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3215Y1 -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 Google Patents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215Y1
KR200353215Y1 KR20-2004-0000428U KR20040000428U KR200353215Y1 KR 200353215 Y1 KR200353215 Y1 KR 200353215Y1 KR 20040000428 U KR20040000428 U KR 20040000428U KR 200353215 Y1 KR200353215 Y1 KR 20035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waybill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de
deliv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용
이용안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주)코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주)코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2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42D15/006Shipping forms

Landscapes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을 개시한 것으로, 해당 주소의 각 행정구역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역단위 주소에서 적어도 초기 두음절의 각 "두음자"를 부호화한 주소코드를 포함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서 물품을 배송지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Invo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tributary for delivery}
본 고안은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배서비스 등에서 물품을 배송지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운송장에 관한 것이다.
배송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물적유통활동은 인류의 경제활동자체의 일부로, 대량 생산 ·대량 판매 ·대량 소비가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커졌다. 이와같이 물적유통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물품을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송하는 배송 서비스도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었다.
상기 배송 서비스는 물품을 접수받는 과정, 접수받은 물품을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과정, 집하된 물품을 배송지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 각 물품을 배송지로 배송하는 과정 등 여러 과정으로 구성되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물품 배송 서비스의 각 과정에 대한 자동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를 위한 자동화 기술로는, "화물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된 특허 제10-2000-0052757호 등이 있으며, 상기 특허 출원된 기술은 화물의 배송시에 일정한 방식에 따라 운송 구간을 구분하고, 운송 구간별로 적절한 배송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함으로써, 배송지와 집하처간의 최단 경로를 통하여 화물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송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와같이 기술의 발달은 물품 배송 서비스의 자동화를 가져왔으며, 이에따라효율적이고 신속한 물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배송 서비스 중 배송할 물품을 배송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는 종래 기술을, 택배 서비스를 예로 들어 간략히 설명한다.
택배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택배업체에 연락하여 방문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택배업체의 지사중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지사의 직원이 상기 고객을 방문한다. 상기 직원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택배하고자 하는 물품을 인수받음과 함께 배송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배송정보로는 발송자 정보, 배송지 주소, 수취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택배업체의 직원은 상기 배송정보를 운송장 등에 기입한다.
도 1은 종래의 운송장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인식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운송장에 존재하는 OCR 인식영역에는 배송지 주소정보가 수기로 기입된다.
일반적으로, OCR 인식영역은 우편 번호 영역과 주소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편 번호 영역에는 우편번호를 직접 기입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주소 영역에는 행정구역 단위로 주소를 수기로 기입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된다.
그리고, 택배업체의 지점에서는 OCR 인식영역에 배송지 주소정보가 기입된 운송장 및 물품이 접수되면, 그 운송장을 해당 지점에 구비된 정보 처리 단말기에 삽입한다.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는 상기 운송장의 OCR 인식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인식하여 배송지 주소를 자동으로 판독하고, 그 검출된 배송지 주소를 토대로 해당 물품에 대한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여, 그 배송분류정보를 해당 택배업체의 서버로업로드한다.
상기 배송분류정보가 업로드된 물품은 집하장으로 이송되며, 상기 집하장에 구비된 단말기는 상기 집하장에 집하된 물품을 각 물품에 대한 배송분류정보를 토대로 배송지별로 분류하며, 이렇게 분류된 물품은 각기 해당되는 지사로 이송된다. 상기 각 지사는 담당구역으로 배송될 물품을 제공받아 배송정보를 참조하여 수취인에게 해당 물품을 배송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물품이 입고될 때마다 배송분류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OCR 인식 기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주소와 같이 자수가 많은 문자열은 OCR 인식 기술로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기된 한글의 인식율이 자당 90%라면, 통상 8자 이상인 주소의 경우에는 그 인식율이 43%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같이 주소의 인식율이 낮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우편번호와 주소를 병기토록 하여 인식율을 높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한글로 기재된 주소의 인식율이 낮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했다.
