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3507Y1 - 애완동물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507Y1
KR200343507Y1 KR20-2003-0039273U KR20030039273U KR200343507Y1 KR 200343507 Y1 KR200343507 Y1 KR 200343507Y1 KR 20030039273 U KR20030039273 U KR 20030039273U KR 200343507 Y1 KR200343507 Y1 KR 200343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t
air
supply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환
Original Assignee
배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환 filed Critical 배영환
Priority to KR20-2003-0039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5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나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을 자동으로 세척, 헹굼, 건조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세척장치는, 일면이 개방되고,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되, 통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몸통부분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머리부분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물 또는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을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물/세제액 공급수단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본체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세척장치 {cleansing device for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나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을 자동으로 세척, 헹굼, 건조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가정에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데, 이는 핵가족과 독신 생활자의 증가로 인간 소외현상이 두드러지고 경제 활동에 여유가 생긴 것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는 하나 벼룩이나 세균의 매개체이고, 더 나아가 애완동물로부터 발생하는 털등은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된다.
특히, 아파트 문화가 일반화되어 있어 만약 애완동물에 의하여 벼룩이나 세균 등이 매개되면, 주위의 다른 가정에도 큰 피해가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애완동물을 목욕시켜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하여 물이 채워진 욕조에 넣고, 애완동물의 눈이나 코, 입에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손으로 애완동물을 잡고 나머지 손으로 물을 붓거나 샤워기를 이용하여 목욕을 시킨 다음, 헤어드라이기로 털을 말렸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안의 욕조에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면 애완동물이 움직이면서 떨어내는 비누물과 목욕물이 사방으로 튀어 주위가 지저분하게 됨은 물론 목욕을 시키는 주인의 얼굴과 몸에도 비누물과 목욕물이 튀어 지저분하게 된다.
또한, 애완동물은 목욕하는 과정에서 얼굴을 좌우로 돌리고 몸을 비틀고 때로는 도망치려 하기 때문에 주인으로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애완동물이 도망치는 과정에서 주인에게 상처를 입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애완동물의 목욕 후에는 주인이 헤어드라이기로 털을 말려 주었으나, 상기 털을 말리는 과정에서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비위생적인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도 1 및 도 2와 같은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출원번호 20-2003-0011766)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의 사시도이다.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세척기는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춘 목욕부스(10)와, 상기 목욕부스의 전면에 설치되고 투명유리(12)가 끼워져 내부확인이 가능한 도어(11)와, 상기 목욕부스(10)의 벽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21)와, 상기 분사파이프(21)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목욕부스(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트랩(15)과, 상기 목욕부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펌프(30)와 송풍기(31) 및 히터(32)와 미도시된 세제액통 및 모터와 물탱크(50)가 설치되는 제어박스(20)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파이프(21)의 전방에는 분사공(14)이 형성된 가림판(13)이 설치되어 분사파이프(21)에서 분사된 물이 가림판(13)의 분사공(14)을 통하여 목욕부스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목욕부스(10)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박스(20)에는 입수파이프(18)를 통하여 물탱크(50)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펌핑하여 분사 파이프(21)로 공급하는 펌프(30)가 설치되는 한편, 배수트랩(15)의 측면에는 드레인 파이프(17)가 연결되어 세척을 마친 물이 배출된다.
상기한 세척기에서 도어(11)를 열고 애완동물을 넣으면 목욕과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물이 외부로 튈 우려가 없다.
