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3428Y1 -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428Y1
KR200343428Y1 KR20-2003-0039266U KR20030039266U KR200343428Y1 KR 200343428 Y1 KR200343428 Y1 KR 200343428Y1 KR 20030039266 U KR20030039266 U KR 20030039266U KR 200343428 Y1 KR200343428 Y1 KR 200343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iameter
funnel
bag
waste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riority to KR20-2003-0039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42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구가 작게 규격화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어려운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1)는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입구(2A)를 벌려주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를 직립시켜주는 소직경출구(10)와 음식물쓰레기(3)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소직경출구(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있는 대직경입구(2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깔때기는 상기 소직경출구(10)와 상기 대직경입구(20)의 상하를 가로질러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30)가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절개부(30)에서의 오므림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직경의 크기에 맞게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Funnel for Garbage Envelope}
(기술분야)
본 고안은 깔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가 작게 규격화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어려운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젖은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할 경우, 침출수로 인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이 우려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이런 이유로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처리가 점차 금지되고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다른 쓰레기들과의 분리하여 수거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일반가정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방식은, 개인용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방식과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의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방식은, 단독주택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유료로 판매되는 음식물쓰레기봉투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거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각 세대별로 배부된 작은 개인용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에 넣어 정해진 요일에 문전에 배출하는 방식이다.
후자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사용방식은, 대단위 공동주택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단지별로 배치된 대형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에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음식물을 투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이다.
상기 후자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사용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대형의 수거용기에 투입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없지만, 전자의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방법은 봉투의 규격이 작기 때문에 봉투 안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2ℓ 규격의 봉투의 경우, 쓰레기를 투입하기 좋게 원형으로 입구를 최대한 벌렸을 때에도 입구의 직경이 약 12cm(높이는 약 20cm) 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작은 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흘리지 않고 집어넣은 일이 매우 불편하다(3ℓ 규격 봉투 - 직경 약 14cm, 높이 약 23cm; 5ℓ 규격봉투 - 직경 약 16.5cm, 높이 약 28cm).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봉투의 규격을 크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규격이 커진 봉투의 용량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고려하기 힘들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규격이 작아 입구가 작을 수밖에 없는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보다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용 깔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깔때기를 오므려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깔때기 2: 음식물쓰레기봉투
3: 음식물쓰레기 4: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4A: 뚜껑 10: 소직경출구
20: 대직경입구 21: 테두리
22: 삽입돌기 23: 삽입홈
24: 조절구멍 25: 파스너
30: 절개부 40: 다짐막대
본 고안에 따라, 소직경출구와 대직경입구를 가진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가 제공된다.
상기 소직경출구는 음식물쓰레기봉투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의 입구를 벌려주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직립시켜준다.
상기 대직경입구는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소직경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깔때기는 상기 소직경출구와 상기 대직경입구의 상하를 가로질러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탄성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절개부에서의 오므림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의 직경의 크기에 맞게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깔때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다져주는 다짐막대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의 사시도, 도2는 도1 깔때기를 일정 직경으로 오므려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1)는, 입구가 작은 용기에 내용물을 편리하게 투입하도록 개발된 통상적인 깔때기와 마찬가지로 소직경출구(10)와 대직경입구(2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규격화된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음식물쓰레기(3)를 투입하는 것에 전용으로 사용되도록 고안된 깔때기이므로, 이에 상응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소직경출구(10)는 충분한 크기로 벌릴 때의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직경(예, 2ℓ 규격봉투의 경우 약 12cm)에 대응하는 직경과 쓰레기봉투(2)의 상하 길이(2ℓ 규격봉투의 경우 약 20cm)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소직경출구(10)를 쓰레기봉투(2)의 입구(2A)를 통해 바닥까지 끼워 넣으면 소직경출구(10)가 쓰레기봉투(2)의 골격처럼 되어서 쓰레기봉투(2)의 입구(2A)가 그 최대의 직경으로 충분히 벌어지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깔때기(1)를 바닥에 세우면 쓰레기봉투(2)가 소직경출구(10)를 골격으로 하여 직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직경입구(20)는 소직경출구(10)의 직경, 즉 쓰레기봉투(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더 넓은 입구를 제공함으로써 쓰레기봉투(2)에 음식물쓰레기(3)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쓰레기봉투(2)에 음식물쓰레기(3)를 보다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는측면만을 고려한다면 대직경입구(20)는 그 직경을 크게 할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깔때기(1)가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에 음식물쓰레기봉투(2)를 넣은 상태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면, 깔때기(1)가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 속에 수용될 수 있도록 대직경입구(20)의 직경이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깔때기(1)는 시판되는 음식물쓰레기봉투(2)와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다. 