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6252Y1 - 풀림 방지용 너트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용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252Y1
KR200346252Y1 KR20-2004-0000758U KR20040000758U KR200346252Y1 KR 200346252 Y1 KR200346252 Y1 KR 200346252Y1 KR 20040000758 U KR20040000758 U KR 20040000758U KR 200346252 Y1 KR200346252 Y1 KR 200346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plit
divided
female screw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이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익 filed Critical 이재익
Priority to KR20-2004-0000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25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 F16B39/1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by means of eccentrical or spiral interengag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와 결합하여 물체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 이상의 분할너트를 일체화하여 너트를 구성하고 이러한 너트를 체결하면 분할너트가 서로간에 밀착되면서 조임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체결 후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저절로 풀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체결작업이 편리하게 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두개 이상의 갯수로 분할된 다각형의 분할너트(2)(3)(4)와, 이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의 고정체(10)로 너트가 구성되고, 분할너트(2)(3)(4)의 내면에는 암나사(5)를 연속 형성하되, 이러한 암나사(5)는 분할너트(2)(3)(4)가 회전방향으로 약간 어긋나는 형태에서 암나사(5)를 가공한 후 고정체(10)를 이용하여 결합하며, 고정체(10)가 분할너트(2)(3)(4)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풀림 방지용 너트{Nut for loose prevention}
본 고안은 볼트와 결합하여 물체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 이상의 분할너트를 일체화하여 너트를 구성하고 이러한 너트를 체결하면 분할너트가 서로간에 밀착되면서 조임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체결 후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저절로 풀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체결작업이 편리하게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물체를 고정하였을 때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체결상태가 스스로 이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는데, 예로는 스프링너트를 체결하는 것, 너트와 볼트를 관통하는 핀을 체결하는 것, 두개 이상의 너트를 동시에 체결하는 것 등이 있는데, 사용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 수단들 중에서 두개 이상의 너트를 동시에 체결하는 경우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하나의 너트를 먼저 강하게 체결한 다음 또 다시 다른 너트를 앞서 체결한 너트와 강하게 밀착되도록 체결하여야 하는 등 체결하는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개의 분할너트에 암나사를 한꺼번에 가공하되 가공시에는 각 분할너트가 회전방향으로 약간씩 어긋난 상태에서 가공한 후 하나의 너트가 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볼트에 조립을 하게되면 각 너트가 처음의 가공상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결합이 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볼트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강력한 체결력이 발생하여 스스로 이완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너트
2, 3, 4: 분할너트
5: 암나사
10: 고정체
11: 돌출부
20: 와셔
21: 구멍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너트(1)는 두개 이상의 갯수로 분할된 다각형의 분할너트(2)(3)(4)와, 이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의 고정체(10)로 구성되고, 고정체(10)의 끝단에 연결되는 와셔(20)로 구성된다.
분할너트(2)(3)(4)의 내면에는 암나사(5)가 연속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암나사(5)는 정상적인 나사부가 연속되는 것이 아니라 각 분할너트(2)(3)(4)의 암나사(5)가 조금씩 어긋나게 구성된 것이다.
이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분할너트(2)(3)(4)에 암나사(5)를 형성시 각 분할너트(2)(3)(4)가 회전방향으로 약간 어긋나는 형태에서 암나사(5)를 가공한 후 고정체(1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고, 그 이후 고정체(10)가 분할너트(2)(3)(4)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분할너트(2)(3)(4)와 고정체(10)만으로도 풀림방지 기능이 있는 너트의 역할을 다할 수 있지만, 와셔(20)를 결합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풀림 방지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도면과 같이 고정체(10)의 끝단에 돌출부(11)를 구성하고, 내경에 경사진 구멍(21)이 형성된 와셔(20)를 구비한 후 돌출부(11)를 구멍의 내부에서 확개시킴으로써 결합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30은 볼트, 40, 40'는 고정할 대상인 물체이다.