더욱이 우편번호와 주소를 병기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급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수기로 기입된 주소를 인식할 때에, 그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송분류정보 생성용 운송장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소와 같이 종류가 한정된 단어들을 코드화하여 그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두문자(頭文字) 또는 두문자와 모음으로 코드화함으로써, 코드화된 주소를 용이하게 기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송장의 OCR 인식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에서 주소코드를 기재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과 영문 자모로 각각 주소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 또는 영문형식으로 OC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영문형식으로 OC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영문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와 영문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으로 OCR부호화와 OMR부호화는 혼합형 부호화를 하는 경우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영문형식으로 OCR부호화와 OMR부호화는 혼합형 부호화를 하는 경우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운송장이 적용 가능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OC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을 이용하여 배송분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OM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을 이용하여 배송분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서버 102 : 데이터 베이스
1041~104N: 제1 내제 제N 지점용 단말기 200 : 제어부
202 : 인터페이스 204 : OMR 스캐너
206 : OCR 스캐너 208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10 : 입출력 인터페이스 212 : 입력장치
214 : 디스플레이 제어기 216 : 표시장치
218 : 메모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은 해당 주소의 각 행정구역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역단위 주소에서 적어도 초기 두음절의 각 "두음자"를 부호화한 주소코드를 포함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을 제공한다. 즉, 도/시", "시/군", "구/면/읍", "동/가/면/로/읍/리", "산", "번지"로 행정구역단위가 분류되어 있는 경우, 이들 행정 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에 해당하는 주소의 초기 두음절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것 만으로도 본 고안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행정구역 단위의 주소에서 초기 두음절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소코드는 수기로 기입된 OCR 형식 또는 항목을 선택하는 OMR 형식이고, 상기 두음자는 한글의 초성 자음 또는 영문의 첫번째 알파벳일 수 있으며, 상기 주소코드에는 번지에 대한 정보 또는 산에 대한 정보가 부가가능하다. 한편, 주소코드는 한글형식 또는 영문형식으로 OCR와 OMR가 혼합형 부호화되어 구성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두음자"의 적어도 하나는 그 다음의 음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두음절의 두음자로 구성된 주소코드인 경우, 첫째 음절의 두음자에 모음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둘째 음절의 두음자에 모음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첫째와 둘째 음절 모두에 모음을 각각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송장에는 주소를 수기로 입력하기 위한 주소기재영역이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주소는 상기 주소코드의 복호화 주소와 서로 비교되어 주소 확인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소코드의 각 행정구역단위는 시, 구, 동, 번지 단위로 기입되어 있거나, 시, 읍, 번지로 기입되어 있고, 상기 주소코드의 각 행정구역단위는 해당 우편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에서 주소코드를 기재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소코드는 시, 구, 동, 번지 단위로 기입되거나, 시, 읍, 번지로 기입될 수 있다. 즉, 주소가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337번지이면, 주소코드는 "ㅅ ㅇ"," ㅈ",: ㅅ ㅣ ㄷ ㅏ","377"로 기입될 수 있다. 그리고 주소가 경남 거제시 신현읍 고현리 500번지라면, 주소코드는 "ㄱ ㄴ","ㄱ ㅈ","ㅅ ㅣㅎ ㅕ","500"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도 또는 구/시 단위는 두음자가 중복되는 경우가 흔하지 않으므로 두음자만으로 주소코드를 구성하고, 동/읍은 두음자가 중복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두음자들 및 그 다음 모음들로 주소코드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주소코드는 배송분류정보에 대응되는 주소들에 각기 대응하므로, 상기 주소코드만 정확하게 판독해내면 우편번호에 대응되는 배송분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분류정보는 배송 서비스의 특성상, 실제 상세 주소는 배송담당자가 실제 수취자를 방문할 때에서야 필요하기 때문에, 배송담당단위를 나타내는 우편번호 수준으로만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도 4 및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한글과 영문 자모로 각각 주소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번지부는 번지와 호 등은 번지와 호를 부호화하느냐, 번지만을 부호화하느냐에 따라 용도와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우편번호 수준의 부호화할 경우이고 전자의 경우는 최종목적지까지 부호화할 경우이다. 번지부에는 '산'번지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번지부의 초두에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에서, 한글자모의 부호화를 한글형식으로 하는지 또는 영문형식으로 하는지 그리고 OCR 형식으로 하는지 OMR 형식으로 하는지에 따른 각 예들을 설명한다.
(OCR형식 부호화)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 또는 영문형식으로 OC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운송장에는 주소기재영역과 인식영역이 구비되어 있고, 기타 물품배송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이 기재가능하다. 인식영역은"도/시", "시/군", "구/면/읍", "동/가/면/로/읍/리", "산", "번지" 단위로 구성되고 수기로 작성가능한 주소 코드를 포함가능하다. 주소기재영역에 실제 기재되는 주소는 인식영역으로부터 인식된 주소와의 비교를 위해 구비되어 있 대응되는 주소를 입력하여 중복주소처리를 이행할 수 있다(322단계).
