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6141Y1 -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141Y1
KR200356141Y1 KR20-2004-0011994U KR20040011994U KR200356141Y1 KR 200356141 Y1 KR200356141 Y1 KR 200356141Y1 KR 20040011994 U KR20040011994 U KR 20040011994U KR 200356141 Y1 KR200356141 Y1 KR 200356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tank
opening
bottom opening
liquid deter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아이-씨엔
Original Assignee
캡틴 어세트 인베스트 매니지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캡틴 어세트 인베스트 매니지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캡틴 어세트 인베스트 매니지먼트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14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세제를 채우는 상부통로와 저부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투여기와;
상기 투여기로부터 아래로 연장하여 있으며, 소정의 거리로 저부 개구부로부터 공간을 둔 저부를 지니며 이 저부에 하나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컵과;
상기 저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컵내에 있는 부유물을 구비한 부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투여기가 화장실 탱크에 설치되면, 화장실 탱크의 물의 레벨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저부 개구부와 맞물리거나 분리된다. 따라서, 투여기는 부유물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액체 세제를 화장실 탱크에 자동적으로 투여하거나 액체 세제를 화장실탱크에 분배하는 것을 차단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LIQUID CLEANER DISPENSER FOR TOILET}
본 고안은 화장실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향상된 특성을 지닌 화장실 탱크에 설치된 용액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모든 사람은 화장실 청소를 하기 좋아 하지 않는다. 청소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에 불퀘한 냄새가 강하다. 따라서, 세제 제조 회사는 여러 세제를 개발해 오고 있다. 세제 변기로부터 오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제거한다. 더구나, 세제 이용자가 화장실을 청소하는 것을 쉽게 한다. 세제를 이용하여 화장실을 청소하는 경우에 오물이 이용자에게 튀긴 다는 것을 알려져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청소후 몇시간후에 오물이 쉽게 형성된다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이용에 대한 청소가 요구된다. 이는 짜증나는 일이다.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블록으로 형상을 한 고체 세제(예를들어, 클리닝 블록)가 세제 회사에 의해 개발되어 오고 있다. 클리닝 블록은 세제와 방취제의 성분을 갖는다. 클리닝 블록은 직접 화장실 탱크에 투여되어 용해된다. 따라서, 물이 용해된 클리닝 블록과 혼합되어 클리닝 세정 용액을 형성한다. 화장실을 이용 후, 사람은 탱크안에 저장된 클리닝 용액으로 배변 및/또는 방뇨를 씻어내린다.
그러나, 화장실 탱크에 용해된 클리닝 블록의 양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게 된다. 또한, 어떤 기간에서 물과 혼합하는 클리닝 블록의 양은 다른 기간에서 물과 혼합하는 클리닝 블록의 양이 다른다(예를들어, 길거나 짧다). 따라서, 과도한 양의 용해된 클리닝블록으로 씻어내리면 화장실을 충분히 깨끗하게 할수 있고 향기로운 향으로 휴계실을 채울수가 있는 반면, 클링닝 블록이 낭비되는 일이 일반적이다. 반대로, 화장실 탱크에서 용해된 클리닝 블록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청소가 성취될 수 없다.
더구나, 클리닝 블록은 전에 물이 다시 채워진 후 소정의 기간 후에 화장실 탱크의 물과 충분히 혼합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클리닝 블록이 아직 용해되고 있는데도 소정의 기간(물이 다시 채워 지지않음)후 물에서의 클리닝블록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제와 방취제의 많은 농도가 화장실의 바닥에 존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방취제의 소량의 농도가 존재하면서 용해된 세제에 함유된 물을 씻어냄으로써 오염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하듯이, 남은 방취제의 유효기간이 씻어내린 후에 제한된다.
