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9923Y1 - 귀마개 - Google Patents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23Y1
KR200349923Y1 KR20-2004-0002434U KR20040002434U KR200349923Y1 KR 200349923 Y1 KR200349923 Y1 KR 200349923Y1 KR 20040002434 U KR20040002434 U KR 20040002434U KR 200349923 Y1 KR200349923 Y1 KR 200349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ar
cover
length
control kno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
Original Assignee
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filed Critical 김신
Priority to KR20-2004-0002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ngula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7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조의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귀덮개와, 상기 연결간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수단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은 내측에 일정부분 랙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간이 삽입되도록 몸체 양측에는 삽입공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으로는 삽입되는 연결간에 구비되어 있는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된 조절구가 축지지되며, 상기 조절구에는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노브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과 같이 장시간 사용시 발생되는 머리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다른 머리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길이 조절이 편리하게 되는 등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귀덮개의 각도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위치로 착용 가능하게 되는 귀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귀마개{Ear warmer}
본 고안은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귀덮개를 연결하기 위한 한조의 연결간을 외부에 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구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귀덮개 부분을 회전하여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얼굴크기에 따라 적절한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마개는 동절기에 방한용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대게 귀를 덮는 한조의 귀덮개와 상기 귀덮개를 연결하는 합성수지재의 연결간 또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간이나 고무밴드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귀덮개에 의해 귀를 덮어 보온하도록 사용한다.
그러나, 연결간에 의해 한조의 귀덮개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귀덮개와 연결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미착용시 이를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또한 사용자마다 다른 머리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 구매되어야 한다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고무밴드로 한조의 귀덮개를 연결하는 경우는 귀덮개를 고무밴드로 연결하기 때문에 이를 간편하게 휴대, 착용할 수는 있으나, 착용시 고무밴드가 머리를 압박하게 되어 장시간 착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226271호와 같이 길이조절은 물론, 귀덮개를 회전하여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귀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귀마개에 관한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귀마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귀마개의 연결간과 귀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귀마개는 귀덮개(100)가 구비된 한조의 연결간(200)과, 상기 연결간(200)의 내측 단부에는 조립공(310)을 갖는 지지구(300)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구(300)의 내부에는 지지돌기(32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320)가 걸리도록 상기 지지돌기(320)의 대향면측 연결간(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22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20) 사이 사이에 지지돌기(32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걸리도록 구성하여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200)의 외측 끝단에는 걸림돌기(210)를 형성하고, 상기걸림돌기(210)가 결합되도록 귀덮개(100)에는 걸림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간(200)과 귀덮개(100)를 힌지(230) 결합하는 것에 의해 회전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귀마개는 길이 조절시 사용자가 한조의 연결간(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그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인바, 이는 사용자의 힘에 의존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길이를 조절하게 되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귀마개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조의 연결간을 외부에 설치된 조절구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 귀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귀덮개 부분을 회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미사용시에는 간편하게 휴대토록 함은 물론, 덮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귀와 더욱 밀접시켜 사용할 수 있는 귀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귀마개의 연결간과 귀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의 커버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구성중 길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연결간과 귀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귀덮개부분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귀마개 10 - 귀덮개
11 - 걸림홈 20,20' - 연결간
21,21' - 랙기어부 22 - 힌지
23 - 고정돌기 24,24' - 요철부
30 - 길이조절수단 31 - 몸체
32 - 삽입공 33 - 피니언기어부
34 - 조절구 35 - 조절노브
36 - 스토퍼
이러한 본 고안은 한조의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귀덮개와, 상기 연결간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길이 조절수단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은 내측에 일정부분 랙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간이 삽입되도록 몸체 양측에는 삽입공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으로는 삽입되는 연결간에 구비되어 있는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된 조절구가 축지지되며, 상기 조절구에는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노브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조절노브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연결간이 임의대로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간에는 외측 끝단 하부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귀덮개의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홈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귀마개의 커버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구성중 길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연결간과 귀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귀덮개부분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A)는 크게 귀덮개(1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한조의 연결간(20)(20')과, 상기 한조의 연결간(20)(2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간(20)(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수단(30) 및 상기 구성품들을 감싸는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조의 연결간(20)(20')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가 결합되어 반원형의 형태를 갖으며 결합되는 것인바, 이때 상기 연결간(20)(20')의 내측단부에는 후술될 길이조절수단(30)과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부분 랙기어부(21)(21')가 형성되고, 랙기어부(21)(21')가 구비된 연결간(20)(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간(20)(20')의 외측단부에는 힌지(22) 결합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도록 귀덮개(10)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 귀마개(A)를 미사용시에 힌지(22)축을 기준으로 귀덮개(10)를 절첩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4의 