한글 형식으로 OCR부호화하는 경우, 문자영역에 해당 자모를 구분하여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영문형식으로 OCR부호화하는 경우, 한글의 영문화규칙에 따르되, 구분성을 높이기 위해 'ㄱ'과 'ㅋ'을 각각 'G'와 'K'로, 'ㄷ'과 'ㅌ'을 각각 'D'와 'T'로, 'ㅂ'과 'ㅍ '을 'B'와 'P'로 구분한다. 또 한글 초성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대응하는 영문부호가 없어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영문형식으로 OC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OMR형식 부호화)
한글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 용지의 크기의 제약을 고려해야하는 대신 다중 마킹이라는 이점이 있으므로 도 8과 같은 부호화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ㄱ" 및 "ㄲ" 은 "ㄱ"이, "ㄴ"은"ㄴ"이, "ㄷ" 및 "ㄸ"은 "ㄷ"이 대표하도록 하고 쌍자음은 모두 보통 자음으로 부호화한다. 'ㅘ', 'ㅙ', 'ㅝ', 'ㅞ','ㅟ', 'ㅚ', 'ㅢ'의 7개 모음은 외형상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모음의 조합으로 부호화된다. 이러한 방식은 기입 가능한 두문자 또는 모음을 유사성에 따라 대표화함으로서 주소코드의 기입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이며 인식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한글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영문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 한글 형식으로 OMR부호화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중 마킹을 통해서 구분성이 더 높은 부호화가 가능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중모음을 다수의 모음의 결합으로 부호화할 수도 있다. 즉, "ㅑ"는 "Y" 및 "A"가, "ㅠ"를 "Y" 및 "U"가 대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영문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운송장 작성예와 영문형식으로 OMR 부호화하는 경우의 문자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OCR부호화와 OMR부호화는 혼합형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은 한글형식으로 OCR부호화와 OMR부호화는 혼합형 부호화를 하는 경우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영문형식으로 OCR부호화와 OMR부호화는 혼합형 부호화를 하는 경우 운송장 작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번지와 건물명은 우편번호를 결정할 때 최종 인자이다. 그리고 번지 뒤에 호수가 붙으면 최종 목적지에 대응시킬 수 있으며, 건물명에 부속된 호수 혹은 부서명 등이 붙어도 최종 목적지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번지와 건물명을 어떻게 기입하는지는 대응 수준이 우편번호까지이냐, 최종 목적지까지이냐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편번호 수준과 최종 목적지 수준 모두를 적용할 수 있지만, 우편번호 수준의 부호화가 바람직하다.
번지의 부호화는 아라비아 숫자와 - 코드(호수를 표기할 경우)로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건물명은 그렇지 않다. 최종 목적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주소 기입에서, 건물명과 그에 속한 호수 또는 최종 목적지를 기입하는 것은 번지와 호수 기입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주요 건물의 경우에는 건물명만 쓰더라도 우편번호에 대응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건물명이나 그에 속한 최종 목적지를 기입하는 방법에는 변이가 많기 때문에 한글 또는 영문 자모로 일관적인 부호화하기가 힘들다.
예컨대 건물명의 경우, 교동 부영 아파트를 단지 부영 아파트라고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최종 목적지의 경우, 00동 000호라고 표현될 수도 있고, 00부서가 될 수도 있고, 00층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물명만 부호화하여 우편번호 수준의 대응만 한다 하더라도, 주소 기입자가 쓰려는 건물명이 우편번호가 부여된 건물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건물에 부여된 번지를 사전에 알아서 기입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번지를 생략하여 그 지역의 대표 우편번호에 대응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운송장이 적용 가능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100)는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내지 제N지점용단말기(1041~104N)로부터 물품 및 물품에 대한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102)에 등록하고, 등록된 물품 및 물품에 대한 배송분류정보를 이용하여 집하장에 집하된 물품을 분류하여 해당 지점으로 이송토록 안내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02)는 상기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배송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지점용 단말기(1041~104N)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물품에 대한 운송장이 삽입되면, 그 운송장을 스캔하여 배송분류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배송분류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지점용 단말기(1041~104N)는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기 제1 내지 제N지점용 단말기(1041~104N)중 어느 하나의 구성 및 동작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점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상기 지점용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OMR 스캐너(204) 또는 OCR 스캐너(206)가 제공하는 스캔 데이터로부터 배송분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배송분류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202)는 OMR 스캐너(204) 또는 OCR 스캐너(206)와 상기 제어부(200)간을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OMR 스캐너(204)는 운송장이 삽입되면, 그 운송장의 OMR 인식영역 및 주소기재영역을 스캔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OCR 스캐너(206)는 운송장이 삽입되면, 그 운송장의 OCR 인식영역 및 주소기재영역을 스캔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OMR 스캐너(204)와 OCR 스캐너(206)는 해당 지점의 사용환경에 따라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는 인터넷 또는 전용 네트워크 등을 통해 상기 서버(100)와 상기 제어부(20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장치(212)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으로, 지점의 직원이 입력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제어부(200)와 입력장치(212)간을 인터페이스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표시장치(216)에 표시한다.
