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5132Y1 -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32Y1
KR200355132Y1 KR20-2004-0009375U KR20040009375U KR200355132Y1 KR 200355132 Y1 KR200355132 Y1 KR 200355132Y1 KR 20040009375 U KR20040009375 U KR 20040009375U KR 200355132 Y1 KR200355132 Y1 KR 200355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lated product
transfer
drying frame
transfer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광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서학원
Priority to KR20-2004-0009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의 건조를 진행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는 건조 프레임(20), 이송라인(40),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 및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건조 프레임(20)은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중간면(24)을 가지며, 입구(32)와 출구(34)를 연결하는 이송공간(22)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이송라인(40)은 건조 프레임(20)의 입구(32)와 출구(34)를 통해 상기 "U"자형의 이송공간(22)을 따라 타원형의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는 건조 프레임(20)의 이송공간(22)을 따라 입구(32)에 근접되어 설치된다. 온풍 공급부는 근적외선 램프(60) 다음에 건조 프레임(20)의 이송공간(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제어부(80)는 이송라인(40),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의 작동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는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된 이송라인(40)으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과 온풍을 통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DRYING PLATED WARE}
본 고안은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가전 등의 부품을 도금처리한 후 건조를 진행시키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금공정은 도금시키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을 도금하는데는 합성수지 제품의 표면을 금속화하기 위해 화학도금(무전해도금)이 주로 사용된다. 이 화학도금은 도금욕 중인 금속이온을 화학 환원제의 작용에 의해 환원하여 제품 표면에 금속층을 석출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금공정은 일반적으로 열악한 작업환경하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노동 강도가 높고 작업환경이 유해하여 기피되고 있는 산업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완하시키면서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자들이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도금공정에서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금처리된 제품의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자의 참여를 최대한 줄이므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도금의 특징은 표면 광택의 균일성과 도금 표면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건조가 일정하게 골고루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풍 건조방식은 도금 표면을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만들어 광택을 저하시키고 다양한 제품 구성상 복잡한 내면구조를 갖는 제품 건조의 경우는 내부의 액상의 건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어 작업성 저하와 품질 저하를 수반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8603호 "자동차 도장실의 전기 열처리장치"는 이와 같은 열풍 건조 방식의 건조장치를 개선한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조장치(5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실을 박스형의 밀폐형으로 구성하고, 가열장치(510) 및 송풍장치(520)를 구비하여 열풍을 건조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적외선 램프(530)를 설치하여 건조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건조장치(500)는 도장된 자동차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것이지만, 본 고안자는 이 건조장치를 응용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18485 "근적외선 히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열기구"는 발열성이 뛰어나면서 근적외선을 발생하여 흡열체의 열 흡수율을 향상시켜 주는 근적외선 히터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근적외선(Near Infrared)은 최근 건조와 열처리 및 절단 등 산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근적외선은 빛 에너지에 의한 직접적인 열의 전달이므로 중간의 매질에 관계없다. 또한 열손실없이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85%정도의 높은 열효율을 갖는다. 그리고 원적외선과 같은 열 대류 건조방식은 내부가 필요온도에 도달해야 건조가 진행됨으로 건조온도 도달시까지 10분 내지 20분간의 긴 시간이 필요지만, 근적외선을 이용한 건조는 기존의 열 대류 건조방식이 아닌 직접 투과하는 빛 에너지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모재에서 반사되며 수분이 안에서부터 건조되어 나온다. 특히 근적외선은 수산화 용제, 수분 등에 직접 공진하고 즉시 배출되어 수초이내에 모든 건조가 이루어지며, 코팅 표면도 완만한 표면이 가능하며 모재가 열을 받는 시간이 매우 짧아 열에 민감한 모재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8603호 등으로부터 제안된 건조실의 형태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18485 등으로부터 제안된 근적외선을 적용하여 도금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건조공정에 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장치에서 온풍이 공급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건조장치 20 : 건조 프레임
22 : 이송공간 24 : 중간면
32 : 입구 34 : 출구
40 : 이송라인 42 : 레일
44 : 체인 46 : 걸쇠
50 : 모터 52 : 지지바
60 : 근적외선 램프 72 : 펌프
74 : 혼풍 흐름 통로 78 : 분출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의 건조를 진행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중간면(24)을 가지며, 상기 입구(32)와 출구(34)를 연결하는 이송공간(22)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되는 건조 프레임(20)과;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입구(32)와 출구(34)를 통해 상기 "U"자형의 이송공간(22)을 따라 타원형의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라인(40)과;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기 이송공간(22)을 따라 상기 입구(32)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와; 상기 근적외선 램프(60) 다음에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기 이송공간(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 및; 상기 이송라인(40),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상기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된 이송라인(40)으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과 온풍을 통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이송라인(40)은 상기 이송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송공간(22)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지면에 놓이는 지지바(52)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42)과; 