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9401Y1 -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 Google Patents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401Y1
KR200349401Y1 KR20-2004-0001582U KR20040001582U KR200349401Y1 KR 200349401 Y1 KR200349401 Y1 KR 200349401Y1 KR 20040001582 U KR20040001582 U KR 20040001582U KR 200349401 Y1 KR200349401 Y1 KR 200349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water
river
buoyancy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제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4-0001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40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 연결통로 입구에 평상시에는 연결통로 입구를 밀폐하고, 하천이나 배수관내에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을 설치하여서,
평상시에는 연결통로의 입구를 막아주어 이를 통해 배수관내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배수관 내로 흐르는 각종 생활오,폐수로부터 풍기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집중호우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하천이나 배수로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를 개방시켜 수위를 자동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의 범람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천(10)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 상측 구조물에 내부가 빈상태의 중공몸체로 형성되어 물의 부력으로 부양가능하도록 형성된 자동문(100)의 상단을 힌지(30)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자동문(100)의 자중에 의해 연결통로(21) 입구를 밀폐토록하며, 비상시에는 하천(10)이나 배수관(20)내로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에 의해 자동문(100)의 하단이 힌지(30)를 중심으로 부양되면서 승강하여 자동으로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를 개방시켜서 수위를 조절토록 이루어진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Zero power floatage type automatic door}
본 고안은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을 가로 질러 흐르는 하천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 연결통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연결통로를 막아주어 이를 통해 배수관내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배수관 내로 흐르는 각종 생활오,폐수로부터 풍기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주며, 이와 동시에 집중호우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하천이나 배수로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를 개방시켜 수위를 자동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의 범람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 주도록 한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을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의 경우에는 그 제방벽면에 각종 생활오,폐수가 흐르는 배수관과 연통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통로를 통해 배수관내부로 사람이 손쉽게 들어 갈 수 있기때문에 각종 범죄발생의 장소 및 이동통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각종 배수관내의 생활오,폐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어 행인들의 인상을 찌프리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생활오,폐수에서 번식한 각종 해충이나 병원균이 이동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각종 질병발생을 유발하는 등 위생상으로도 매우 좋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하천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 연결통로 입구에 평상시에는 연결통로 입구를 밀폐하고, 하천이나 배수관내에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을 설치하여서,
평상시에는 연결통로의 입구를 막아주어 이를 통해 배수관내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배수관 내로 흐르는 각종 생활오,폐수로부터 풍기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집중호우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하천이나 배수로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를 개방시켜 수위를 자동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의 범람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2는 본 고안으로서 격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으로서 기체주입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으로서 자동문 몸체내부에 별도의 부양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천 20:배수관
21:연결통로 30:힌지
100:자동문 110:격벽
120:기체주입구 130:부양체
200:생활오,폐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천(10)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20) 연결통로(21)의 입구 상측 구조물에 내부가 빈상태의 중공몸체로 형성되어 물의 부력으로 부양가능하도록 형성된 자동문(100)의 상단을 힌지(30)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자동문(100)의 자중에 의해 연결통로(21) 입구를 밀폐토록하며, 비상시에는 하천(10)이나 배수관(20)내로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에 의해 자동문(100)의 하단이 힌지(30)를 중심으로 부양되면서 승강하여 자동으로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를 개방시켜서 수위를 조절토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문(100)을 구성하는 내부가 빈 중공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구획되도록 여러개의 격벽(110)을 형성하여 어느한 부분이 훼손되더라도 물의 부력에 의해 자동문(100)이 자동으로 부양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벽(110)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격벽(110)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내부가 빈 중공몸체 전방면 일측에 기체주입구(120)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서, 자동문(100)의 부양력을 조절토록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자동문(100)을 구성하는 중공몸체의 내부에 스치로폼과 같은 별도의 부양체(130)를 삽입설치하여 자동문(100)이 물의 부력에 의해 부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문(100)은 부양이 쉽도록 가벼워야 하나 강도가 강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들은 상기 자동문(100) 하단 전방면에 걸림고리(130)를 형성함으로써 배수관이나 자동문의 관찰이나 유지 보수 및 교체 그리고 청소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이 걸림고리(130)에 통상의 권양장치(미도시)의 와이어선단을 결합하여 자동문(100)을 강제로 상승시켜서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미설명부호(20a)는 생활오,폐수(200)가 흐르는 배수로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일실시예들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단순 변경 내지는 단순치환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문(100)을 하천(10)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 연결통로(21) 입구에 설치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자동문(100)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힌지(30)를 중심으로 하강하여 연결통로(21) 입구를 밀폐하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결통로(21) 입구를 통해 배수관(20)내로 사람이 침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20) 내로 흐르는 각종 생활오,폐수(30)로부터 풍기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는 한편, 비상시 즉, 하천이나 배수관(20)내에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으로 자동문(100)의 하단이 힌지(30)를 중심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21) 입구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하천의 범람등으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자동문(100)의 부양력을 크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기체주입구(120)를 통해 중공몸체로된 자동문(100)내부에 헬륨가스등과 같은 기체를 충입하게 되면 부양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부력에 의한 자동문(100)이 더욱 손쉽게 개폐된다.
