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8443Y1 -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43Y1
KR200348443Y1 KR20-1999-0008065U KR19990008065U KR200348443Y1 KR 200348443 Y1 KR200348443 Y1 KR 200348443Y1 KR 19990008065 U KR19990008065 U KR 19990008065U KR 200348443 Y1 KR200348443 Y1 KR 200348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snap pin
front cover
storage hol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700U (ko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8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43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모니터 케이스는 그 후면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핀이 돌출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그리고 그 전면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홀이 형성되고, 수납홀의 천정부상면에 상향으로 탄성편이 돌출 형성되며, 수납홀의 바닥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리어 커버로 구성되어, 걸림턱에 결합된 스냅핀을 분해하는 경우, 탄성편이 프론트 커버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밀므로써 용이하게 분해가능하다.

Description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Monitor Case}
본 고안은 모니터 케이스(Monitor Cas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커버에 탄성편을 장착하여, 탄성편의 탄력성에 의하여 그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니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영상신호에 의하여 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 전자빔을 방출하여 음극선관에 입혀진 형광물질을 때려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하므로써 문자, 기호, 도형을 나타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니터는 그 내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가 장착된다. 케이스는 프론트 커버 및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외관을 이루는 리어 커버로 구성되며, 프론트 및 리어 커버는 다양한 체결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도1 은 이러한 모니터의 프론트 및 리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의 하부 후면에는 스냅핀(3)이 돌출 형성된다. 스냅핀(3)은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단(4)이 형성된다. 그리고, 리어 커버(2)의 하부 전면에는 걸림턱(5)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5)은 프론트 커버(1)의 스냅핀(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걸림단(4)의 일측면(8)이 걸림턱(5)의 일측면(7)에 걸리므로써 스냅핀(3)이걸림턱(5)에 결합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프론트 및 리어 커버(12)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냅핀의 결합구조는 프론트 및 리어 커버를 분해하는 경우, 걸림턱을 하방으로 당기고, 스냅핀을 전방으로 밀어야 분해가 가능하다. 또한, 스냅핀을 전방으로 밀어내지 않을 경우, 다시 걸림턱에 재결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편을 장착하여,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냅핀을 밀므로써, 스냅핀이 걸림턱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는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 은 종래의 모니터의 프론트 및 리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냅구조를 구비한 모니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프론트 커버에 돌출 형성된 스냅핀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리어 커버에 돌출 형성된 탄성편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프론트 및 리어 커버의 결합 및 분해 과정을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
도6 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레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프론트 커버(Front Ccver) 12: 리어 커버(Rear Cover)
14: 스냅핀(Snap Pin) 15: 걸림단
18: 탄성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후면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핀이 돌출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그리고 그 전면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홀이 형성되고, 수납홀의 천정부상면에 상향으로 탄성편이 돌출 형성되며, 수납홀의 바닥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리어 커버로 구성되어, 걸림턱에 결합된 스냅핀을 분해하는 경우, 탄성편이 프론트 커버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밀므로써용이하게 분해가능한 모니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걸림턱은 수납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수직부, 수직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그리고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밀므로써 걸림턱이 스냅핀의 걸림단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탄성편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수납홀의 천정의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돌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0)는 프론트 커버(11), 프론트 커버(11)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극선관(13), 그리고 프론트 커버(11)와 결합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그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리어 커버(12)로구성된다. 프론트 커버(11)의 내부는 개방되며, 테두리부의 후면 하부 양측부(11a)에는 스냅핀(14)이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리어 커버(12)의 전면 하부 양측부에는 걸림턱(24) 및 탄성편(18)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3 및 도4 를 참조하여 스냅핀, 걸림턱, 그리고 탄성편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프론트 커버에 돌출 형성된 스냅핀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4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리어 커버에 돌출 형성된 탄성편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핀(14)은 프론트 커버(11)의 후면 하부의 양측부(11a)에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스냅핀(14)은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바의 형상이며,그 저면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단(15)이 형성된다.
리어 커버(12)의 수납홀(17)은 리어 커버(12)의 전면 하부의 양측부에 각각형성된다. 수납홀(17)은 사각형상이며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 형성되므로써 리어커버(12)의 하부의 외부로 연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어커버(12)의 외부에서 스냅핀(14)을 조작 할 수 있다.
수납홀(17)의 바닥면(20)에는 걸림턱(24)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턱(24)은 수납홀(17)의 바닥면(2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수직부(21), 수직부(2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부(22), 그리고 수평부(22)의 단부에서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는 레버(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레버(23)는 수납홀(17)의 바닥면(20)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구부(20a)를 통하여 리어 케이스(12)의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레버(23)를 화살표 방향(29;도5)으로 밀므로써 걸림턱(24)과 스냅핀(14)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스냅핀(14)이 걸림턱(24)에 결합되는 경우, 스냅핀(14)의 걸림단(15)이 레버(23)의 일측면에 결합되므로써 스냅핀(14)이 걸림턱(24)에 결합된다. 그리고,레버(23)를 화살표 방향(29;도5)으로 당기므로써 걸림단(15)과 레버(23)의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수납홀(17)의 천정부(19)의 상면에는 탄성편(18)이 소정각도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탄성편(18)은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이며, 그 단부(24)는 프론트 커버(11)의 후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프론트 커버(11)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탄성편(18)은 프론트 커버(141의 후면에 접촉하며, 상향으로 밀리게 되며, 해제하면 하향으로 탄력적으로 펴지므로써 원상 회복된다.
도6 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레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1), 수평부(22), 그리고 레버(23)로 구성된 걸림턱(24)은 레버(23)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손잡이(3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손잡이(30)를 잡고 레버(23)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보다 원활하게 레버(23)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 를 참조하면, 먼저 프론트 커버(11)와 리어 커버(12)를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정열한다. 그리고, 프론트 커버(11)를 후방으로 밀어서 리어 커버(12)에 근접시킨다. 이때, 탄성편(18)의 단부가 프론트 커버(11)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며, 탄성편(18)은 소정각도 상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프론트 커버(11)를 후방으로 계속하여 밀게 되면, 탄성편(18)이 소정거리 이상 상방으로 휘게되고, 프론트 커버(11)의 스냅핀(14)의 걸림단(15)이 걸림턱(23)에 접촉하게 된다. 즉, 걸림단(15)의 경사면이 걸림턱(23)의 수직부(21)에접촉하게 되고, 스냅핀(14)은 소정각도 상향으로 기울어 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걸림단(15)이 걸림턱(24)의 레버(23)에 걸리게된다. 따라서, 프론트 및 리어커버(11,12)는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탄성편(18)은 프론트 커버(11)를 탄력적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
프론트 커버(11)를 리어 커버(12)로부터 분해하는 경우, 먼저 레버(23)를 잡고서 화살표 방향(29)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24)은 소정거리 하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걸림턱(24)에 걸린 스냅핀(14)의 걸림단(15)은 걸림턱(24)으로부터이탈된다. 이때, 탄성편(18)이 프론트 커버(11)의 후면을 탄성적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탄성편(18)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프론트 커버(11)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냅핀은 걸림턱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되므로써 재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케이스는 리어커버에 형성된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하여 프론트 커버를 밀므로써 프론트 및 리어커버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그 후면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핀이 돌출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그리고
    그 전면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의 천정부상면에 상향으로 탄성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홀의 바닥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리어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된 상기 스냅핀을 분해하는 경우, 상기 탄성편이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밀므로써 용이하게 분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니터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납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밀므로써 상기 걸림턱이 상기 스냅핀의 걸림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수납홀의 천정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케이스.
KR20-1999-0008065U 1999-05-12 1999-05-12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0348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65U KR200348443Y1 (ko) 1999-05-12 1999-05-12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65U KR200348443Y1 (ko) 1999-05-12 1999-05-12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00U KR20000020700U (ko) 2000-12-05
KR200348443Y1 true KR200348443Y1 (ko) 2004-04-29

