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3672Y1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72Y1
KR200343672Y1 KR20-2003-0037106U KR20030037106U KR200343672Y1 KR 200343672 Y1 KR200343672 Y1 KR 200343672Y1 KR 20030037106 U KR20030037106 U KR 20030037106U KR 200343672 Y1 KR200343672 Y1 KR 200343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bolt body
bolt
nu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석
Original Assignee
신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석 filed Critical 신은석
Priority to KR20-2003-0037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볼트에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볼트본체의 일단과 타단에 제 1,2 나사산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나사산에는 플랜지 너트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 2 나사산에는 조절부싱을 그 내경에 수용하는 스터드 너트를 나사결합한 앵커볼트를 구비하여, 볼트본체에 조정부싱과 스터드 너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설치공에 설치물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설치작업을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앵커볼트{anchor bolt}
본 고안은 앵커볼트에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설치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중량을 갖는 기계류 및 기타 장치물을 콘크리트바닥 또는 벽에 설치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anchor bolt)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앵커볼트의 대표적인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확장편(310)이 형성되는 삽입부재(300)와 삼각뿔형태의 코운(CONE : 400)을 볼트본체(200)에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본체(200)에는 상기 삽입부재(3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와셔(500)가 삽입된다.
도 2는 종래 앵커볼트의이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앵커볼트(100)는 설치코자하는 벽 또는 바닥에 상기 삽입부재(300)를 삽입할 수 있는 설치공(H)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재(300)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본체(200)에 상기 코운(400)을 나사결합하여 상기 확장편(310)의 내경에 코운(400)이 끼움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부재(300)를 상기 설치공(H)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설치공(H)에 삽입부재(300)을 삽입할 때에는 별도의 타격수단에 의해 삽입부재(300)를 타격하여 상기 코운(400)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편(310)이 벌어지도록하므로서 설치공(H)의 내벽에 밀착되는 확장편(310)에 의해 고정을 얻게 되며, 코운(400)에 일측이 나사고정된 볼트본체(200)를 통해 설치물을 고정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310)은 절개홈(320)을 삽입부재(300)의 외둘레에 일정간격 두고 형성하므로서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코운(400)을 축으로 각각의 확장편(310)이 설치공(H)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종래 앵커볼트(100)는 확장편(310)을 형태변형시키기 위해 코운(400)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공(H)의 천공시 그 내부에 이물질(콘크리트 부스러기 등)이 존재할 경우 코운(400)의 설치가 용이치 못한 문제점과 함께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300)는 설치공(H)에 삽입할 때 별도의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각각의 구성요소가 모두 분리된 상태로 사용됨에 따라 취급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앵커볼트(100)는 설치물을 철거하거나 이동할 경우 설치공(H)에서 이탈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볼트본체(200)의 볼트머리 부분만을 절단하거나 설치공(H)의 주변을 천공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앵커볼트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구성요소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설치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앵커볼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르게는 설치공에서의 이탈작업이 용이토록함과 동시에 이탈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는 앵커볼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앵커볼트의 대표적인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앵커볼트의이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볼트 2 : 볼트본체
3 : 플랜지너트 4 : 조정부싱
5 : 스터드 너트 21 : 중앙부
22 : 제 1 나사산 23 : 제 2 나사산
41 : 테이퍼부 51 : 절개홈형성부
52 : 밀착돌기 211 : 제 1 삽입부
212 : 제 2 삽입부 213 : 고정턱
511 : 절개홈 512 : 확장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앙부의 일단과 타단에 제 1,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는 고정턱이 구비되는 볼트본체;
상기 볼트본체의 제 1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플렌지너트;
상기 고정턱에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본체에 관통삽입되는 조정부싱; 및
상기 볼트본체의 제 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그 외경 일단에 절개홈형성부가 구비되는 스터드 너트;를 포함하는 앵커볼트를 구비하므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본체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턱을 중심으로 제 1,2삽입부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조절부싱은 상기 절개홈형성부의 내경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너트는 그 외경 일단에 다수의 밀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그 내경은 단턱지게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앵커볼트(1)는 볼트본체(2)의 중앙부(21) 일단과 타단에 제 1,2 나사산(22,23)을 구비하되, 상기 제 1나사산(22)에는 플랜지너트(3)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 2 나사산(23)에는 조정부싱(4)을 그 내경에 수용하는 스터드 너트(5)를 나사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본체(2)는 통상의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같이 중앙부(21)의 일단과 타단에 제 1,2 나사산(22,23)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볼트본체(2)의 중앙부(21)에는 고정턱(213)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턱(213)을 중심으로 직경의 크기가 다른 제 1,2삽입부(211,212)가 분할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너트(FLANGE NUT : 3)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원형테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같은 원형테는 와셔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와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정부싱(ADJUST BUSHING : 4)은 그 내경이 상기 제 2삽입부(212)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 외경은 상기 제 1삽입부(211)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정부싱(4)의 일단에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4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정부싱(4)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제 2 삽입부(212)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터드 너트(STUD NUT : 5)는 원통형 본체의 중앙 일단에 절개홈형성부(51)가 구비되고, 중앙 타단 외경에는 다수의 밀착돌기(52)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홈형성부(51)에는 다수의 절개홈(5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홈(511)에 의해 다수의 확장편(5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너트(5)의 외경은 상기 제 1 삽입부(2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터드 너트(5)의 내경은 단턱지게 구성되는데, 상기 절개홈형성부(51)의 내경이 상기 밀착돌기(52)가 형성되는 부위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홈형성부(5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밀착돌기(52)가 형성되는 부위의 내경에는 전술한 제 2 나사산(23)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1)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상태와 이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결합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볼트본체(2)의 제 2삽입부(212)에는 조정부싱(4)이 관통삽입되어 고정턱(213)에 고정되고, 볼트본체(2)의 제 2나사산(23)에는 스터드 너트(5)가 나사결합된다. 이후, 볼트본체(2)의 제 1나사산(22)에 플랜지너트(3)가 나사결합하므로써 그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조정부싱(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삽입부(212)보다 길게 구성됨에 따라 테이퍼부(41)가 스터드 너트(5)의 절개홈형성부(51) 내경에 수용된다.