그러나 상기한 세척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를 열고 애완동물을 넣은 상태에서는 애완동물이 폐쇄된 공간에 갇힌 상태가 되므로 애완동물이두려움을 느껴 가만히 서 있지 않고 움직이려 하고, 또 애완동물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애완동물이 움직이므로 분사 파이프(21)를 통해 물과 세제가 애완동물에게 고르게 분사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몸 전체가 골고루 씻기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또 애완동물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물과 세제가 애완동물에 분사되므로 머리 부분의 귀나 코 속으로 더로운 물이나 세제가 들어가 그것이 자극을 주어 외이염이나 비염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또한, 목욕과 헹굼이 끝난 후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가 목욕부스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를 가열시켜 목욕부스의 상부로 송풍시키기 때문에 목욕부스 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목욕부스로 공급되므로 애완동물의 털이 더디게 건조되고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목적은 세척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으로 인해 형성된 제2수용부에 애완동물의 머리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머리부분은 손으로 만지면서 샤워기로 세척함과 동시에 몸통부분은 본체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세척함으로써, 동물에게 안정감을 주어 애완동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물과 세제가 고르게 분사되므로 몸통부분은 전체가 골고루 씻기게 되고, 샤워기를 이용해 귀나 코 속으로 더러운 물이나 세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세척하므로 귀나 코에 자극을 줄 염려가 없는 애완동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욕과 헹굼이 끝난 후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공기공급장치가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를 세척기 내부로 공급하므로 애완동물의 털이 빠르게 건조되고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되고,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되, 통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몸통부분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머리부분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물이나 세제액을 공급하여 물 또는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을 분사하는 물/세제액 공급수단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본체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분사하는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외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과 공기를 흡입하여 털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흡배기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로서 물/세제액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척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2 : 수용부
114 : 격벽 116 : 통공
120 : 급수통 122 : 펌프
124,142 : 솔레노이드밸브 126,144 : 분기구
128 : 합분기구 130 : 합기구
132,146 : 호스 134 : 세제액통
136,148 : 분사노즐 140 : 공기 유입수단
141 : 압력 게이지 143 : 밸브
150 : 배수트랩 152 : 배수공
154 : 배수관 160 : 제어부
162 : 샤워기 166 : 흡배기구
168 : 포집망 170 : 호스
200 : 애완동물 210 : 머리부분
220 : 몸통부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로서 물/세제액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200)이 수용되는 수용부(112)가 형성되되, 통공(116)이 형성된 격벽(114)에 의해 몸통부분(220)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12a)와 머리부분(21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12b)가 각각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 내부로 물 또는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을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물/세제액 공급수단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본체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이 구비된다.
본체(100) 내부에는 통공(116)이 형성된 격벽(114)에 의해 애완동물의 몸통부분(220)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12a)와 머리부분(21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12b)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일면이 개방되는 한편, 개방된 쪽의 수용부가 머리부분(21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12b)가 됨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에는 세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PLC와 스위치, 버튼, 전원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물/세제액 공급수단은 물 공급수단과, 세제액 공급수단과, 물 또는 물과 세제액 혼합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먼지, 물 공급수단은 급수통(120), 펌프(122),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 제1분기구(126a) 그리고 물 공급호스(132a)로 이루어진다.
급수통(120)은 외부의 수도관 등으로부터 세척용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급수통(120)에 연결되는 펌프(122)는 펌핑에 의해 급수통(120)의 물을 공급받아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에 공급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는 펌프(122)에 연결되어 제어부(160)의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며, 그 개폐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제1분기구(126a)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에 연결되어 물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고, 여러 갈래로 나뉘어 공급되는 물은 제1분기구(126a)의 출구측에 각각 연결되는 물 공급호스(132a)로 공급된다.
상기 세제액 공급수단은 세제액통(134),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 합분기구(128), 세제액 공급호스(132b)로 이루어진다.
세제액통(134)에는 세척에 필요한 세제액이 저장된다.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는 상기 펌프(122)와 연결되어 제어부(160)의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고 그 개폐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합분기구(128)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 및 세제액통(134)과 연결되어 세제액과 물을 섞어 희석시키고 희석된 세제액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며,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되는 희석된 세제액은 합분기구의 출구측에 각각 연결되는 세제액 공급호스(132b)로 공급된다.
물 또는 물과 세제액 혼합 공급수단은 세제액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의 개폐 여부에 따라 희석된 세제액과 물을 혼합하여 분사하거나순수한 물만을 분사한다.
상기 물 또는 물과 세제액 혼합 공급수단은 합기구(130), 혼합물 공급호스(132c), 분사노즐(136)로 이루어진다.
