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660Y1 -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 Google Patents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4660Y1 KR200354660Y1 KR20-2004-0007614U KR20040007614U KR200354660Y1 KR 200354660 Y1 KR200354660 Y1 KR 200354660Y1 KR 20040007614 U KR20040007614 U KR 20040007614U KR 200354660 Y1 KR200354660 Y1 KR 2003546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outrigger
- vehicle
- industrial vehicle
- main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용 챠량의 하부 구동체로서 복수의 크로스 채널에 의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축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빔; 상기 슬라이드 빔의 종단에 연결부재로 연결된 슬라이드 박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구성된 크로스 채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박스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전방 및 후방 슬라이드 실린더를 포함하여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고정위치를 전후 및 좌우로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in fram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plurality of cross channels as a lower driving body of an industrial vehicle; A slide beam which is stretched and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A slide box connected to an end of the slide beam by a connecting member; One end is hinged to the cross channel configured between the main fram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slide box, including the front and rear slide cylinders that are stretched by hydraulic pressure,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rigger fixing posi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It is to be able to adjust variable.
Description
본 고안은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Crane)이나 텔레스코픽 핸들러(Telescopic Handler) 등과 같은 중장비의 차체를 지면으로부터 안정되게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n outrigger for an industrial vehicle that can stably and support a vehicle body of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or a telescopic handler from the ground. It relates to a variable device.
산업용 차량은 산업 건설이나 빌딩, 민간 및 공장건축 등의 건축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은 중장비로서 지게차, 크레인 또는 텔레스코픽 핸들러 등이 있다.Industrial vehicles are used in construction sites, such as industrial construction, buildings, civil and factory buildings, construction sites, etc. Usually, heavy equipment includes forklifts, cranes, telescopic handlers, and the like.
지게차는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물을 차량이나 소정의 위치에 적재하거나 적재된 작업물을 하역하여 근거리에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것으로, 거의 대부분이 작업물을 단순히 수평적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국한된 작업을 하는 것이다.A forklift is a work such as loading a work used in a construction site or an industrial site at a vehicl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r unloading a loaded work at a short distance and moving the work at a short distance. It is to do limited work such as letting go.
이와는 달리, 크레인(기중기)은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고, 고정식은 작업범위나 능력에 따라 일정 높이 이상으로 작업물을 승하강시키는 타워 크레인 등이 있고, 이동식은 통상 작업물을 승하강시키는 경우에는 고정되지만, 소정 중량이하의 작업물은 소정거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 등이 있다.On the contrary, cranes are fixed and mobile, and fixed cranes include tower cranes for lifting and lowering a workpiece above a certain height depending on the work range and ability. A mobile type is usually fixed when lifting and lowering a workpiece. However, there is a telescopic handler or the like that can move a workpiece below a predetermined weigh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지게차의 기능과 크레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현장이나 건축현장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작업용량에 따라 고층 아파트의 이삿짐을 운반하거나 건설현장의 작업물을 운반할 수 있고, 더욱이 소형의 경우에는 좁은 도로 등에서 작업이 가능하다.The telescopic handler can perform a function of a forklift and a crane at the same time, and is widely used in an industrial site or a building site. The telescopic handler can carry the moving parts of a high-rise apartment or the work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working capacity, and can work on a narrow road in the small case.
이와 같은 산업용 차량으로서 크레인이나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통상 작업물을 승하강시킬 때에 작업의 안정성을 위하여 차량의 바퀴 상단 일측에 복수로 구비된 아웃트리거를 펼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한다. 즉 아웃트리거는 통상적으로 4개의 지지점을 축으로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아웃트리거에는 아웃트리거 빔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의 하단(통상적으로, 슈우(shoe) 또는 슈우 어셈블리라고 함)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As such an industrial vehicle, a crane or a telescopic handler usually works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outriggers are provid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wheel of the vehicle for the stability of the work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workpiece. In other words, the outrigger typically allows the vehicle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with four support points on a fixed height. The outrigge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commonly referred to as a shoe or shoe assem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ip of the outrigger beam with respect to the ground.