메모리부(218)는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218)는 두문자 및 두문자와 모음으로 이루어진 주소코드들에 각각 대응되는 실제주소들로 이루어진 제1테이블과, 상기 실제주소들에 각기 대응되는 우편번호들로 이루어진 제2테이블, 주소코드는 상이하나 실제주소는 서로 상이한 주소들에 대한 정보인 중복주소정보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OC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을 이용하여 배송분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점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배송이 의뢰되어 주소기재영역 및 OC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이 OCR 스캐너(206)로 삽입되는지를 체크한다(300단계). 여기서, 상기 운송장에는 주소기재영역과 OCR 인식영역이 구비된다. 상기 주소기재영역에는 수취인까지의 상세주소가 기입된다. 그리고 상기 OCR 인식영역은 "도/시", "시/군", "구/면/읍", "동/가/면/로/읍/리", "산", "번지" 단위의 기입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에는 두문자 또는 두문자 및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주소코드가 기입된다. 특히 상기 "산"은 번지 앞에 산이 기재되는 주소를 표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주소기재영역에 수취인까지의 상세주소가 기입되고 OCR 인식영역에 주소코드가 기입된 운송장이 삽입되면, 상기 OCR 스캐너(206)는 그 운송장에 구비된 OCR 인식영역 및 주소기재영역을 스캔하고, 그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304단계). 상기 제어부(200)는 스캔된 데이터 중 주소기재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는 메모리부(218)에 저장한다(306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캔된 데이터 중 OCR 인식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주소코드를 판독한다(308단계). 제어부(200)는 메모리부(218)에 구비된 제1테이블에 상기 판독된 주소코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주소코드가 오류인지 판단한다(310단계). 주소코드가 오류가 아니면, 제어부(200)는 메모리부(218)에 구비된 제1테이블을 참조하여 주소코드에 대응되는 주소를 추출한다(316단계).
주소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중복주소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소가 미리 정해진 중복주소인지를 체크한다(318단계). 중복주소 체크를 위한 구체적인 예로, 미리 실제 주소 이미지를 추출해 두었다가 중복 복호화가 발생할 경우, 인간 작업자에게 해당하는 실제 주소 이미지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부호화를 했을 때, 주소부 코드와 실제 주소가 1:1 대응을 이루지못하고 그 대응비가 약 0.99 : 1(23677 : 23852)로 계산되었다. 이는 상당수의 중복주소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추출한 주소가 중복주소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18)에 구비된 제2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주소에 해당되는 우편번호를 추출한다(324단계).
상기 우편번호의 추출후에, 상기 제어부(200)는 해당 물품에 대한 배송분류정보로서 상기 추출된 우편번호를 등록하고(326단계), 그 배송분류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328단계).
만일,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판독된 주소코드가 상기 제1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표시장치(216)에 주소기재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주소코드의 수정을 안내한다(312단계). 상기 안내에 따라 상기 지점의 직원은 상기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를 보고 새로운 주소코드를 입력하여 주소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314단계).
또한, 상기 318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주소가 중복주소이면, 상기 제어부(200)는 표시장치(216)에 주소기재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중복주소 처리를 안내한다(320단계). 상기 안내에 따라 상기 지점의 직원은 상기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를 입력하여 중복주소처리를 이행할 수 있다(322단계). 여기서 상기 중복주소처리는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편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OM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을 이용하여 배송분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점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배송이 의뢰되어 주소기재영역 및 OMR 인식영역이 구비된 운송장이 OMR 스캐너(204)로 삽입되는지를 체크한다(400단계). 여기서, 상기 운송장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소기재영역과 OMR 인식영역이 구비된다. 상기 주소기재영역에는 수취인까지의 상세주소가 기입된다. 그리고 상기 OMR 인식영역은 "도/시", "시/군", "구/면/읍", "동/가/면/로/읍/리", "산", "번지" 단위로 구성되며, 각 영역에는 두문자 또는 두문자 및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선택항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산"은 번지 앞에 산이 기재되는 주소를 표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주소를 두문자 또는 두문자 및 모음으로만 구성되므로 상기 OMR 인식영역의 선택항목은 대폭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같이, 주소기재영역에 수취인까지의 상세주소가 기입되고 OMR 인식영역에 주소코드가 선택된 운송장이 삽입되면, 상기 OMR 스캐너(204)는 그 운송장에 구비된 OMR 인식영역 및 주소기재영역을 스캔하고, 그 스캔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404단계). 상기 제어부(200)는 스캔된 데이터 중 주소기재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는 메모리부(218)에 저장한다(406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캔된 데이터 중 OMR 인식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주소코드를 판독한다(408단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18)에 구비된 제1테이블을 참조하여 주소코드에 대응되는 주소를 추출한다(410단계). 상기 주소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중복주소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소가 미리 정해진 중복주소인지를 체크한다(412단계).