향상된 액체 세제 투여기를 화장실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투여기는 씻어내리기위해 씻어 내리기의 두개의 연속한 시간사이의 다른 기간에 관계없이 소정량의 액체 세제를 화장실 탱크에 투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 세제를 채우는 상부통로와 저부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투여기와;
상기 투여기로부터 아래로 연장하여 있으며, 이 저부에 하나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컵과;
상기 저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컵내에 있는 부유뮬을 구비한 부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부유물은 화장실 탱크의 물의 레벨이 상승 또는 강하함에 따라 저부 개구부와 맞물리거나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투어기는 부유물이 강하 또는 상승함에 따라 액체 세제를 화장실 탱크에 자동적으로 투여하거나 이 액체 세제를 화장실 탱크에 투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액체 세제의 소정의 양이 화장실 탱크에 투여되어 화장실 탱크내의 물과 완전히 혼합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탱크내에 봉입된 소형 투여기, 이 화장실 탱크외측에 형성되어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대형 용기 및 투여기 및 화장실 탱크의 상부 개구부 또는 용기에 서로 연결된 가용성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실 탱크의 유체 레벨이 가요성 튜브를 구브림으로써 투여기에 수직하다. 또한, 투여기는 화장실 탱크내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벤트구멍이 외부와 연결을 위해 용기상에 형성되어 있다. 벤트구멍의 제공에 의해 용기의 내측 압력과 외측 압력이평형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더구나, 용기내의 액체 세제는 자체 무게로 가요성 튜브을 개재하여 투여기내로 흘러 들어 가게 된다. 투여기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화장실 탱크에 서스팬드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물절약 장치가 탱크내에 설치되어 대형 용기를 설치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탱크의 내벽이 경사지거나 만곡되어서 투여기를 탱크내에서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용자는 용액을 재충전하기 위해 탱크으로부터 투여기를 빈번하게 제거하는 것으로 괴롭힘을 당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투여기의 내벽에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과, 이 레일상에서 미끄러 질수 있는 반전된 U자 형상의 호이스트 로프와, 상기 레일과 마주하는 투여기의 외면에 형성되어 호이스트 로프의 내단에 연결된 상부의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와, 레일을 따라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개구 부재를 포함하며, 이 구멍중 어느 하나는 호이스트 로프가 이 레일 따라 미끄러 질때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를 럭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투여기가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된 화장실 탱크에 서스팬드되어 있다.
또한 화장실 탱크내의 투여기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경과 화장실 탱크에 투여된 액체 세제의 양의 제어가 가능하다. 다시말해, 이용자는 바람직하기로 화장실 탱크에 투여된 액체 세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을 수반한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설명함으로써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실 탱크에 설치된 액체 세제 투여기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실 탱크에 설치된 액체 세제 투여기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실의 화장실 탱크(3)에 설치된 액체 세제 투여기(1)를 도시한다. 의도 되었듯이, 씻어 내린후 유체가 탱크(3)내에 자동적으로 다시 채워 진다. 용액(예를들어, 액체 세재)가 투여기(1)에 저장된다. 투여기(1)는 용액을 다시 채우는 상부 통로(10)와, 저부 개구부(12)와, 아래로 연장한 연결컵(16)을 포함하며, 이 연결컵(16)의 저부는 소정의 거리로 저부 개구부(12)로부터 공간을 두고 있으며, 연결컵(16)의 저부에는 하나이상의 구멍(162)을 포함한다. 투여기(1)는 저부 개구부(12)와 대향하는 연결컵(16)에 부유물(2)를 포함한다. 탱크(3)의 유체 레벨이 저부 개구부(12)보다 낮을 때 부유물(2)은 저부 개구부(12)로부터 분리되도록 투여기(1)에서 부유된다. 탱크(3)의 유체 레벨이 상승을 지속함에 따라 부유물(2)은 상승하여 저부 개구부(12)와 맞물리게 된다. 궁극적으로, 저부 개구부(12)는 부유물(2)에 의해 폐쇄되어서 저부 개구부(12)로부터 흐르는 투여기(1)의 유체를 차단시킨다. 간단히 말해, 투여기(1)는 탱크(3)에 용액을 자동적으로 투여하거나 용액을 탱크(3)에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용액을 탱크(3)에 투여하는 공정 동안 유체는 지속적으로 탱크(3)를 다시 채운다. 따라서, 채워진 유체(예를들어, 물)는 탱크(3)내의 용액과 지속적으로 혼합된다. 결과적으로, 물과 용액이 충분히 혼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형의 봉입된 투여기(1)가 탱크(3)내에 설치되어 있다. 투여기(1)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제공된다. 물절약 장치가 탱크(3)내에 설치되어 대형 용기를 설치할 공간이 충분하지않다. 