종래의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는 하부 구동체의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아웃트리거 빔 박스를 설치하고 박스의 안내면을 따라 아웃트리거 빔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연신되고, 지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꺾인 잭 실린더를 신장시켜 지면에 슈우를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아웃트리거 빔이 설치된 경우에 산업용 차량의 작업시에 붐과 중량물의 모멘트로부터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는 차량의 크기 및 자체 중량에 의존하거나 차량의 전방에 보조 아웃트리거를 적용하거나, 또는 아웃트리거 빔 및 박스를 X자로 교차시켜 고정하고 지지하는 구조를 적용하기도 하였다.The outrigger of the conventional industrial vehicle has an outrigger beam box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main frame of the lower driving body, and the outrigger beam is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guide surface of the box, and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o fix the shoe on the ground by extending the bent jack cylinder. When the outrigger beam is installed in this way, it is adopted to secure safety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verturning from the moment of the boom and the heavy materia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size and weight of the vehicle, the auxiliary outrigger may be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or the structure that fixes and supports the outrigger beam and the box by crossing the X letter may be applied. It was.
그러나 이는 통상적인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해서만 차량의 전복 가능성을 방지하였을 뿐, 전방 및 후방으로의 전복 가능성에 대하여는 거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상태이다.However, this only prevented the possibility of the vehicle overturning on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ormal vehicle, and almost no action was taken on the possibility of overturning forward and backward.
이에 본 고안은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를 하부 구동체의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방향을 비롯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아웃트리거 빔이 연신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산업용 차량의 작업시에 차량의 전복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extend the outrigger beam of the industrial vehicle to the front and rear,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of the lower drive body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he vehicle overturn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본 고안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산업용 챠량의 하부 구동체로서 복수의 크로스 채널에 의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축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빔; 상기 슬라이드 빔의 종단에 연결부재로 연결된 슬라이드 박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구성된 크로스 채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박스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전방 및 후방 슬라이드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ain fram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plurality of cross channels as a lower driving body of an industrial vehicle; A slide beam which is stretched and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A slide box connected to an end of the slide beam by a connecting member; By providing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cross channel configured between the main fram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slide box, and includes a front and rear slide cylinder that is stretched by hydraulic pressure.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 가변장치가 장착된 산업용 차량을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industrial vehicle equipped with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outrigger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산업용 차량 20, 21: 메인 프레임1: industrial vehicle 20, 21: main frame
22-25, 64-67: 슬라이드 빔 26-29: 연결부재22-25, 64-67: slide beam 26-29: connecting member
30-33: 서포트 35: 베드 플랜지30-33: support 35: bed flange
40, 50: 크로스 채널 42, 52: 슬라이드 실린더40, 50: cross channel 42, 52: slide cylinder
44, 54: 슬라이드 60-63: 슬라이드 박스44, 54: Slide 60-63: Slide box
68-71: 잭 실린더 72-75: 슈우68-71: jack cylinder 72-75: sho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차량에 아웃트리거 가변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tate equipped with an outrigger variable device in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산업용 차량, 즉 본 고안에서는 텔레스코픽 핸들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텔레스코픽 핸들러(1)는 이동을 위한 전륜 및 후륜의 바퀴와, 지면에 텔레스코픽 핸들러(1)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아웃트리거(7) 및 유압시스템 등이 포함된 하부 구동체(6)가 구비되고,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2)과, 다단의 텔레스코픽 붐(4)이 포함된 상부 선회체(3)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구동체(8)와 상부 선회체(3)를 연결해주고, 각종 제어 및 유압라인 등이 통과하는 회전축(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붐(4)의 선단에는 링크(9)를 통하여 다양한 작업기(10)를 탈부착할 수 있는 붐 캐리지(5)가 연결된다.First, an industrial vehicl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telescopic handler as an example. Basically, the telescopic handler 1 includes a wheel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for movement, a lower drive body 6 including a plurality of outriggers 7 and a hydraulic system for fixing the telescopic handler 1 to the ground. It is provided with a cabin (2) the driver rides, and the upper swing (3) including a multi-stage telescopic boom (4), and connects the lower drive (8) and the upper swing (3) And a rotating shaft 7 through which various controls and hydraulic lines pass. And the tip of the telescopic boom (4) is connected to the boom carriage (5)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various work machines 10 through the link (9).
