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2744Y1 -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 Google Patents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744Y1
KR200352744Y1 KR20-2004-0006184U KR20040006184U KR200352744Y1 KR 200352744 Y1 KR200352744 Y1 KR 200352744Y1 KR 20040006184 U KR20040006184 U KR 20040006184U KR 200352744 Y1 KR200352744 Y1 KR 200352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bottle
auxiliary
spa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여표
박정오
Original Assignee
박정오
박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오, 박여표 filed Critical 박정오
Priority to KR20-2004-0006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수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수통 상단에 음료 주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음료 배출구와 연통된 보조수통을 수통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액이나 이물질이 수통 내부에 유입되어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음료 유입구가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와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기 음료 유입구와 이격되도록 일측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보조수통이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보조수통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연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Portable water bottle}
본 고안은 휴대용 수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수통 상단에 음료 주입구와 이격된 채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보조수통을 수통 상부에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량의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액이나 이물질이 수통 내부에 유입되어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시에는 음료를 순간마다 직접적으로 공급받기 어려워 각 개인들은 일정량의 음료를 휴대용 수통에 충진한 후 이동하게 된다. 통상적인 수통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부로 음료유출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음료유출구에는 캡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시 마다 캡을 음료유출구에서 분리한 후 음료를 섭취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수통은 최근,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위생을 고려하여 기능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상기 휴대용 수통에 누수차단 기능을 갖는 마개를 별도로 제공하여 음료유출구에 설치하거나, 음료가 몸체에 충진됨과 동시에 정수되도록 필터를 설치하게 되는 등 소비자의 건강과 욕구에 부합하도록 제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수통에 충진된 음료를 사용자가 음료유출구에 구강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섭취하게 되면, 휴대용 수통에 별도의 마개나 필터를 설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체액(침,음식찌꺼기 등)이 음료유출구를 통해 수통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체액이 수통에 충진된 음료와 함께 혼합되어 쉽게 음료가 부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음료의 부패는 캠핑이나 야외활동 등이 주로 이루어지는 여름철에 더욱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고온 다습한 장소에서 여러번에 걸쳐 음료를 섭취한 후에는 사용자의 구강내에 있는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들이 음료유출구를 통해 음료와 혼합되며, 혼합된 세균들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점차 음료를 부패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음료를 섭취하지 않고 음료유출구를 밀봉시킨 상태에서는 수통 내부에서 세균들의 번식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며, 충진된 음료를 버리지 않고 사용자가 무심코 이를 섭취하게 되면,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평소 성인 보다 많은 양의 체액을 분비하는 유아들은 휴대용 수통에 충진된 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음료유출구를 통해 다량의 체액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음료의 부패가 더욱 급진전하여 성인 보다 상대적으로 면역성이 작은 유아들에게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수통 상단에 음료 주입구와 이격된 채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보조수통을 수통 상부에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액이나 이물질이 수통 내부에 유입되면서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간부에 삽입되는 정수부재를 통해 보다 깨끗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공간부, 14: 음료 유입구, 14a: 나사산, 15: 음료 배출구, 15a: 나사산, 17: 경계부, 19: 연결관, 20: 보조수통, 22: 미세에어홀, 24: 눈금, 30: 정수부재, 50: 캡, 50a: 나사산, 100: 수통, W: 음료.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음료 유입구가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와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기 음료 유입구와 이격되도록 일측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보조수통이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보조수통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연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연결관은 하단이 공간부 하측과 연결되고, 그 상단은 보조수통 상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수통의 외면에는 최종 음료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100)은 내부에 음료(W)를 수용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어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필름재로 성형된 것으로, 내부에 음료(W)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12)와 연통된 몸체(10)의 상측에는 외면에 나사산(14a)(15a)이 형성된 음료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유입구(14)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유입구(14)와 분리되게 구성되며 음료 배출구(15)가 상측에 형성된 보조수통(20)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음료 유입구(14)와 음료 배출구(15)는 몸체(10) 중심에서 상측으로경계부(17)를 중심으로 분할 구획된다.
상기 몸체의 공간부(12)는 음료 유입구(14)와는 직접적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 배출구(15)는 경계부(17)에 의해 구획되어 공간부(12) 일측과 직접적으로 연통되지 못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 배출구(15)를 공간부(12)와 연통시켜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몸체(10) 일측에 공간부(12) 하측과 연통된 연결관(19)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19) 상단에는 음료 배출구(15)와 연통된 보조수통(20)을 형성하여 몸체의 공간부(12)에 충진되는 음료(W)를 연결관(19)을 통해 보조수통(20)에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조수통(20)에 공급된 음료(W)를 음료 배출구(15)를 통해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수통(20)은 몸체의 공간부(12) 보다 적은 크기를 유지하며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충진되는 음료(W)의 양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24)이 형성된다. 이같은 눈금(24)은 최종적으로 마시고자 하는 음료의 량을 계량하고 표시하는 것으로서, 충진되는 내용물이 음료 또는 약물일때 바람직한 측정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눈금(24)의 단위는 ㎖단위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수통(20)과 몸체(10)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연결관(19)은 그 직경이 몸체(10)를 기울인 상태에서 보조수통(20)에 충진된 음료가 역류하여 몸체(10)에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세관으로 형성되며, 연결관(19)의 직경은 0.5mm~2mm 이내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19)의 직경은 0.5mm 보다 작은 관으로 형성될 경우, 몸체(10)에 충진된 음료를 보조수통(20)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소량의 음료(W)를 여러번에 걸쳐 보조수통(20)으로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연결관(19)의 직경이 2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몸체(10)가 기울어질 경우 보조수통(20)에 충진되는 음료(W)가 연결관(19)을 통해 몸체(10) 내부로 쉽게 역류할 수 있어 2mm 이하의 직경으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충진된 음료(W)가 음료 유입구(14)를 통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음료 유입구(14)에는 내주면에 나사산(50a)이 형성된 캡(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50)은 비사용시 음료 유입구(14)와 배출구(15)에 각각 체결되어 음료(W)의 누수를 방지하며, 음료(W)를 섭취시에는 음료 배출구(15)에 결합된 캡(50)을 분리한 후 구강을 음료 배출구(1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기울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음료(W)의 섭취시 음료 유입구(14)에 캡(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섭취하게 될 경우에는 수통(100) 내부와 외부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음료 배출구(15)로 유출되는 음료(W)의 배출 속도가 저하되어 사용시 마다 음료 유입구(14)에 결합된 캡(50)을 열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 배출구(15)와 인접한 보조수통(20) 상측에 미세 에어홀(22)을 천공함으로써, 수통(100)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를 제거하여 음료 유입구(14)에 캡(50)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공간부(12)에 충진된 음료(W)를 원할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미세 에어홀(22)은 공기의 이동은 가능하면서 수막현상에 의해 미세에어홀(22)을 통하여 음료(W)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크기로 천공된다.
상기한 미세 에어홀(22)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되지는 아니한다. 왜냐하면, 보조수통(20)으로 옮기어진 음료(W)를 마시기 위해서는 보조수통(20)의 음료 배출구(15) 개방이 필연적이며, 따라서 음료 배출구(15)의 부분적인 개방을 통해서도 그 역활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사용자가 몸체(10)에 충진된 음료(W)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캡(50)이 음료 유입구(14)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를 잡고 몸체(10)의 외면을 눌러 공간부(12)에 충진된 음료(W)를 섭취하고자 하는 양만큼 연결관(19)을 통해 보조수통(2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수통(20)에 일정량의 음료가 충진되면, 사용자는 음료 배출구(15)에 구강을 접촉한 상태에서 보조수통(20)에 충진된 음료(W)를 섭취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미세에어홀(22)이 보조수통(20)과 외부가 연통되게 천공되어 있어 수통(100) 내외의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보조수통(20)에 충진된 음료(W)는 원할하게 음료 배출구(15)를 통해 유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음료(W)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액이 음료 배출구(15)를 통해 공간부(12)에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게됨으로써, 매우 위생적으로 음료(W)를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음료(W) 섭취가 끝난 후에는 음료 배출구(15)에 캡(50)을 결합하여 더이상의 음료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수통(20) 외면에 형성된 눈금(24)은 몸체 내부에 물약을 충진시켜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눈금(24)을 보고 정량으로 섭취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는 몸체의 공간부(12)에 유입되는 음료(W)를 정수시킬 수 있도록 정수부재(30)가 삽입된다. 상기 정수부재(30)는 바람직하게 세라믹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라믹볼 이외에도 정수기능을 갖는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정수부재(30)는 음료 유입구(14)를 통해 복수개 삽입된다.
상기 정수부재(30)의 크기는 음료 유입구(14)를 통해 원할하게 공간부(12)로 삽입되지만, 연결관(19)을 통해서는 이동되지 않는 크기로 제조되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몸체의 공간부(12)에 정수부재(30)를 삽입하게 되면, 수통(100)이 거꾸로 뒤집어지거나 심하게 기울어져 보조수통(20)에 충진된 음료(W)가 공간부(12)로 소량 유입되더라도 정수부재(30)가 이물질이 포함된 음료를 정수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청결한 상태의 음료(W)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은 휴대용 수통 상단에 음료 주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음료 배출구와 연통된 보조수통을 수통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액이나 이물질이 수통 내부에 유입되면서 충진된 음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공간부에 삽입되는 정수부재를 통해 보다 깨끗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3)

