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0594Y1 - 옥수수 구이기 - Google Patents

옥수수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94Y1
KR200350594Y1 KR20-2004-0004977U KR20040004977U KR200350594Y1 KR 200350594 Y1 KR200350594 Y1 KR 200350594Y1 KR 20040004977 U KR20040004977 U KR 20040004977U KR 200350594 Y1 KR200350594 Y1 KR 200350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rotating
rotating plate
ske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권
Original Assignee
서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권 filed Critical 서태권
Priority to KR20-2004-0004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수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일일이 옥수수를 뒤집어 굽는 작업없이 일시에 여러개의 옥수수를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한 옥수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이기 본체(1)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부에 다수의 옥수수 꼬치(21)가 방사선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을 하부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판(2)과 구동부(3)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2)의 옥수수 꼬치(21)를 자전되게 하는 전동부(4)와; 상기 구동부(3)와 전동부(4)에 의하여 공전과 자전을 하는 옥수수 꼬치(21)를 하부에서 가열하는 발열부(5)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생산성 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옥수수 구이기{A corn roast machine}
본 고안은 옥수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일일이 옥수수를 뒤집어 굽는 작업없이 일시에 여러개의 옥수수를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한 옥수수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래식 옥수수 구이방법은 노상의 리어커에 설치된 연탄불이나 가스버너 위에 석쇠를 올려 놓고 직접 옥수수를 굽는 직화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좀더 부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집게를 이용하거나 장갑을 낀 손으로 직접 옥수수를 뒤집어 가면서 굽게 되는 것으로서, 우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에 직접 굽는 직화식으로 되어 있어 옥수수가 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작업자는 항상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생산성 면에서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자가 일일이 옥수수를 뒤집어 굽는 작업없이 일시에 여러개의 옥수수를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옥수수를 간접 가열방식으로 구워지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간접 가열방식으로 구워지는 옥수수를 시간의 설정에 의하여 작업자없이 적절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옥수수 꼬치가 구이기로부터 착탈되게 함으로써 여러개의 옥수수 꼬치에 일괄적으로 옥수수를 꽂아 장착하는 작업과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이기 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부에 다수의 옥수수 꼬치가 방사선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하부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판과 구동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의 옥수수 꼬치를 자전되게 하는 전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동부에 의하여 공전과 자전을 하는 옥수수 꼬치를 하부에서 가열하는 발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수 구이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이기 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대의 내부에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하부지지대의 상부측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판의 중앙부에 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부는 구동부의 상면에 비교적 직경이 큰 링 형태로 베벨 고정기어가 형성되고, 옥수수 꼬치의 후방측에는 상기 베벨 고정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베벨 회전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전원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망체와; 상기 하부 지지망체의 상부측에 놓여지는 석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 및 발열부와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가 구이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벨 회전기어의 일측 중심의 수평방향으로 전동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판의 저면부 외곽의 단부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전동축의 선단에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삽입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옥수수 꼬치의 후방측에는 상기 삽입관부와 동일 형상을 이루며 삽입관부에 삽입 고정되는 꼬치 지지구가 일체로 형성된 착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옥수수 꼬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이기 본체
2:회전판
21:옥수수 꼬치 22:지지돌부
3:구동부
31:하부지지대 32:구동모터
33:구동축 34:축공
4:전동부
41:베벨 고정기어 42:베벨 회전기어
5:발열부
51:전기히터 52:지지망체
53:석판
6:착탈부
61:전동축 62:지지편
63:삽입관부 64:꼬치 지지구
7:타이머 8:베어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큰 직경의 원통체로 형성된 구이기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기 본체(1)의 중앙부에는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을 하부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부(3)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2)은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다수의 옥수수 꼬치(21)가 방사선 형태를 이루며 지지편(6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부가 막혀지고 속이 빈 원통체로 된 하부지지대(31)가 구이기 본체(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지지대(31)의 내부에는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미도시됨)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축(33)은 구동부(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축(33)에 회전판(2)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2)이 구동축(33)에 의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과 구동부(3)의 사이에는 회전판(2)의 회전에 의하여 옥수수 꼬치(21)를 자전되게 하는 전동부(4)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부(4)는 하부지지대(31)의 상면에 비교적 직경이 큰 링 형태로 된 베벨 고정기어(41)가 형성되고, 회전판(2)의 각 옥수수 꼬치(21)의 후방측에는 상기 베벨 고정기어(41)에 치합되는 베벨 회전기어(42)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2)의 저면부 중앙에는 베벨 고정기어(41)의 내경에 상응하는 원통체로 된 지지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부(22)의 중심에 구동축(33)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축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함께 구이기 본체(1)에는 옥수수 꼬치(21)에 끼워진 옥수수(100)를 하부에서 간접 가열방식에 의하여 가열하는 발열부(5)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열부(5)는 전기히터(51)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히터(51)의 상부측에 지지망체(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망체(52)의 상부측에 석판(53)이 놓여진다.
상기 석판(53)의 재질은 맥반석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맥반석은 옥이나 게르마늄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전기히터(51)의 대신에 가스버너를 적용하여도 무관하다.
한편, 구이기 본체(1)의 외측에는 타이머(7)가 장착되어 상기 타이머(7)의 작동에 의하여 전기히터(51) 및 구동부(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설정된 시간동안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타이머(7)는 온/오프스위치(8)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온/오프스위치(8)를 조작에 의하여 온(ON)시키게 되면, 구동부(3)의 구동모터(32)와 발열부(5)의 전기히터(5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구동모터(32)는 감속된 상태로 구동축(33)을 회전시키게 되며, 전기히터(51)는 발열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된 회전판(2)이 회전하게 되고, 옥수수 꼬치(21)의 베벨 회전기어(42)는 하부지지대(31)의 베벨 고정기어(41)에 의하여 자전하게 됨으로써 옥수수(100)를 포함한 옥수수 꼬치(21)는 공전과 자전을 동시에 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판(2)은 베벨 고정기어(41)의 내부에 삽입된 저면부 중앙의 지지돌부(22)에 의하여 회전의 중심이 잡힌 안정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열부(5)의 전기히터(51)로부터 발생된 열은 지지망체(52)를 통과하여 상기 지지망체(52)에 의하여 하부가 지지되는 맥반석 재질의 석판(53)으로 전달되어 상기 석판(53)을 뜨겁게 달구게 되고, 상기 석판(53)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옥수수(100)가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9는 지지편(62)의 옥수수 꼬치(21)와 회전판(2)의 구동축(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의 착탈부(6)에 의하면, 본 고안의 옥수수 꼬치(21)는 회전판(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옥수수 꼬치(21)를 2분할하여 지지편(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을 전동축(61)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축(61)의 선단에는 사각관체 형태로 삽입관부(6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된 옥수수 꼬치(21)의 후단부에 상기 삽입관부(63)와 동일 형상으로 이루면서 삽입 고정되는 꼬치 지지구(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착탈부(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수수 꼬치(21)의 꼬치 지지구(64)를 전동축(61)의 삽입관부(63)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이 착탈부(6)에 의하여 본 고안은 일 실시예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옥수수를 구이기 본체(1)의 회전판(2)에 일체로 구비된 옥수수 꼬치(21)에 직접 끼우거나 빼내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일일이 옥수수를 뒤집어 굽는 작업없이 일시에 여러개의 옥수수를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생산성 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옥수수를 간접 가열방식으로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옥수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고루 충분히 구워지게 되어 보다 맛있는 옥수수 구이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면서 간접 가열방식으로 구워지는 옥수수를 시간의 설정에 의하여 작업자없이 적절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른 작업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간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옥수수 꼬치가 구이기로부터 착탈되게 함으로써 여러개의 옥수수 꼬치에 일괄적으로 옥수수를 꽂아 장착하는 작업과 청소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 및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6)