도 2는 본 고안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outrigger vari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utrigger variable device.
본 고안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는 산업용 차량의 하부 구동체의 주요 골격이 되는 메인 프레임(20, 21)과, 메인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된 아웃트리거 빔, 즉 슬라이드 박스(60-63)가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Outrigger vari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20, 21) that is the main skeleton of the lower drive body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outrigger beams, that is, the slide box (60-63)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frame One pair is provided.
메인 프레임(20, 21)은 산업용 챠량(1)의 하부 구동체(6)로서 복수의 크로스 채널(40, 50)에 의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본 고안에서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프레임(20, 21)의 중앙부 상단에는 상부 선회체(3)가 연결되는 베드 플랜지(35)가 구성된다. 베드 플랜지(35)를 통하여 복수의 유압라인과 제어에 필요한 각종의 전선 등이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20, 21) 사이에는 강성 및 지지를 위한 결합부재 등이 구성된다.The main frames 20 and 21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plurality of cross channels 40 and 50 as the lower drive bodies 6 of the industrial vehicle 1, and are constituted in pairs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20, 21, a bed flange 35 to which the upper pivot 3 is connected is configured. The bed flange 35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ydraulic lines and various wires necessary for control. And between the main frame (20, 21) is composed of a coupling member for rigidity and support.
슬라이드 빔(22-25)은 상기 메인 프레임(20, 21)의 내측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신축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빔(22-25)은 메인 프레임(20, 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있다.The slide beam 22-25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space portion inside the main frames 20 and 21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while sli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slide beams 22-25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frames 20 and 21, respectively.
슬라이드 박스(60-63)는 상기 슬라이드 빔(22-25)의 종단에 플랜지 등의 연결부재(26-29)로 연결되고, 슬라이드 박스(60-63)와 슬라이드 빔(22-25)과의 지지안정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서포트(30-33)가 결합된다. 슬라이드 박스(60-63)는 메인 프레임(20,, 21)과는 직각방향으로 한 쌍씩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박스(60-63)의 좌측 및 우측으로 잭 실린더(68-71)가 결합된 슬라이드 빔(64-67)이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어 슬라이딩된다. 잭 실린더(68-71)의 종단에는 지면과 접하는 슈우(72-75)가 결합된다.The slide box 60-6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lide beam 22-25 by a connecting member 26-29, such as a flange, and between the slide box 60-63 and the slide beam 22-25. One or more supports 30-33 are combined for support stability. The slide boxes 60-63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by a pair at right angles to the main frames 20 and 21, and the jack cylinders 68-7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e boxes 60-63. The combined slide beams 64-67 are stretched and slid by hydraulic pressure. At the end of the jack cylinder 68-71, a shoe 72-75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coupled.