또한, 제 2나사산(23)은 절개홈형성부(51)의 내경을 관통한 상태로 스터드 너트(5)의 내경에 나사결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기계류 및 기타 장치물(이하, 설치물이라 칭함.)이 설치되는 콘크리트바닥 또는 벽에 볼트본체(2)를 삽입할 수 있는 설치공(H)을 천공한다. 이때, 설치공(H)의 직경은 적어도 제 1 삽입부(211)와 스터드 너트(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천공된다.
이후, 플랜지너트(3)만을 탈착한 볼트본체(2)를 설치공(H)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삽입부(211)에 플랜지너트(3)를 나사결합하여 설치물을 고정하면, 플랜지너트(3)의 나사결합과 함께 볼트본체(2)의 제 2 나사산(23)이 스터드 너트(5)의 내경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조정부싱(4)은 그 타단이 고정턱(213)에 지지고정됨에 따라 그 일단에 구비된 테이퍼부(41)가 절개홈형성부(51)의 내경에 계속적으로 삽입되므로 확장편(512)을 벌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각 확장편(512)은 설치공의(H) 내경에 밀착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스터드 너트(5)의 외경에 구비되는 밀착돌기(52)는 스터드 너트(5)가 설치공(H)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앵커볼트(1)는 볼트본체(2)에 조정부싱(4)과 스터드 너트(5)를 고정한 상태에서 플랜지너트(3)를 볼트본체(2)에 나사결합하는 단순작업만으로 설치물을 설치공(H)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각 구성요소가 볼트본체(2)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조정부싱(4)이 기존의 코운역할을 대행하므로서 코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플랜지너트(3)를 제 1 나사산(22)에서 탈착하면 앵커볼트(1)를 설치공(H)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이탈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이탈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는 볼트본체에 조정부싱과 스터드 너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설치공에 설치물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너트를 해체하는 단순작업을 통해 설치공에서 완전 이탈할 수 있고, 이탈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써사용수명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앙부의 일단과 타단에 제 1,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는 고정턱이 구비되는 볼트본체;
    상기 볼트본체의 제 1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플렌지너트;
    상기 고정턱에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본체에 관통삽입되는 조정부싱; 및
    상기 볼트본체의 제 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절개홈형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개홈형성부의 내경에는 상기 조절부싱의 일단이 수용되는 스터드 너트;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본체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턱을 중심으로 제 1,2삽입부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조절부싱은 그 일단 외경에 테이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너트는 그 외경 일단에 다수의 밀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그 내경이 단턱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KR20-2003-0037106U 2003-11-27 2003-11-27 앵커볼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06U KR200343672Y1 (ko) 2003-11-27 2003-11-27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06U KR200343672Y1 (ko) 2003-11-27 2003-11-27 앵커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234A Division KR20050051445A (ko) 2003-11-27 2003-11-27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72Y1 true KR200343672Y1 (ko) 2004-03-05

Family

ID=4942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10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672Y1 (ko) 2003-11-27 2003-11-27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97U (ko) 2016-12-29 2018-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너트 고정장치
CN108442400A (zh) * 2018-04-09 2018-08-24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t形螺母的风机基础锚栓组合件及风机基础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97U (ko) 2016-12-29 2018-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너트 고정장치
CN108442400A (zh) * 2018-04-09 2018-08-24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t形螺母的风机基础锚栓组合件及风机基础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821B1 (ko) 볼트 회전력에 의해 확장되는 앵커 부재를 갖는 앵커유니트
JP6047382B2 (ja) アンカーおよびアンカー施工方法
KR100573255B1 (ko) 셀프-태핑 인서트, 인서트 어셈블리, 그리고 인서트를장착하기 위한 방법
US5702216A (en) Expanding wall plug
RU2557725C2 (ru) Резьбовая вставка для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гладкого отверст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извлечения резьбовой вставки для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отверстия, способ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установки резьбовой вставки 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е отверстие и способ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резьбовой вставки из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отверстия
KR20140003938A (ko) 앵커 볼트
US4627140A (en) Anchor bolt setting impact tool
KR200343672Y1 (ko) 앵커볼트
US7021876B2 (en) Simplified installation captive panel fastener
KR20050051445A (ko) 앵커볼트
KR100351538B1 (ko) 드릴공구
KR20110029957A (ko) 앵커 볼트 구조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JPH02225812A (ja) 壁のドリル孔内に固定される拡張栓、及びこの拡張栓の拡張スリープを製作する方法
KR101243148B1 (ko) 맨홀용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EP3502363B1 (en) Assembly for fastening a wall mounted flange for a water tap on a wall
JP2017002575A (ja) アンカー、アンカー施工具及びアンカー施工方法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KR200308005Y1 (ko) 콘크리트용 앵커볼트
KR200313579Y1 (ko) 스트롱 앙카
JPH07727Y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ねじ
KR200195663Y1 (ko) 앵커 볼트
JP2003239925A (ja) ボルトアセンブリ
KR19980032552A (ko) 볼트 고정 장치
KR200221018Y1 (ko)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