또한, 탱크(3)의 내벽이 경사지거나 만곡되어서 투여기(1)를 탱크(3)내에서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용자는 용액을 재충전하기 위해 탱크(3)로부터 투여기(1)를 빈번하게 제거하는 것으로 괴롭힘을 당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개구부(142)는 투여기(1)의 측 또는 상부(도시되어 있음)위에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튜브(4)의 일단은 상부 개구부(142)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탱크(3)의 상부의 대형 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용기(5)는 용액을 저장하게 되어 있다. 용기(5)는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 벤트 구멍(52)을 포함한다. 따라서, 탱크(3)의 유체레벨은 가요성 튜브(4)를 구부림으로써 투여기(1)에 수직이다. 또한, 투여기는 탱크(3)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벤트 구멍(52)의 제공에 의해 용기(5)의 내측과 외측 압력은 평형상태이다. 더구나, 용기(5)내의 용액은 자신의 중량으로 가용성 튜브(4)을 개재하여 투여기(1)내로 흘러들어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5)는 개구된 케이싱(54), 탱크(3)과 대향하는 개구된 케이싱(54)을 봉입하는 상부커버(56)와, 측부 개구부(5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부 개구부(58)는 가요성 튜브(4)에 연결되어 있다. 벤트구멍(52)은 커버(56)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용액을 채우기 위해 용기(5)로부터 커버(56)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14)가 투여기(1)의 상부 통로(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하나이상의 개구부(142)가 커버(14)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통로(10)상에 커버(14)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물체가 떨어질 가능성을 감소하게되어 저부 개구부(12)가 이 외부 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투여기(1)내의 용액을 저부 개구부(12)밖으로 흐르게 한다. 더구나, 개구부(142)의 제공에 의해 투여기(1)가 붕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와 자유로운 연결을 하게 한다. 따라서, 투여기(1)의 내측과 외측의 압력이 평형상태에 있는 경우 자체증략에 의해 투여기(1)내의 용액이 저부 개구부(12)밖으로 흐러 나가게 된다.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일(182)이 투여기(1)의 내측벽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반전된 U자 형상의 호이스트 로프레일(182)위에서 미끄러질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누룸 가능한 스프링 디텐드(184)가 레일(182)과 마주하는 투여기(1)의 외면에 제공되어 있고 호이스 루프(186)의 내단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개구부재가 레일(182)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구멍(181)은 누름 가능한 스프링 디텐트(184)를 럭크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호이스트 로프(186)가 레일(182)을 따라 수직으로 밀쳐지는 동안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184)가 구멍(181) 중 어떤 하나에서 럭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기 때문에, 호이스트 로프(186)의 상부와 연결컵(16)사이의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기(1)는 호이스트 로프(186)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된 탱크(3)에 서스팬스된다. 또한, 탱크(3)의 물에 따라 탱크(3)내의 투여기(1)의 상태적인 위치를 변경함은 물론 탱크(3)에 투여된 용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탱크(3)내의 호이스트 로프(186)의 위치 조절과 탱크(3)에 투여된 용액의 양의 조절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조절된 호이스트 로프(186)에 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호이스트 로프(186)에 연결된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184)가 가장 낮은 구멍(181)에서 럭크되는 경우, 투여기(1)는 탱크(3)의 바닥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물이 탱크(3)에 채워지는 동안 물이 신속하게 상승하게 부유물(2)에 도달하게 되어 이 부유물(2)이 매우 짧은 시간에 저부 개구부(12)에 도달하게되어 투여기(1)의 용액이 저부 개구부(12)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탱크(3)에 투여된 용액의 양은 매우 적다.
이와는 달리, 호이스트 로프(186)에 연결된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184)가 맨 위의 구멍(181)에서 럭크되는 경우 탱크(3)의 저부로 멀어진다. 따라서, 물이 탱크(3)에 채워지는 동안 물이 느리게 상승하여 부유물(2)에 도달하게 되어 상당히 긴 기간동안 부유물(2)이 저부 개구부(12)와 맞물려 투여기(1)내의 용액이 저부개구부(12)밖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 탱크(3)에 투여된 용액의 양은 매우 많다.
두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유물(2)은 저부 개구부와 마주하는 상부의 둥근 플러그(22)를 포함한다. 둥근 플러그(22)는 부유물(2)이 저부 개구부(12)와 맞물리는 경우 저부 개구부(12)를 차단하기 위해 저부 개구부(12)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부유물(2)은 저부 개구부(12)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더구나, 두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유물(2)은 부유물(2)과 연결컵(16)사이에 원통형 벽(16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원통형 벽(164)은 원통형벽(164)에서 부유물(2)의 상하 운동하는 부유물(2)근처에 위치하여 둥근 플럭(22)가 저부 개구부(12)을 신속하게 차단하게 한다.