도시와 같이 연결간(20)(20')의 외측 끝단 하부에 고정돌기(23)를 돌출 형성하고, 귀덮개(10)에는 상기 고정돌기(2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다수의 걸림홈(11)을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힌지(2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마다 다른 얼굴과 귀의 배치에 따라 적절하게 귀덮개(10)의 각도를 조절하여 더욱 귀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20)(20')과 귀덮개(10)는 내측으로 복원되려는 탄발력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한조의 연결간(20)(20')은 길이조절수단(30)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일정크기를 갖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31) 양측에는 상기 연결간(20)(20')이 삽입 이동되는 통로인 삽입공(32)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32)으로 삽입된 한조의 연결간(20)(20')의 랙기어부(21)(21') 사이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피니언기어부(33)가 둘레에 형성된 조절구(34)가 몸체(31)에 축 지지되어 상기 조절구(34)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랙기어부(21)(21')는 그 회전방향을 따라 몸체(31)의 삽입공(32) 내외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구(34)에는 커버(40)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35)가 결합된다. 이는 상기의 구성들을 커버(4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이 커버(40) 내부에 설치되는 조절구(34)를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구(34)와 연결되는 조절노브조절노브조절노브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30) 내부에는 연결간(20)(20')이 임의대로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간(20)(20')에 구비되어 있는 랙기어부(21)(21')의 반대면에는 일정부분 요철부(24)(24')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24)(24')에 요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몸체(31) 내부에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발력을 갖는 스토퍼(36)를 장착하므로써, 사용자는 조절노브(35)를 작동시 그 조절상태를 감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미 사용시에는 스토퍼(36)가 연결간(20)(20')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임의대로 조절되는 것이 단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A)의 작동상태를 성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A)를 착용하고자 할때에는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35)를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조절된 연결간(20)(20')과 귀덮개(10)를 외측방향으로 벌려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다. 이때, 상기 연결간(20)(20')과 귀덮개(10)가 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밀착지지되는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는 귀덮개(10)의 걸림홈(11)에 연결간(20)(20')의 고정돌기(23)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좌우 유동없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며 착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중 귀덮개(1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귀덮개(10)를 잡고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그 각도가 조절되어 더욱 사용자의 귀에 밀착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착용하다가 이를 휴대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조절노브(35)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길이를 줄이게 되고, 또한 상기 귀덮개(10)를 힌지(2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간(20)(20')과 포개어 중첩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그 부피가 작아져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에 의하면, 외부에 노출된 조절구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연결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귀덮개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기존과 같이 장시간 사용시 발생되는 머리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다른 머리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길이 조절이 편리하게 되는 등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귀덮개의 각도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위치로 착용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한조의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귀덮개와, 상기 연결간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수단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은 내측에 일정부분 랙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간이 삽입되도록 몸체 양측에는 삽입공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으로는 삽입되는 연결간에 구비되어 있는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된 조절구가 축지지되며, 상기 조절구에는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노브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조절노브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연결간이 임의대로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에는 외측 끝단 하부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귀덮개의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홈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KR20-2004-0002434U 2004-02-02 2004-02-02 귀마개 Expired - Fee Related KR200349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434U KR200349923Y1 (ko) 2004-02-02 2004-02-02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434U KR200349923Y1 (ko) 2004-02-02 2004-02-02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23Y1 true KR200349923Y1 (ko) 2004-05-12

Family

ID=4942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4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9923Y1 (ko) 2004-02-02 2004-02-02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97B1 (ko) * 2018-01-22 2019-06-14 박상연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CN118576337A (zh) * 2024-07-13 2024-09-03 阮班锋 一种耳科检查辅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97B1 (ko) * 2018-01-22 2019-06-14 박상연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CN118576337A (zh) * 2024-07-13 2024-09-03 阮班锋 一种耳科检查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168A (en) Banded hearing protector
JP4123600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3891623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取付け機構
US6286622B1 (en) Hearing protector
EP2234566B1 (en) Protective device for a knee joint
US9140906B1 (en) Adjustable in-situ device to stabilize and maintain positioning of eyewear on a user
MX2011004197A (es) Banda para la cabeza con almohadilla giratoria.
KR20090036275A (ko) 용접 마스크용 공기 공급장치
KR200226271Y1 (ko) 귀마개
FR2719766A1 (fr) Adaptateur pour masque de protection sur un casque.
KR102240105B1 (ko)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
KR200349923Y1 (ko) 귀마개
CA1088872A (en) Ear defenders
JP2002011036A (ja) 保温用耳覆い
US20040172738A1 (en) Ear protector
KR200427054Y1 (ko) 귀마개용 프레임
KR100368967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81389Y1 (ko) 귀마개
KR200370929Y1 (ko) 귀마개
KR200235866Y1 (ko) 귀걸이형 이어셋
KR200491029Y1 (ko) 귀걸이와 코드릴 줄을 활용하여 휴대가 간편한 방한용 귀마개
KR100414944B1 (ko) 볼링용 보조기구
KR200397429Y1 (ko) 귀마개용 프레임
KR200342829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AU2009101072A4 (en) Wireless headphone integrated with an adjustmen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2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2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11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