상기 레일(42)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터(5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레일(42)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이동되는 체인(44) 및; 상기 체인(44)에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쇠(4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는 상기 건조 프레임(20)내의 측면과 중간면에 상기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련되어 설치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고 배출하는 펌프(7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 프레임(20)내에서 상기 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측면, 중간면 및 상면상에 다수개의 분출공(78)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72)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이 상기 다수개의 분출공(78)이 형성된 측면, 중간면 및 상면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온풍 흐름 통로(7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10, 이하 '건조장치'라 한다)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정에서 작업자가 도금된 제품을 이송라인(40)에 놓으면 건조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므로써 작업이 간소화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도금제품의 건조에 관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이송라인(40)에 걸쇠(46)를 구성하여 도금 제품을 걸 수 있도록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도금 제품을 동일라인에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라인이 순환 반복되도록 구성되고, 권적외선 램프(60)를 적용하여 짧은 구간에서도 도금품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조라인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조장치(10)는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의 건조를 진행한다. 이 건조장치(10)는 특별히 설계되는 건조 프레임(20)을 갖는데,이 건조 프레임(20)은 데크 플레이트 등 각종 패널과 앵글 또는 프로파일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건조 프레임(20)은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중간면(24)을 가지며, 입구(32)와 출구(34)를 연결하는 이송공간(22)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된다. 건조 프레임(20)이 "U"자형의 이송공간(22)을 갖도록 하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하는 점은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조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건조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이송라인(40)은 건조 프레임(20)의 입구(32)와 출구(34)를 통해 "U"자형의 이송공간(22)을 따라 타원형의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가 건조 프레임(20)의 이송공간(22)을 따라 입구(32)에 근접되어 설치되며, 온풍 공급부가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60) 다음에 건조 프레임(20)의 이송공간(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본 고안에서 근적외선 램프(60)는 최적의 건조조건을 구축하기 위해 고속으로 제품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0.3 - 0.4㎛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것이 적용되어 수분을 최소 1분이내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풍 공급부는 열풍을 이용하여 고속 건조되는 수분과 습시를 순환시켜 건조 속도를 빨리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기를 가열하여 대류방식으로 건조공정을 행하는 건조장치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는 펌프(72)에서 발생되는 온풍을 이송공간(22)에 분출되도록 형성되는 분출공(78)까지 흘러가도록 하는 온풍 흐름통로(74)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장치(10)에는 제어부(80)가 구비되어 건조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부(80)는 일반적인 자동제어에 적용되는 PLC, 컴퓨터 제어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제어부(80)는 이송라인(40)의 모터(50),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의 펌프(72) 등의 작동여부, 작동시간 등을 조절하여 건조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건조장치(10)는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된 이송라인(40)으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과 온풍을 통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건조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장치에서 온풍이공급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는 건조 프레임(20), 이송라인(40),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 및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건조 프레임(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중간면(24)을 가지며, 입구(32)와 출구(34)를 연결하는 이송공간(22)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이송라인(40)은 레일(42), 체인(44) 및 다수개의 걸쇠(4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레일(42)은 이송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건조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이송공간(22)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지면에 놓이는 지지바(52)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레일(42)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체인(44)이 설치된다. 여기서 체인(44)은 모터(50)의 작동에 의해서 레일(42)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이동된다. 이때 체인(44)은 체인(44)에 결합되는 스프로킷에 의해서 구동된다. 체인(44)에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쇠(46)는 다양한 도금 제품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도금제품(100)에 맞도록 구성되는 지그(110)를 걸쇠(46)에 걸고, 이 지그(110)에 해당 도금제품(100)을 작업자가 걸면 이송되는 체인(44)에 의해서 이송공간(22)을 통과하면서 도금제품(100)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근적외선 램프(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 프레임(20)내의 측면과중간면(24)에 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련되어 설치되고, 이때 근적외선 램프(60)의 설치 높이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도금제품(100)의 길이에 맞도록 구성된다. 즉 근적외선 램프(6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도금제품(100)의 길이보다 긴 것이 선택되어 설치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풍 공급부는 펌프(72), 온풍 흐름 통로(74), 다수개의 분출공(7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펌프(72)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배출하고, 다수개의 분출공(78)은 건조 프레임(20)내에서 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측면, 중간면(24) 및 상면상에 형성되어 펌프(72)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도금제품(100)이 이동되는 이송공간(22)의 상, 양측면으롭터 분출되도록 하여 도금제품의 전면에 걸쳐서 온풍이 작용되도록 하면서 이송공간(22)내가 온풍에 의해 건조분위기를 갖도록 한다. 