더구나, 두개의 실시예에서, 투여기(1)의 바닥은 저부 개구부(12)주위에 최심점을 갖는 아치형 단면(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치형 단면(11)을 제공함으로써 투여기(1)내의 용액은 아치형 단면(11)을 통과함으로써 저부 개구부(12)밖으로 흐르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웨이트(188)가 호이스트 로프(186)의 외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웨이스트(188)는 탱크(3)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미끄러질수 있다. 웨이트(188)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탱크(3)의 상이한 두께와 내측공간이 제공된다. 따라서, 투여기(1)는 호이스트 로프(186)에 연결된 웨이트(188)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탱크(3)에 안정하게 설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주 홈(166)이 연결컵(16)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합하는 외주 돌출부(13)가 저부 개구부(12)보다 약간 높게 탱크(3)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유물(2)을 연결컵(16)의 원통형벽(164)내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 연결컵(16)을 투여기(1)에 고정하기 위해 내주홈(166)을 외주 돌출부(13)에 정합하게 연결한다. 내주홈(166)과 외주 돌출부(13)가 해제할수 있게 고정되어 저부 개구부(12)가 막히는 경우 연결컵(16)을 투여기(1)로부터 떼어낼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다음, 이용자는 저부 개구부(12)를 청소한 후에 연결컵(16)을 투여기(1)에 다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고안은 저부 개구부(12)가 막혀을 때 투여기(1)이 비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투여기의 긴 유용한 수명이 가능하다.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투여기(1)는 용액을 탱크(3)에 자동적으로 투여하고 탱크(3)에 투여된 용액의 양을 제어한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 투여된 용액이 탱크(3)의 물과 완전히 혼합될 수 있어서 클리닝 블록으로부터 용해된 세제와 방취제의 불균일한 양의 결점과 선행기술에서 클리닝 블록을 화장실 탱크에 직접 투여함으로서 경험했듯이 이를 물과 불완전하게 혼합하는 결점을 극복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여러 수정과 변경이 본 고안의 클레임에 설명된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 나지 않는 다면 당업자는 가능하다고 할수 있다.

Claims (11)

  1. 탱크에 설치된 투여장치로써,
    액체 세제를 채우는 상부통로와 저부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투여기와;
    상기 투여기로부터 아래로 연장하여 있으며, 소정의 거리로 저부 개구부 로부터 공간을 둔 저부를 지니며 이저부에 하나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컵과;
    상기 저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컵내에 있는 부유물을 구비한 투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구 통로에 고정된 제 1커버와 이 상부 커버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벤트 구멍을 더 포함하는 투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투여기의 내벽에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과, 이 레일상에서 미끄러 질수 있는 반전된 U자 형상의 호이스트 로프와, 상기 레일과 마주하는 투여기의 외면에 형성되어 호이스트 로프의 내단에 연결된 상부의 누름가능한 스프링 디텐트와,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의 구멍을 가지어 각각이 누름 가능한 스프링 디텐트를 럭크하기 위한 개구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부유물은 저부 개구부와 마주하는 상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투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컵은 부유물의 상하 운동을 위해 이 부유물 근처 및 인접한 원통형 벽을 더 포함하는 투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투여기의 저부에 아치형 단면을 더 포함하며, 이 아치형 단면은 저부개구부에 최심저을 갖는 투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 로프의 외단에 연결된 웨이트를 더 포함하며, 이 웨이트는 화장실 탱크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미끄러 질수 있는 투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투여기는 봉입된 투여기이며, 투여기에 연결된 일단을 지지는 가요성 튜브와, 화장실 튜브의 외측에 위치한 액체 세제 용기를 포함하며, 이 용기는 가요성튜브의 타단에 열결되고, 벤트구멍을 가지는 투여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의 일단은 제 1커버에 연결되어 있고 화장실 탱크 외측에 배치된 액체 세제 용기를 더 포함하며, 이 용기는 가요성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벤트구멍을 포함하는 투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개구된 케이싱과, 화장실 탱크와 대향하는 개구 케이싱을 봉입하는 상부 커버와, 저부와 경계된 측면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이 측면 개구부는 가요성 튜브에 연결된 투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컵은 내주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화장실 탱크는 그의 하부에 정합하는 외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이 외주 연결부재는 내주 연결부재에 정합 할수 있게 연결된 투여장치.