합기구(130)는 상기 세제액 공급호스(132b) 및 물 공급호스(132a)와 연결되어 희석된 세제액과 물을 혼합하여 공급하거나 물만을 공급하고, 혼합물 공급호스(132c)는 합기구(130)에 연결되어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 또는 물만을 세척장치의 본체(11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혼합물 공급호스(132c)에 연결된 제1분사노즐(136)은 본체 내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몸 전체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양측과 상측에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136)에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 또는 물만을 다수의 제1분사노즐(136)에 공급하기 위해, 혼합물 공급호스에 제2분기구(126b)가 설치된다.
또한 물/세제액 공급수단에는 샤워기(162)가 구비된다.
샤워기(162)는 상기 혼합물 공급호스(132c)에 연결되고 본체(110)의 상부에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수용부(112b)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머리부분(210)을 손으로 잡고 세척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애완동물에게 분사함으로써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기 공급장치는 공기 유입수단(140)과, 제3솔레노이드밸브(142)와, 공기 공급호스(146)와, 제2분사노즐(148)로 이루어진다.
공기 유입수단(140)은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공급하는 컴프레서나 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3솔레노이드밸브(142)는 제어부(16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고, 개폐 여부에 따라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의 공급을 중단한다.
공기 공급호스(146)는 제3솔레노이드밸브(142)에 연결되어 공기를 본체(110) 내부로 공급하고, 공기 공급호스(146)에 연결된 제2분사노즐(148)은 본체 내부에 애완동물의 전체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공기 유입수단(140)과 제3솔레노이드밸브(142) 사이에 공기압으로 인해 생긴 압력을 계산하는 압력 게이지(1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142)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 유입수단(1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제3솔레노이드밸브(142)에 공급하는 제3분기구(144)가 제3솔레노이드밸브 앞단에, 다수의 제2분사노즐(148)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제3분기구(144)가 공기 공급호스(146)에 설치된다.
또한, 압력 게이지(141) 앞단이나 제3솔레노이드밸브(142) 뒷단에는 밸브(143)가 구비되어 인위적으로 공기의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
배수수단은 다수의 배수공(152)이 형성된 배수트랩(150)과 배수트랩 아래의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관통한 배수관(154)으로 이루어진다.
배수트랩(150)은 본체(110)의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세척에 사용된 물은 배수공(152)을 통해 아래로 낙하한 후 하부의 배수관(1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체(110)의 외부에는 공기를 공급하고 흡입하는 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흡배기구(166)가 길이 조절과 움직임이 자유로운 호스(170)와 연결되어, 본체 내부에서 건조가 끝난 애완동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히 건조하고 그때 공중으로 날리는 털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망에 포집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세척장치의 동작을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척 순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세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200)을 본체 내부에 넣어 애완동물(200)의 머리부분(210)을 제2수용부(112b)에, 애완동물의 몸통부분(220)은 제1수용부(112a)에 위치시키고, 머리부분은 손으로 잡는다(S802).
다음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펌프(122)를 작동시키고 물을 공급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를 열어 본체 내부의 제1분사노즐(136) 및 샤워기(162)를 통해 애완동물에 물을 골고루 분사하여 공급한다(S804).
다음,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가 열려진 상태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세제액을 공급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를 열어 세제액에 물을 희석시키고 다시 희석된 물을 물에 혼합하여 본체 내부의 제1분사노즐(136) 및 샤워기(162)를 통해 애완동물에 골고루 분사하여 세척을 한다(S806).
세척이 끝난 후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2솔레노이드밸브(124b)를 닫아 물을 본체 내부의 제1분사노즐 및 샤워기를 통해 애완동물에 골고루 분사하여 헹군다(S808).
헹굼이 끝난 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펌프(122)의 동작을 멈추고 제1솔레노이드밸브(124a)를 닫은 상태에서, 공기 유입수단(140)을 작동시키고 공기를 공급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142)를 열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해서 본체 내부의 제2분사노즐(148)을 통해 애완동물에 공급하여 건조시킨다(S810).
건조가 끝난 후, 애완동물을 밖으로 꺼낸 후 흡배기구(166)를 이용해, 애완동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시키면서 털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망에 포집한다(S812).