이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너트(2)에 대한 작용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결합할 물체(40)(40')에 볼트(30)를 관통시킨 다음, 본 고안의 너트(1)를 결합하는데, 너트(1)의 각 분할너트(2)(3)(4)는 암나사(5)가 각각 약간씩 어긋나 있는 상태이므로 첫번째의 분할너트(2)가 볼트(30)에 결합될 때는 별다른 작용 없이 결합이 되다가 볼트(30)의 선단에 두번째의 분할너트(3)가 결합되기 시작할 때는 암나사가 조금 어긋나 있어서 곧바로 결합되지를 못하고 정상적인 상태(처음 가공시와 같이 약간 어긋난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분할너트(2)(3) 간의 틈 사이가 미세하게 벌어지려는 상태가 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도중에 결합하려는 힘(볼트 또는 너트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를 한다.
계속 체결을 하여 볼트(30)의 선단이 세번째의 분할너트(4)에 결합되기 시작할 때도 상기와 동일하게 분할너트(2)(3)(4) 간에 약간 이격하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결합이 완료되어 결합하려는 힘이 제거되면 각 분할너트(2)(3)(4)는 처음 조립된 상태로 복귀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음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 암나사(5)가 어긋난 상태이므로 볼트(30)와 암나사(5)가 정상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닌 억지로 꽉 끼인 상태가 되므로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와셔(20)는 너트와 일체화되어 결합시 편리함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너트에서의 경우와 같이 분할너트(2)(3)(4)가 볼트(30)에 결합되면서 와셔(20)를 강하게 밀착하면서 마찰력이 더욱 증대되므로 이 또한 풀림이 방지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너트(1)를 분할너트(2)(3)(4)로 분리 가공하여 일체화되도록 결합하면서 가공시에 각 분할너트(2)(3)(4)를 회전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 암나사를 가공함으로써 볼트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미세한 약간의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이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하면서 볼트와 너트가 어긋나려는 힘을 가지게 되므로 강력한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일체화 된 너트형으로 구성되고 강력한 풀림방지 기능을 가지며, 결합이나 분리 등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 유용한 기능을 가진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두개 이상의 갯수로 분할된 다각형의 분할너트(2)(3)(4)와, 이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의 고정체(10)로 너트가 구성되고,
    분할너트(2)(3)(4)의 내면에는 암나사(5)를 연속 형성하되, 이러한 암나사(5)는 분할너트(2)(3)(4)가 회전방향으로 약간 어긋나는 형태에서 암나사(5)를 가공한 후 고정체(10)를 이용하여 결합하며,
    고정체(10)가 분할너트(2)(3)(4)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와셔(20)를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고정체(10)의 끝단에 돌출부(11)를 구성하고, 내경에 경사진 구멍(21)이 형성된 와셔(20)를 구비한 후 돌출부(11)를 구멍의 내부에서 확개시킴으로써 와셔가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너트.
KR20-2004-0000758U 2004-01-12 2004-01-12 풀림 방지용 너트 Expired - Lifetime KR200346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58U KR200346252Y1 (ko) 2004-01-12 2004-01-12 풀림 방지용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58U KR200346252Y1 (ko) 2004-01-12 2004-01-12 풀림 방지용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252Y1 true KR200346252Y1 (ko) 2004-03-30

Family

ID=4942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58U Expired - Lifetime KR200346252Y1 (ko) 2004-01-12 2004-01-12 풀림 방지용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9481A1 (en) Fastener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EP0856671B1 (en) Lock nut
JPH01150008A (ja) アンダカツトされた作孔内に固定される拡張栓
KR101928696B1 (ko) 풀림방지 볼트
KR20034625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JPH10131976A (ja) 回転体固定具
JP2010242869A (ja) 緩み止め構造
KR19980083807A (ko)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JPH09291924A (ja) ロック付き締結機構
KR20035421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2733193B2 (ja) ジョイント金具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JP2005014640A (ja) ホイールナット及びホイールボルト
JPH08261223A (ja) ゆるみ止めナット
KR200201627Y1 (ko) 가이드부가 형성된 너트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KR100378483B1 (ko) 엔진변속기결합체
JP2002221215A (ja) 連結ピンの螺着連結構造
KR20030035314A (ko) 볼트 및 너트의 조립체
JPH11294429A (ja) 強結合可能なボルト及びナット
JP2002372013A (ja) 締結装置
KR200387963Y1 (ko) 앵커 볼트
JP2002221213A (ja) ゆるみ防止止めネ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1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1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