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7235Y1 -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35Y1
KR200347235Y1 KR20-1999-0002903U KR19990002903U KR200347235Y1 KR 200347235 Y1 KR200347235 Y1 KR 200347235Y1 KR 19990002903 U KR19990002903 U KR 19990002903U KR 200347235 Y1 KR200347235 Y1 KR 200347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ver member
refrigerator
food storag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426U (ko
Inventor
김춘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2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3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개구로부터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의 슬라이딩안내부를 가지고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의 내벽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연부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채소 및 과일 등을 장기간동안 그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FOOD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와, 본체(101)내에 형성되는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105)과, 본체(101) 전방영역에 설치되어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105)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07)를 갖는다.
냉장실(105)내에는 식품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해 다수의 선반(106)들이 상호 적절한 이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냉장실(105)의 하부영역에는 채소 및 과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식품저장용기(110)가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105)의 하부영역에 별도로 구비된 식품저장용기(110)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식품저장용기(110)의 전방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소 및 과일 등을 신선한 보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식품저장용기내의 고습도 유지와, 채소 및 과일 등의 호홉억제에 한계가 따른다. 이에 의해, 식품저장용기내에 수용되는 채소 및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장기간동안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채소 및 과일 등을 장기간동안 그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밸브부재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4의 커버부재 인입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은 도 4의 커버부재 고정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냉장실 10 : 식품저장용기
11 : 용기본체 13 : 커버부재
15 : 밸브부재 17 : 커버고정부재
21 : 슬라이딩안내부 23 : 걸림턱
31 : 시일부 33 : 손잡이
35 : 힌지결합부 36 : 고정부
37 : 밸브결합부 38 : 고정턱
41 : 밸브본체 43 : 누름버튼부
45 : 스프링 46 : 관통공
47 : 스톱퍼 52 :밸브폐킹
54 : 안내그루브 56 : 후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부 개구로부터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의 슬라이딩안내부를 가지고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의 내벽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연부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항시 차단되어 있으며, 누름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커버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일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ㄱ"자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가 맞물리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본체(1)내에 형성되는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5)을 가지며, 본체(1) 전방영역에는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5)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7)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5)내에는 식품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해 다수의 선반(6)들이 상호 적절한 이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의 식품적재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냉동실(미도시)의 하부영역에는 채소 및 과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식품저장용기(10)가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밸브부재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형상을 가지고 채소 및 과일 등의 야채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상부개구를 차단하는 커버부재(13)를 가지며, 커버부재(13)의 일영역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부재(15)와, 커버부재(13)의 개구 차단상태를 고정유지시키는 커버고정부재(17)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에는 상부 내측연부의 개구 단부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슬라이딩안내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안내부(21)의 함몰저부에는 후술할 커버부재(13)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1)의 전방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용기본체(11)의 외측 상부에는 후술할 커버고정부재(17)의 고정부(36)가 걸릴 수 있도록 둘레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고정턱(3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3)는 용기본체(11)의 상부개구에 대응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며, 둘레단부를 따라 마련되는 시일부(31)와, 커버부재(13)의 상부면 중앙영역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33)를 갖는다. 시일부(31)는 커버버부재의 둘레단부를 따라 함몰형성된 패킹그루브(42)와, 패킹그루브(42)에 안착되는 밀폐패킹(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3)의 상면 양단부에는 후술할 커버고정부재(17)의 고정부(3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35)가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부재(13)의 손잡이(33)와 인접한 영역에는 용기본체(11)의 상부개구 차단시 용기본체(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부재(15)가 결합되는 밸브결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결합부(37)는 커버부재(13)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되며, 중앙영역에 관통공(46)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커버부재(13)는 둘레단부를 따라 마련된 밀폐패킹(44)이 용기본체(11)의 슬라이딩안내부(21)에 둘레면에 접면하도록 삽입되어 용기본체(11)의 상부개구를차단한다.
밸브부재(15)는 커버부재(13)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결합부(37)의 관통공(46)내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는 원기둥형상의 밸브본체(41)와, 밸브본체(41)의 상부 둘레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경된 누름버튼부(43)를 가지며, 밸브결합부(37)의 관통공(46) 연부와 누름버튼부(43)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본체(41)를 탄성적으로 상향 부세시키는 스프링(45)과, 밸브본체(41)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밸브본체(41)의 상향부세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47)를 포함한다.
