의 냉매증기는 난방절환용밸브(17)를 통해 증발기(11)로 직접적으로 유입되고, 이 고온의 냉매증기와 냉온수배관(11a)를 통과하는 온수(실내에서 빼앗긴 열에 의해 온도가 낮은 상태임)가 상호 열교환하여 냉매증기는 냉각되고, 온수는 가열되어 건물 내의 각 실로 공급되어 그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비록, 증발기(11) 내에서 냉매증기는 냉각되었지만, 흡수기(12) 및 증발기(11)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냉매증기는 엘리미네이터(11c)를 통과하여 흡수기(12) 내의 분무기(12b)에서 분사되는 중간농도의 흡수제에 흡수된다. 여기서, 냉매증기가 흡수되는 흡수제은 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열은 냉각수배관(21)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연속적인 증발 및 흡수작용이 이루어진다.
흡수기(12)의 흡수제저장조(12a)에 저장된 묽은농도의 흡수제 중에서 일부는 용액펌프(12c)를 통해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저온재생기(15)로 이송되고, 나머지는 고온열교환기(13b)를 거쳐 고온재생기(16)로 이송된다.
여기서, 흡수기(12)의 흡수제저장조(12a)로부터 이송되는 묽은 농도의 흡수제는 저온열교환기(13a) 내에서 저온재생기(15)로부터 이송되는 고온의 중간농도 흡수제와 열교환하고, 고온열교환기(13b) 내에서 고온재생기(16)로부터 이송되어온 고온의 진한농도 흡수제와 열교환한다.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저온재생기(15)로 이송되는 묽은농도의 흡수제는 저온재생기(15) 내에서 고온재생기(16)로부터 이송된 고온의 냉매증기와 열교환하여 중간농도의 흡수제로 농축되고, 고온재생기(16)로부터의 냉매증기는 냉각되어 냉매증기배관(16c)의 개방된 난방절환용밸브(17)를 통해 증발기(11)로 이송된다.
고온열교환기(13b)를 거쳐 고온재생기(16)로 이송된 묽은 농도의 흡수제는 고온재생기(16)의 버너(16a)에 의해 가열되어 진한농도의 흡수제 및 고온의 냉매증기로 분리되고, 진한농도의 흡수제는 고온열교환기(13b) 및 저온열교환기(13a)를 거쳐 열교환되어 중간농도의 흡수제가 되어 흡수기(12)의 분무기(12b)를 통해 분무되어 증발기(11)에서 냉각된 냉매증기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고온재생기(16)의 버너(16a)와 연통하는 연도(16b)에는 냉난방 어느 경우에라도 항상 고온의 열이 발생한 상태에서, 급탕조(30)로부터 연장된 전열배관(31)이 연도(16b)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설치됨에 따라, 급탕조(30) 내에 저장된 물은 전열배관(31)을 통해 열교환되어 항상 온수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급탕조(30)로부터 연장된 보조 전열배관(32)이 고온재생기(16) 내부에 관통되어 설치됨에 따라, 급탕조(30) 내의 온수는 그 열교환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급탕조(30)의 전열구조로 인해, 보일러가 필요없게 되어, 실외기 모듈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탑(20)이 급탕조(30) 및 흡수식 냉온수기(10)에 밀착 배치된 구조로 인해, 종래기술과 달리 냉각수배관(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이루어지므로, 냉각효과가 증대되고, 관내의 스케일 발생이 적게 됨에 따라 냉각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온수배관(11a)이 건물 내의 각 실로 분배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온수배관(11a)의 도중 또는 종단부에 공기조화기, 4방향팬코일유니트, 입형팬코일유니트, 환기유니트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실내유니트와의 조합이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잡한 제어구조 대신에 전통적인 기계적인 설비에 의해 냉난방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작동상의 오류 발생의 위험성이 적으며, 또한 초기 설치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설비를 단일의 유니트로 모듈화함으로써, 공간절약성을 향상시키고, 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잡한 제어구조 대신에 전통적인 기계적인 설비에 의해 냉난방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작동상의 오류 발생의 위험성이 적으며, 또한 초기 설치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고, 기존의 건물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실내기 유니트에 호환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급탕용 보일러가 필요없으므로 실외기 구조를 컴팩트화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중앙 냉난방설비에 있어서,
    응축기, 저온재생기, 증발기, 흡수기, 열교환기, 및 고온재생기로 이루어진 흡수식 냉온수기와;
    상기 흡수식 냉온수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급탕조와;
    상기 급탕조의 일측면에 근접 배치된 냉각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식 냉온수기의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냉온수배관이 건물 내의 각 실에 구비된 실내유니트에 연통되고, 상기 냉온수배관 일측에는 냉온수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냉온수배관의 유입 및 유출 측이 공통되는 위치에는 팽창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탑으로부터 연장된 냉각수배관은 상기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기 및 흡수기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배관 일측에는 냉각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급탕조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의 일측에 구비된 연도 측에 전열배관을 통해 연통된 실외기 모듈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조 및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 사이에는 보조 전열배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배관의 냉온수펌프의 상류측에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냉온수배관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감지되면 냉온수펌프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모듈구조는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KR20-2004-0012330U 2004-05-03 2004-05-03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Ceased KR200356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30U KR200356264Y1 (ko) 2004-05-03 2004-05-03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30U KR200356264Y1 (ko) 2004-05-03 2004-05-03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64Y1 true KR200356264Y1 (ko) 2004-07-16

Family

ID=4934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30U Ceased KR200356264Y1 (ko) 2004-05-03 2004-05-03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00B1 (ko) * 2007-01-29 2008-07-11 (주) 청림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00B1 (ko) * 2007-01-29 2008-07-11 (주) 청림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1737A (zh) 一种热泵驱动的溶液除湿空调装置
KR101341790B1 (ko) 울트라 e.s형 압축식 냉동기 및 흡수식 냉온수기
CN109556215A (zh) 一种变频多联辐射中央空调热水机组
CN105627625B (zh) 热泵与热水加热组合系统的混合制热流程
CN103423815B (zh) 一种溶液辅助储能型家用空调器
CN203274348U (zh) 一种超低温双回路热泵空调热水机
CN201016499Y (zh) 太阳能梯级利用式空调系统
CN105916361A (zh) 一种适用于通信机柜的低耗淋水式热管散热成套设备
KR20080093279A (ko) 연속 제상이 가능한 냉,난방 히트펌프장치
CN202835916U (zh) 一种蒸发式热泵除湿调温机组
KR200356264Y1 (ko) 중앙 냉난방설비의 실외기 모듈구조
CN209325988U (zh) 一种变频多联辐射中央空调热水机组
CN111578741A (zh) 一种热交换装置及中央空调
CN202813876U (zh) 一种喷淋液烘干式超低温风能热泵空调装置
CN113237252A (zh) 一种预冷型冷凝器及空调机组
CN219976804U (zh) 一种蒸发式冷凝器设备
CN222438219U (zh) 采用热源塔的三联供机组
CN222747387U (zh) 一种带新风制冷多联机空调系统
CN115789927B (zh) 中央空调的余热回收控制系统、方法和中央空调
CN219775899U (zh) 冷却机组
CN220817989U (zh) 一种节能数据中心用低温度送风型新风机组
CN110145885A (zh) 蒸发冷太阳能双源多联热泵全热回收机组
JP7607986B2 (ja) 放射放熱及び放射集熱による冷熱セントラルエアコンシステム
CN222210511U (zh) 多热源余热回收装置
CN102706032B (zh) 一种防冻液烘干式蓄冷蓄热超低温风能热泵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0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