그리고, 도4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자동문(100)내부에 미리 스치로폼과 같은 부양체(130)를 삽입설치하여야 하므로 자동문(100)의 부양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동문(100)의 외면에 별도의 중량체(미도시)를 달아서 부양력을 조절하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 연결통로 입구에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연결통로 입구를 밀폐하고, 비상시에는 물의 부력으로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가 개방되도록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을 구성함으로써,
평상시 연결통로의 입구가 막아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배수관내로 사람이 침입하지 못한다.
그리고, 배수관 내로 흐르는 각종 생활오,폐수로부터 풍기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생활오,폐수에서 번식한 각종 해충이나 병원균이 이동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없어서 각종 질병발생을 우려를 덜어주는등 깨끗한 환경이 조성되어 위생상으로도 도움을 주게 된다.
그러는 한편, 집중호우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하천이나 배수로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부력으로 자동문이 부양되면서 연결통로 입구를 개방시켜 수위가 자동조절됨으로써 하천의 범람등으로 인한 피해 또한 줄여 주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하천(10)의 제방벽면을 관통하는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 상측 구조물에 내부가 빈상태의 중공몸체로 형성되어 물의 부력으로 부양가능하도록 형성된 자동문(100)의 상단을 힌지(30)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자동문(100)의 자중에 의해 연결통로(21) 입구를 밀폐토록하며, 비상시에는 하천(10)이나 배수관(20)내로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물의 부력에 의해 자동문(100)의 하단이 힌지(30)를 중심으로 부양되면서 승강하여 자동으로 배수관(20) 연결통로(21) 입구를 개방시켜서 수위를 조절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100)을 구성하는 내부가 빈 중공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구획되도록 여러개의 격벽(110)을 형성하여 격벽(110)으로 구획된 어느 한 부분이 훼손되더라도 물의 부력에 의해 자동문(100)이 자동으로 부양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100)을 구성하는 내부가 빈 중공몸체의 내부에 격벽(110)형성의 유무와 상관없이 중공몸체 전방면 일측에 기체주입구(120)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서, 자동문(100)의 부양력을 조절토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100)은 내부에 스치로폼과 같은 별도의 부양체(130)를 삽입설치하여 자동문(100)이 물의 부력에 의해 부양되도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20-2004-0001582U 2004-01-20 2004-01-20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Expired - Fee Related KR200349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82U KR200349401Y1 (ko) 2004-01-20 2004-01-20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82U KR200349401Y1 (ko) 2004-01-20 2004-01-20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401Y1 true KR200349401Y1 (ko) 2004-05-04

Family

ID=494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5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9401Y1 (ko) 2004-01-20 2004-01-20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4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5128A (ko)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200349401Y1 (ko)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100902780B1 (ko) 수압조절 가능한 연동형 이중 맨홀뚜껑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KR102037006B1 (ko) 봉수 높이에 따른 개폐로 유입량을 조절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조절장치
KR100917650B1 (ko) 자동문
KR200349404Y1 (ko)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200349402Y1 (ko)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200349403Y1 (ko)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CN212612337U (zh) 一种可以独立启闭的气动浮体生态闸门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0458200B1 (ko) 절수형 양변기
JPH10159147A (ja)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0942607B1 (ko) 악취차단장치가 구비된 맨홀덮개
KR20090085186A (ko) 오수 배출로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장치
KR200237149Y1 (ko) 수세식 변기
KR200364355Y1 (ko) 무동력 부양식 자동문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JP4646029B2 (ja) 逆流防止装置
CN215053703U (zh) 一种防臭结构及应用其的雨水口检查井
KR102817362B1 (ko) 태양광 판넬을 활용한 링크개방식 무,유동력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1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1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4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