KR20-2004-0011994U 2003-04-30 2004-04-29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561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06914 2003-04-30
TW092206914U TW595629U (en) 2003-04-30 2003-04-30 Liquid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141Y1 true KR200356141Y1 (ko) 2004-07-14

Family

ID=3330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9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6141Y1 (ko) 2003-04-30 2004-04-29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216221A1 (ko)
JP (1) JP3104910U (ko)
KR (1) KR200356141Y1 (ko)
AU (1) AU2004201757A1 (ko)
TW (1) TW59562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9464A (zh) * 2019-04-12 2019-07-09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的清洁剂添加装置
WO2022014806A1 (ko) * 2020-07-14 2022-01-20 조석묵 수세식 변기의 살균장치
KR102731136B1 (ko) * 2023-07-31 2024-11-14 이건학 낙차를 이용한 양변기 세정액 투입기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세정액 투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5282B1 (fr) * 2010-09-24 2013-11-08 Jean Pierre Rizzo Distributeur automatique pompe doseur a volume reglable pour nettoyer desinfecter et desodoriser les cuvettes des toilettes
CN102912840A (zh) * 2012-10-25 2013-02-06 陈卫峰 一种防堵塞座便器
GB2517131A (en) * 2013-06-09 2015-02-18 Perrymac Ltd Dispenser for use with sanitary appliances
US10760255B2 (en) 2013-07-15 2020-09-01 As America, Inc. Self 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CN105612294B (zh) 2013-07-15 2019-05-17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自清洗马桶组件和系统
ES2540304B1 (es) * 2013-12-05 2016-04-19 Zobele España, S.A. Dispositivo para el suministro de un producto al interior de la taza de un inodoro
ES2725303T3 (es) * 2013-12-20 2019-09-23 Campos Manuel Losada Dosificador de productos en un depósito de cisterna, o similares
CN118621881A (zh) 2015-08-24 2024-09-10 科勒公司 具有清洁化合物分配系统的马桶及其分配系统
US10480169B2 (en) 2017-02-20 2019-11-19 Evan Schneider Device and method for toilet odor shielding
CN107419784A (zh) * 2017-09-13 2017-12-01 李合高 一种防倒流节约型厕所清洁剂添加器
WO2020028934A1 (en) * 2018-08-08 2020-02-13 Imc Cleaning Services Pty Ltd Hydraulically activated liquid dispen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9464A (zh) * 2019-04-12 2019-07-09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的清洁剂添加装置
CN109989464B (zh) * 2019-04-12 2024-01-16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的清洁剂添加装置
WO2022014806A1 (ko) * 2020-07-14 2022-01-20 조석묵 수세식 변기의 살균장치
KR102731136B1 (ko) * 2023-07-31 2024-11-14 이건학 낙차를 이용한 양변기 세정액 투입기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세정액 투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04910U (ja) 2004-10-21
AU2004201757A1 (en) 2004-11-18
US20040216221A1 (en) 2004-11-04
TW595629U (en)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6141Y1 (ko)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US4064572A (en) Level actuated apparatus for delivering chemicals
US4534071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US6944890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US5042095A (en) Cleaner injector system
US20080301866A1 (en) Cleaning Agent Dispenser for a Flushing Tank
JP2011510193A (ja) オンタンク式トイレディスペンサ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US6341385B1 (en) Toilet bowl fluid dispensing system
EP1386040B1 (en) Down-stroke dispenser
US20180155911A1 (en) Solution supply
US6691328B2 (en) Fluid dispensing bottle having a refillable reservoir and a metering section
EP1591592A1 (en) Liquid cleaner dispenser for toilet
US8032953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US7441283B2 (en) Flush toilet with add-on liquid dispenser
KR200406587Y1 (ko) 소변기용 탈취구
WO2003104086A2 (en) Dispensing device for cleaning agents
WO2007141704A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osing liquid into a toilet cistern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TWM458417U (zh) 馬桶自動潔淨裝置
JP2005290867A (ja)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KR100328861B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CA2411235A1 (en) Detergen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4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4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