  1.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음료 유입구가 형성된 휴대용 수통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와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기 음료 유입구와 이격되도록 일측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보조수통이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보조수통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연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하단이 공간부 하측과 연결되고, 그 상단은 보조수통 상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통의 외면에는 최종 음료할 양을 표시하도록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KR20-2004-0006184U 2004-03-08 2004-03-08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KR200352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84U KR200352744Y1 (ko) 2004-03-08 2004-03-08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84U KR200352744Y1 (ko) 2004-03-08 2004-03-08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744Y1 true KR200352744Y1 (ko) 2004-06-07

Family

ID=4943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84U KR200352744Y1 (ko) 2004-03-08 2004-03-08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7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633B2 (en)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US7331478B2 (en) Dual chamber nursery bottle
US5897007A (en) Nursing bottle
US20100084290A1 (en) Hands free hydration system
US10138034B2 (en) Singular cap compound vented nursing and related bottle
US20140014571A1 (en) Sports bottle top with axial flow filter devic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US7219811B2 (en) Baby feeding bottle with draw tube
KR20150105565A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10137059B2 (en) Nursing bottle with integrated collar and nipple flange venting structure
MX2012007779A (es) Botella para beber con compartimientos multiples y ampollas reemplazables.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KR200352744Y1 (ko) 보조수통이 형성된 휴대용 수통
CN201849809U (zh) 能够避免内装液体与空气接触的密闭容器
US7604137B1 (en) Dispensing receptacle for dispensing two liquids in series
KR200484185Y1 (ko) 젖병
CN220350557U (zh) 一种饮品容器套件
CN201004903Y (zh) 家禽用饮水器的过滤装置
CN103086066B (zh) 具有内芯结构的饮料瓶盖
KR100511386B1 (ko) 공기 흡입 통로가 제공된 유아용 우유병
CN201492198U (zh) 杯子
TW201932377A (zh) 無菌飲料容器瓶蓋
KR200351905Y1 (ko) 정수부재가 삽입된 애완동물용 수통
KR200353875Y1 (ko) 이유식 수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3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3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