다음으로 슬라이드 실린더(42, 52)는 상기 메인 프레임(20, 21)의 사이에 구성된 크로스 채널(40, 50)에 일단이 힌지(45, 55)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박스(60-63)의 측면에 힌지(46, 56)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것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성된다. 슬라이드 실린더(42, 52)는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로부터 슬라이드(44, 54)가 신축되어 슬라이딩된다. 전방의 슬라이드 실린더(42)와 후방의 슬라이드 실린더(52)는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Next, one end of the slide cylinders 42 and 52 is hinged 45 and 55 to the cross channels 40 and 50 formed between the main frames 20 and 21,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e cylinders 60 to 63. Hinge 46, 56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stretched by the hydraulic, is configured i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slide cylinders 42 and 52 slide and slide the slides 44 and 54 from the cylinder by hydraulic pressure. The front slide cylinder 42 and the rear slide cylinder 52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의 작동전 상태의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0, 21)의 전방 및 후방의 슬라이드 빔(22-25)이 축소된 상태로 슬라이드 빔(22-25)이 메인 프레임(20, 2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서, 메인 프레임(20, 21) 사이의 슬라이드 실린더(42, 52)가 유압으로 슬라이드 박스(60-63)를 당겨 놓은 상태이다. 그리고 슬라이드 박스(60-63)도 슬라이드 빔(64-67) 및 잭 실린더(68-71) 등이 축소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하부 구동체(6)의 전륜 및 후륜의 바퀴가 지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로서 차량(1)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outrigger variable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 of the pretrigger state of the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FIG. As the state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20, 21, the slide cylinders 42 and 52 between the main frames 20 and 21 are in the state which pulled the slide boxes 60-63 hydraulically. The slide boxes 60-63 are also in a state where the slide beams 64-67, the jack cylinders 68-71, and the like are reduced. In this case, the vehicle 1 can move as the wheel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lower drive body 6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상기 도 4에서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작업하려는 위치로 차량(1)을 이동시킨후에 아웃트리거의 위치 및 신축을 조작하는 제어반을 통하여 아웃트리거의 위치를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4, after the vehicle 1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driver intends to work, the position of the outrigger may be selected and adjusted through a control panel that manipulates the position and expansion of the outrigger.
따라서, 운전자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에서, 메인 프레임(20, 21) 사이에 구비된 전방 및 후방의 슬라이드 실린더(42, 52)의 유압을 각각 또는 동시에 조작하면, 슬라이드 실린더(42, 52)로부터 슬라이드(44, 54)가 신장되고, 슬라이드(44, 45)의 신장으로 힌지(46, 56) 결합된 슬라이드 박스(60-63)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밀려나게 된다. 이는 슬라이드(44, 54)의 신장이 메인 프레임(20, 21) 내의 슬라이드 빔(22-25)을 외부로 신축시켜 슬라이드 박스(60-63)를 밀어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방 및 후방에 슬라이드 실린더(42, 52) 및 메인 프레임(20, 21)의 슬라이드 빔(22-25)에 연결된 슬라이드 박스(60-63)가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신장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drawing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3,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ront and rear slide cylinders 42 and 52 provided between the main frames 20 and 21,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the slide cylinder 42, Slide 44, 54 extends from 52, and slide boxes 60-63 coupled with hinges 46, 56 are pushed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by extension of slides 44, 45. This is because the extension of the slides 44 and 54 stretches the slide beams 22-25 in the main frames 20 and 21 to the outside to push the slide boxes 60-63. As such, the slide boxes 60-63 connected to the slide cylinders 42 and 52 and the slide beams 22-25 of the main frames 20 and 21 at the front and rear are sli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driver. Can be stretched.
이렇게 전방 및 후방으로 아웃트리거의 위치가 설정되면, 슬라이드 박스(60-63)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드 빔(64-67)을 신장시켜 좌측 및 우측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고, 고정위치가 설정되면, 슬라이드 빔(64-67)의 선단에 구성된 잭 실린더(68-71)를 각각 하강시켜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잭 실린더(68-71)의 하단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슈우(72-7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sition of the outrigger is set to the front and rear in this way, the slide beams 64-67 inserted into the slide box 60-63 are extended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fixed positions, and the fixed position is set. The jack cylinders 68-71 formed at the ends of the slide beams 64-67 are respectively lowered and fixed to the groun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e 72-75 fixed to the groun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jack cylinder 68-71.