이와 같이 하여 애완동물의 털이 날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PLC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신호가 솔레노이드밸브(124a,124b,142), 펌프(122), 공기 유입수단(140) 등에 전송되어 그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 동작을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각 단계별로 버튼을 구비하여 하나의 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버튼을 눌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척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으로 인해 형성된 제2수용부에 애완동물의 머리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머리부분은 손으로 만지면서 샤워기로 세척함과 동시에 몸통부분은 본체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세척함으로써, 동물에게 안정감을 주어 애완동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물과 세제가 고르게 분사되므로 몸통부분은 전체가 골고루 씻기게 되고, 샤워기를 이용해 귀나 코 속으로 더러운 물이나 세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세척하므로 귀나 코에 자극을 줄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목욕과 헹굼이 끝난 후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공기 공급수단이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를 세척기 내부로 공급하므로 애완동물의 털이 빠르게 건조되고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Claims (10)

  1. 일면이 개방되고,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되, 통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몸통부분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머리부분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물 또는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을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물/세제액 공급수단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본체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세제액 공급수단은,
    펌핑에 의해 공급된 물을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여부에 따라 물을 공급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물 공급수단과,
    상기 물 공급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여부에 따라 세제액을 물에 희석시켜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세제액 공급수단과,
    상기 물 공급수단의 타측과 세제액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여부에 따라 희석된 세제액을 물과 혼합하여 본체 내부로 분사하거나 물만을 본체 내부로 분사하는 물 또는 물과 세제액 혼합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짐을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수단은,
    외부의 수도관 등으로부터 세척용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에 연결되고 펌핑에 의해 급수통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물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는 제1분기구와,
    상기 분기구의 출구측에 각각 연결되는 물공급 호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제액 공급수단은,
    세척에 필요한 세제액이 저장되는 세제액통과,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세제액통과 연결되어 세제액과 물을 섞어 희석된 세제액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는 합분기구와,
    상기 합분기구의 출구측에 각각 연결되는 세제액 공급호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 또는 물과 세제액 혼합 공급수단은,
    상기 세제액공급 호스 및 물공급 호스와 연결되어 희석된 세제액과 물을 혼합하여 공급하거나 물만을 공급하는 합기구와,
    상기 합기구에 연결된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 또는 물만을 세척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호스와,
    상기 혼합물 공급호스에 연결되고 세척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분사노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공급호스에는 희석된 세제액과 혼합된 물 또는 물만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는 다수의 제2분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공급호스에 연결되고 제2수용부의 본체 내부에 방향 조절이 자유로운 샤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공급하는 컴프레서나 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유입수단과,
    상기 공기 유입수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호스와,
    상기 공기 공급호스에 연결되고 세척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분사노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호스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공급하는 다수의 제3분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과 공기를 흡입하여 털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흡배기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2003-0039273U 2003-12-17 2003-12-17 애완동물 세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73U KR200343507Y1 (ko) 2003-12-17 2003-12-17 애완동물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73U KR200343507Y1 (ko) 2003-12-17 2003-12-17 애완동물 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293A Division KR20040067817A (ko) 2003-12-17 2003-12-17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507Y1 true KR200343507Y1 (ko) 2004-03-02

Family

ID=4942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7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507Y1 (ko) 2003-12-17 2003-12-17 애완동물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5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53A1 (ko) * 2019-05-22 2020-11-26 Kim Yoon Geun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53A1 (ko) * 2019-05-22 2020-11-26 Kim Yoon Geun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200134620A (ko) * 2019-05-22 2020-12-02 김윤근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102354338B1 (ko) * 2019-05-22 2022-01-25 김윤근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36B1 (ko)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US7497188B2 (en) Pet bathing apparatus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US5448966A (en) Automatic animal washing system
JPH035243Y2 (ko)
US5724918A (en) Automat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animals
JP3798005B2 (ja) ペット洗浄乾燥装置
KR20200037042A (ko) 반려동물 목욕기
US20090101077A1 (en) My pet shower
KR102031225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KR20180044013A (ko) 애완동물 목욕 장치
JP3104931U (ja) ペット用お風呂装置
KR200314068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291042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0343507Y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0318534Y1 (ko)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
CN113994895B (zh) 一种宠物护理装置和宠物护理方法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426003Y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1995534B1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CN201602044U (zh) 宠物用浴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2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10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