밸브본체(41)의 하측 둘레단부에는 밸브본체(41)의 상향부세시 관통공(46)을 차단시키는 밸브패킹(52)이 마련되어 있으며, 밸브본체(41)에는 밸브패킹(52)의 인접영역으로부터 누름버튼부(43)를 향해 밸브본체(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안내그루브(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그루브(54)는 밸브본체(41)의 누름상태시 양단부가 밸브결합부(37)의 관통공(46) 양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용기본체(11)와 외부를 연통시키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고정부재(17)는 커버부재(13)에 마련되어 있는 힌지결합부(35)와, 일단부가 힌지결합부(3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고정부(36)와 전술한 용기본체(11)에 형성된 고정턱(38)으로 구성된다. 고정부(36)의 자유단부에는 후크(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크(56)는 용기본체(11)의 고정턱(38)에 맞물려 커버부재(13)가 용기본체(11)의 상부영역에서 개구차단상태를 고정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용기본체(11)내에 채소 및 과일 등을 수용시키고커버부재(13)에 마련된 손잡이(33)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부재(13)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상부개구영역에 배치시킨 후, 밸브부재(15)의 누름버튼부(43)를 누른 상태로 커버부재(13)를 가압하여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커버부재(13)의 둘레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밀폐패킹(44)이 용기본체(11)에 형성된 슬라이딩안내부(21)의 내측 둘레면에 접면하면서 걸림턱(23)까지 슬라이딩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용기본체(11)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밸브본체(41)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그루브(5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용기본체(11)의 내부압력은 외부의 압력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13)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커버부재 인입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커버부재 고정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3)가 슬라이딩안내부(21)의 걸림턱(23)까지 삽입된 후, 밸브본체(41)의 누름상태를 해지하면, 밸브본체(41)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세하면서 밸브본체(41)의 하측에 마련된 밸브패킹(52)이 관통공(46)내부로 삽입되어 관통공(46)을 차단하게 되고, 밸브본체(41)의 하단부에 마련된 스톱퍼(47)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본체(41)의 밸브패킹(52)에 의한 관통공(46)의 차단상태가 유지되면서 용기본체(11)의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게 된다.
커버부재(13)의 삽입에 의한 용기본체(11)내의 공기배출 및 밀폐과정이 완료된 후, 밸브본체(41)의 누름해지상태에서 커버부재(13)의 손잡이(33)를 파지하고 커버부재(13)를 끌어당겨 용기본체(11)의 슬라이딩안내부(21) 상단부에 배치시키면, 용기본체(11)의 내부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상태가 되게 된다. 즉, 용기본체(11)의 내부는 슬라이딩안내부(21)의 상단부와 걸립턱 사이영역의 구간체적만큼 진공상태가 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커버고정부재(17)의 고정부(36)를 용기본체(11)의 고정턱(38)에 맞물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커버부재(13)가 용기본체(11)의 내부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식품저장용기(10)의 내부를 소정부압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외부와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1)내에 수용된 채소 및 과일 등의 야채를 꺼내기 위해서, 커버부재(13)를 오픈시킬 경우에는 밸브본체(41)의 누름버튼부(43)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밸브패킹(52)이 관통공(46)에서 이격된 후 안내그루브(54)를 통해서 용기본체(1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본체(1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고, 이에 의해 용이하게 커버고정부재(17)의 고정부(36)를 고정턱(38)에서 이탈시킨 후 커버부재(13)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소 및 과일 등을 별도로 저장하는 식품저장용기(10)를 커버부재(13)와, 밸브부재(15) 및 커버고정부재(17)를 이용하여 부압상태로 밀폐함으로써, 식품저장용기(10)내의 고습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채소 및 과일 등의 호홉을 억제시켜 식품저장용기(10)내에 저장되는 채소 및 과일 등을 장기간동안 그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채소 및 과일 등을 장기간동안 그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부 개구로부터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의 슬라이딩안내부를 가지고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의 내벽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연부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항시 차단되어 있으며, 누름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일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ㄱ"자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가 맞물리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20-1999-0002903U 1999-02-25 1999-02-25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47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903U KR200347235Y1 (ko) 1999-02-25 1999-02-25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903U KR200347235Y1 (ko) 1999-02-25 1999-02-25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26U KR20000017426U (ko) 2000-09-25
KR200347235Y1 true KR200347235Y1 (ko) 2004-04-17

Family

ID=4934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9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7235Y1 (ko) 1999-02-25 1999-02-25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26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99B1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CN211167568U (zh) 用于将袋构件真空密封的设备和承滴托盘
KR200347235Y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CN208948077U (zh) 防潮保存罐
US20070056971A1 (en) Vacuum type food container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20060125104A (ko) 서랍식 냉장고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1091747B1 (ko) 식품보관용기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411662Y1 (ko) 압력제거 기능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171401Y1 (ko) 밀폐용기
KR200388013Y1 (ko) 밀폐 용기
KR200212342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416615Y1 (ko) 진공보존용기 뚜껑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200311485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0306587Y1 (ko) 김치 보관 용기
KR100337192B1 (ko) 밀폐용기
KR19990010727U (ko) 기체배출 압력밸브가 형성된 음식물 저장용기
KR200240962Y1 (ko) 물품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2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403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