  1. 구이기 본체(1)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부에 다수의 옥수수 꼬치(21)가 방사선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을 하부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판(2)과 구동부(3)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2)의 옥수수 꼬치(21)를 자전되게 하는 전동부(4)와;
    상기 구동부(3)와 전동부(4)에 의하여 공전과 자전을 하는 옥수수 꼬치(21)를 하부에서 가열하는 발열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수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는 구이기 본체(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대(31)의 내부에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32)가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축(33)이 하부지지대(31)의 상부측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판(2)의 중앙부에 축공(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구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4)는 구동부(3)의 상면에 비교적 직경이 큰 링 형태로 베벨 고정기어(41)가 형성되고, 옥수수 꼬치(21)의 후방측에는 상기 베벨 고정기어(41)에 치합되어 구동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베벨 회전기어(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옥수수 구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5)는 전원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51)와;
    상기 전기히터(5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망체(52)와;
    상기 하부 지지망체(52)의 상부측에 놓여지는 석판(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수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 및 발열부(5)와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7)가 구이기 본체(1)의 외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수 구이기.
  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회전기어(42)의 일측 중심의 수평방향으로 전동축(61)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판(2)의 저면부 외곽의 단부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62)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전동축(61)의 선단에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삽입관부(63)가 일체로 형성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옥수수 꼬치(21)의 후방측에는 상기 삽입관부(63)와 동일 형상을 이루며 삽입관부(63)에 삽입 고정되는 꼬치 지지구(64)가 일체로 형성된 착탈부(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수수 구이기.
KR20-2004-0004977U 2004-02-25 2004-02-25 옥수수 구이기 KR200350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77U KR200350594Y1 (ko) 2004-02-25 2004-02-25 옥수수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77U KR200350594Y1 (ko) 2004-02-25 2004-02-25 옥수수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94Y1 true KR200350594Y1 (ko) 2004-05-13

Family

ID=4943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77U KR200350594Y1 (ko) 2004-02-25 2004-02-25 옥수수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8881B1 (en) Infrared heating cooker
KR200466194Y1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582180B1 (ko) 근적외선 초벌구이기
KR101880229B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KR200350594Y1 (ko) 옥수수 구이기
KR100878783B1 (ko) 전기 숯불 구이기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CN211155283U (zh) 一种烤箱
KR102235955B1 (ko)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20150028864A (ko) 회전구이기
JP3821818B2 (ja) 焼き網の焦げ除去装置
KR20170136102A (ko) 전기 구이기
KR102250515B1 (ko) 자동 꼬치구이장치
KR101541709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드럼식 조리장치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101910557B1 (ko) 회전식 맥반석 구이기
TWM493267U (zh) 遠紅外線烘培機
KR200423312Y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2682880B1 (ko) 회전 원통형 구이장치
KR200474910Y1 (ko) 회전 구이기
KR20110008030U (ko) 회전형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2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2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