이와 같이 신장되어 고정된 아웃트리거는 차량(1)을 보다 넓은 위치에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차량(1)의 지지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중량물의 승하강 등의 작업시에 차량의 전복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신장되어 고정된 상태의 아웃트리거를 도 4의 상태로 축소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을역으로 수행하면 된다.The outrigger extended and fixed in this way can fix and support the vehicle 1 at a wider position, and can adjust the support distance of the vehicle 1 from the ground, so that the vehicle is overturned during work such as lifting and lowering heavy weights. The risk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reduce and restore the outrigger in the extended and fixed state to the state of FIG. 4, the operation may be reversed.
그리고 상기 아웃트리거의 위치 설정과 신장 및 축소는 차량(1)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positioning and extension and reduction of the outrigger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system connected to the vehicle (1).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는 하부구동체의 메인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아웃트리거가 장착된 슬라이드 박스를 결합 구성하여 차량의 전방 및 후방과 좌측 및 우측으로 아웃트리거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가변 조절할 수 있어 중량물을 승하강시키고 지지하는 크레인이나 텔레스코픽 핸들러 등의 중장비의 작업으로 차량의 전복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고, 보다 향상된 작업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The outrigger variable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slide box with the outrigger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frame of the lower drive body to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It can be adjuste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nd the operation of heavy equipment such as cranes and telescopic handlers for lifting and supporting heavy weights minimizes the risk of the vehicle overturning and secures an improved working rang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easily changed or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614U KR200354660Y1 (en) | 2004-03-19 | 2004-03-19 |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614U KR200354660Y1 (en) | 2004-03-19 | 2004-03-19 |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4660Y1 true KR200354660Y1 (en) | 2004-06-30 |
Family
ID=4934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76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4660Y1 (en) | 2004-03-19 | 2004-03-19 |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466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98729A (en) * | 2018-08-06 | 2018-11-13 | 中国铁建重工集团有限公司 | Arch installs trolley |
KR102174081B1 (en) | 2019-05-24 | 2020-11-04 | 주식회사 호룡 | outrigger driving device of a Industrial cars |
-
2004
- 2004-03-19 KR KR20-2004-0007614U patent/KR20035466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98729A (en) * | 2018-08-06 | 2018-11-13 | 中国铁建重工集团有限公司 | Arch installs trolley |
CN108798729B (en) * | 2018-08-06 | 2024-06-14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Arch frame mounting trolley |
KR102174081B1 (en) | 2019-05-24 | 2020-11-04 | 주식회사 호룡 | outrigger driving device of a Industrial ca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84317B2 (en) | Cable robot | |
KR20010050406A (en) | Retractable counterweight for straight boom aerial work platform | |
CN112682076A (en) | Tunnel arch center construction operation vehicle | |
US4363409A (en) |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
KR200354660Y1 (en) | Outrigger variable Apparatus of Vehicle for Industry | |
CN214366118U (en) | Tunnel arch center construction operation vehicle | |
JP3952800B2 (en) | Dock work unit | |
CN112978617A (en) | Manipulator with improved stabilizer | |
KR20160147109A (en) | Rear outrigger driving device of a boom vehicle | |
JP2003128392A (en) | Aerial work vehicle | |
JP3999697B2 (en) | Outrigger jack | |
JP4528688B2 (en) | Work vehicle | |
EP4506296A1 (en) | A self-erecting crane with bottom slewing | |
JP2612806B2 (en) | Traveling heavy object handling equipment | |
JPH0720151Y2 (en) | Aerial work vehicle | |
JP7208821B2 (en) | work vehicle | |
KR100379236B1 (en) | outrigger of crane | |
CA2076878A1 (en) | Mobile hydraulic building platform | |
GB2066189A (en) |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
JP2004189356A (en) | Telescopic boom | |
JP2003226492A (en) | Workbench horizontal control system for aerial work platforms | |
JP2002234699A (en) | Work vehicle | |
JP2002020095A (en) | High work equipment | |
JP2567983Y2 (en) | Vertical lifting aerial work vehicle | |
JP5267953B2 (en) |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31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06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3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6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