Family

ID=4942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065U KR200348443Y1 (ko) 1999-05-12 1999-05-12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87B1 (ko) * 2000-12-27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718088B1 (ko) 2005-08-19 200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KR100718087B1 (ko) 2005-08-19 200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00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7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6914206B2 (en) Operation button fixing structure of electric device
KR200348443Y1 (ko)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0283941B1 (ko) 모니터의 쉴드버텀 결합구조
KR20000073610A (ko) 모니터 케이스의 이탈 방지구조
CN111173921B (zh) 一种车用换挡器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JP2000249126A (ja) モニタケース
KR100526619B1 (ko)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100830440B1 (ko)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체
KR100303488B1 (ko) 모니터의 케이스 결합 구조
KR100318745B1 (ko) 모니터의 디가우징 코일용 홀더
KR100318751B1 (ko) 모니터의 피씨비 브래킷
KR100340740B1 (ko) 모니터의 디가우징 코일용 홀더
KR100283939B1 (ko)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KR200332595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315680B1 (ko) 틸트 조정이 용이한 모니터 스탠드
KR100206069B1 (ko)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21936B1 (ko) 모니터의 케이스 결합구조
KR20030072501A (ko) 모니터 케이스의 결합구조체
KR20010038548A (ko) 모니터의 핸들구조
KR200341879Y1 (ko)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프로젝션 텔레비젼
US6213796B1 (en) Ejector mechanism for disengag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an electrical connector on a circuit board
KR200253341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20000002405U (ko) 모니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51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404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