상기 추출한 주소가 중복주소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18)에 구비된 제2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주소에 해당되는 우편번호를 추출한다(418단계).
상기 우편번호의 추출후에, 상기 제어부(200)는 해당 물품에 대한 배송분류정보로서 상기 추출된 우편번호를 등록하고(420단계), 그 배송분류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422단계).
만일,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주소가 중복주소이면, 상기 제어부(200)는 표시장치(216)에 주소기재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중복주소 처리를 안내한다(414단계). 상기 안내에 따라 상기 지점의 직원은 상기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를 입력하여 중복주소처리를 이행할 수 있다(414,416단계). 여기서 상기 중복주소처리는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편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OMR의 경우에는 OCR에 비해 마크 당 거의 100%에 달하는 인식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오작업 수정 작업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수기로 기입된 주소를 인식할 때에, 그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소와 같이 종류가 한정된 단어들을 코드화하여 그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소의 코드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토록 하기 위해 주소를 두문자(頭文字) 또는 두문자와 모음으로 코드화함으로써, 코드화된 주소의 기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에 있어서,
    해당 주소의 각 행정구역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역단위 주소에서 적어도 초기 두음절의 각 "두음자"를 부호화하여 자동인식 가능하도록 한 주소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는 수기로 기입된 OCR 형식 또는 항목을 선택하는 OMR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음자는 한글의 초성 자음 또는 영문의 첫번째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에는,
    번지에 대한 정보 또는 산에 대한 정보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주소를 수기로 입력하기 위한 주소기재영역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기재영역에 기재된 주소는 상기 주소코드의 복호화 주소와 서로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의 각 행정구역단위는 시, 구, 동, 번지 단위로 기입되어 있거나, 도, 시, 읍, 번지로 기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의 각 행정구역단위는 해당 우편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는 한글형식 또는 영문형식으로 OCR와 OMR가 혼합형 부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두음자"의 적어도 하나는 그 다음의 음자를 추가로 포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2004-0000428U 2004-01-08 2004-01-08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Ceased KR20035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28U KR200353215Y1 (ko) 2004-01-08 2004-01-08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28U KR200353215Y1 (ko) 2004-01-08 2004-01-08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49A Division KR101025227B1 (ko) 2003-12-31 2003-12-31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215Y1 true KR200353215Y1 (ko) 2004-06-22

Family

ID=4934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28U Ceased KR200353215Y1 (ko) 2004-01-08 2004-01-08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9920B2 (ja) フォーム自動埋込方法及び装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968145B2 (ja) 高度なデータ収集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2707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data from machine-readable documents
KR100524477B1 (ko) 우편물 분배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235125B (zh) 包含多语言编码数据的可索引数据库简档及其生成方法
JPH05307638A (ja) ビットマップ・イメージ・ドキュメントのコード化データへの変換方法
US9558295B2 (en) System for data extraction and processing
JP2004533069A (ja) 住所を1つより多くの言語で自動的に読み取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205637B1 (ko) 주소 약칭 운송장
CN113536782A (zh) 敏感词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013883B1 (ko) 배송분류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그에 따른 운송장
KR101025227B1 (ko)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KR200353215Y1 (ko)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KR100571080B1 (ko) 문서 인식 장치 및 우편 구분기
KR200343603Y1 (ko) 배송분류정보 장치, 그에 따른 운송장
JP3201207B2 (ja) 住所読取装置及び方法
Nagy Document image analysis: Automated performance evaluation
KR20010063882A (ko) 우편물 배달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6124366A (ja) 住所読取装置
CN113947510A (zh) 一种基于文件格式自适应的不动产电子证照管理系统
JP3162552B2 (ja) 郵便物あて名認識装置及びあて名認識方法
Abudena Proposal to encode Quranic marks used in Quran published in Libya
JPH10328624A (ja) 文書理解装置および郵便区分機
KR20170070719A (ko) 집배구코드 기반의 도착구분계획을 위한 방법
JP2880387B2 (ja) Ocr住所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404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1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