펌프(72)로부터 분출공(78)으로 온풍이 이동되도록 하는 온풍 흐름 통로(74)는 일반적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덕트(76)를 구성하여 펌프(72)에서 배출되는 온풍이 건조 프레임(20)의 내측으로 흐르도록 하였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 프레임(20)의 측면, 중간면(24) 및 상면상에 다수개의 분출공(78)을 형성하고, 이들 내측의 건조 프레임(20) 내측으로 온풍 흐름 통로(74)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온풍 흐름 통로(74)는 본 실시예에서 보이는 형태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온풍은 근적외선 램프(60)가 설치된 다음의 일부 구간에서 분사되도록 하는데, 건조분위기를 더 긴구간 지속시키기 위해 분출공(78) 및 온풍 흐름 통로(74)를 더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정에서 작업자가 도금된 제품을 이송라인(40)에 놓으면 건조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므로써 작업이 간소화되고, 작업자가 도금제품의 건조에 관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이송라인(40)에 걸쇠(46)를 구성하여 도금 제품을 걸 수 있도록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도금 제품을 동일라인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라인이 순환 반복되도록 구성되고, 권적외선 램프(60)를 적용하여 짧은 구간에서도 도금제품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조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의 건조를 진행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32)와 출구(34)를 갖도록 중간면(24)을 가지며, 상기 입구(32)와 출구(34)를 연결하는 이송공간(22)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되는 건조 프레임(20)과;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입구(32)와 출구(34)를 통해 상기 "U"자형의 이송공간(22)을 따라 타원형의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라인(40)과;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기 이송공간(22)을 따라 상기 입구(32)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와;
    상기 근적외선 램프(60) 다음에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기 이송공간(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 및;
    상기 이송라인(40), 근적외선 램프(60), 온풍 공급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상기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된 이송라인(40)으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과 온풍을 통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40)은 상기 이송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송공간(22)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지면에 놓이는 지지바(52)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42)과;
    상기 레일(42)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터(5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레일(42)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이동되는 체인(44) 및;
    상기 체인(44)에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쇠(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60)는 상기 건조 프레임(20)내의 측면과 중간면에 상기 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련되어 설치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 프레임(2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고 배출하는 펌프(72)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 프레임(20)내에서 상기 이송라인(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측면, 중간면 및 상면상에 다수개의 분출공(78)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72)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이 상기 다수개의 분출공(78)이 형성된 측면, 중간면 및 상면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온풍 흐름 통로(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KR20-2004-0009375U 2004-04-06 2004-04-06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55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75U KR200355132Y1 (ko) 2004-04-06 2004-04-06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75U KR200355132Y1 (ko) 2004-04-06 2004-04-06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32Y1 true KR200355132Y1 (ko) 2004-07-02

Family

ID=4943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5132Y1 (ko) 2004-04-06 2004-04-06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55B1 (ko) * 2007-10-16 2009-08-21 경남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가우징봉 건조장치
KR101039785B1 (ko) 2011-01-03 2011-06-09 주식회사 삼원알텍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55B1 (ko) * 2007-10-16 2009-08-21 경남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가우징봉 건조장치
KR101039785B1 (ko) 2011-01-03 2011-06-09 주식회사 삼원알텍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692A (en) Paint drying oven with radiant energy floor
US8367978B2 (en) Hybrid infrared convection paint baking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69131B1 (ko)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KR101594172B1 (ko) 분체 도장 장치
US5070625A (en) Oven for the curing and cooling of painted objects and method
KR102243713B1 (ko) 목재 및 합판의 방염처리장치
JP2525652B2 (ja) 塗装品乾燥炉
US4967487A (en) Oven for the curing and cooling of painted objects and method
KR200355132Y1 (ko)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16442B1 (ko) 색상패드 제조공정
US20130167396A1 (en) System with a ceiling fan and return plenum for heating, drying or curing an object
JP2003236437A (ja) 水系塗装用フラッシュオフ装置
US200901811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der coating wood substrates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KR101251035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피혁 건조기
KR100795108B1 (ko) 인라인 방식의 원적외선 라텍스 장갑 건조 경화장치
CN106938247B (zh) 一种水性木器漆干燥方法及其装置
JP3249478B2 (ja) 塗装乾燥方法及び塗装乾燥炉
KR100773946B1 (ko) 원단 건조방법 및 장치
JP2512517B2 (ja) 塗装乾燥炉
KR19990024259A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JP2017176937A (ja) 塗膜乾燥方法および塗膜乾燥炉
KR101180609B1 (ko) 신발의 중창 자외선 전처리 라인챔버
KR100717254B1 (ko) 코팅된 판재용 건조기
KR100282856B1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의 풍량 조절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4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4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