즉, 소직경출구(10)의 규격은 시판되는 음식물쓰레기봉투들(2)의 규격에 맞게 하고, 대직경입구(20)의 규격은 시판되는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의 규격에 맞게 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깔때기(1)를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깔때기(1)는, 예를 들어 음식물쓰레기봉투(2)를 소직경출구(10)에 끼운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에 넣고 뚜껑(4A)을 덮은 상태로 비치하고,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면 뚜껑(4A)을 열고 깔때기(1)의 대직경입구(20)로 음식물쓰레기(3)를 부어 넣고 뚜껑(4A)을 닫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결국 본 고안의 깔때기(1)를 사용하면 음식물쓰레기(3)가 들어가는 대직경입구(20)가 음식물쓰레기봉투(2)보다 충분히 클 뿐만 아니라 쓰레기봉투(2)와는 달리 입구가 견고하고, 또한 소직경출구(10)가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골격을 이루어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입구(2A)가 충분히 벌어짐과 아울러 쓰레기봉투(2)가 직립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3)를 쓰레기봉투(2)에 투입하기가 현저하게 용이해 진다.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4)로부터 쓰레기봉투를 배출하고 새로운 봉투를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 깔때기(1)를 들어 올리면 봉투(2)로부터 용이하게 깔때기(1)가 제거되고, 이후 쓰레기봉투(2)는 입구를 묶어서 반출하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깔때기(1)의 직경을 서로 다른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규격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하나의 깔때기(1)를 여러 사이즈의 음식물쓰레기봉투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구체예의 깔때기(1)는 상하로 가로질러 절개되어 있다. 즉, 본 구체예의 깔때기(1)는 소직경출구(10)와 대직경입구(20)의 상하를 가로질러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구체예의 깔때기(1)는 예를 들어 자체에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절개부(30)가 벌어지면서 깔때기(1)의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절개부(30)의 구성에 따라, 깔때기(1)의 직경은 절개부(30)에서의 오므림 정도에 따라 가변된다. 즉, 깔때기(1)의 둘레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해서 절개부(30)가 많이 중첩되게 하면 깔때기(1)의 직경(즉, 소직경출구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맞는 직경이 되고, 깔때기(1)의 둘레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압해서 절개부(30)가 적게 중첩되게 하면 소직경출구(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맞는 직경으로 된다.
결국 본 구체예의 깔때기(1)에 의하면 서로 다른 쓰레기봉투(2)의 규격에 맞게 소직경출구(10)의 직경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깔때기로 다양한 규격의 쓰레기봉투(2)를 커버할 수 있다.
도1과 도2의 예시에서 대직경입구(20)의 상단에 형성된 테두리(21)는 깔때기(1)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한다. 절개부(30)의 양단 위치에서 테두리(21)에 형성된 삽입돌기(22)와 삽입홈(23)은 절개부(30)의 양단을 중첩시킴에 있어서 서로 끼워맞춤되도록 함으로써 중첩상태를 안정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삽입돌기(22)와 삽입홈(23)에 형성된 구멍은 조절된 깔때기(1)의 직경을 고정시키지 위한 조절구멍(24)이고, 여기에는 파스너(25)가 삽입되어 조절된 직경이 고정된다.
본 고안의 깔때기(1)에는 다짐막대(4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다짐막대(40)는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다져 줌으로써 보다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결국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본 다짐막대(40)는 그 걸고리(41)를 대직경입구(20)의 테두리(21)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는, 규격이 작아서 그 입구가 작을 수밖에 없는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끼워 사용하며, 이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들어가는 대직경입구(20)가 음식물쓰레기봉투(2)보다 충분히 크게 됨과 아울러 흐물흐물하지 않고 견고하며, 또한 소직경출구(10)가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골격을 이루어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입구(2A)가 충분히 벌어짐과 아울러 쓰레기봉투(2)가 직립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봉투(2)에 투입하기가 현저하게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입구(2A)를 벌려주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를 직립시켜주는 소직경출구(10)와 음식물쓰레기(3)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소직경출구(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있는 대직경입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출구(10)와 상기 대직경입구(20)의 상하를 가로질러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30)가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절개부(30)에서의 오므림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의 직경의 크기에 맞게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봉투(2)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다져주는 다짐막대(4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KR20-2003-0039266U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66U KR200343428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66U KR200343428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428Y1 true KR200343428Y1 (ko) 2004-02-27

Family

ID=4942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428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42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22B1 (ko) * 2012-12-14 2014-10-22 김한식 음식물 처리용 깔때기
KR20200026450A (ko) 2018-09-03 2020-03-11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KR20200036495A (ko) 2018-09-28 2020-04-07 공병열 케이스가 구비된 쓰레기 개폐 고정장치
KR20200077752A (ko) 2018-12-21 2020-07-01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KR20200082653A (ko) 2018-12-31 2020-07-08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22B1 (ko) * 2012-12-14 2014-10-22 김한식 음식물 처리용 깔때기
KR20200026450A (ko) 2018-09-03 2020-03-11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KR20200036495A (ko) 2018-09-28 2020-04-07 공병열 케이스가 구비된 쓰레기 개폐 고정장치
KR20200077752A (ko) 2018-12-21 2020-07-01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KR20200082653A (ko) 2018-12-31 2020-07-08 공병열 쓰레기 봉투 개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029B2 (en)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US6126031A (en) Sack dispensing waste container
US20060261071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US7204407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GB2458926A (en) A compacting waste bin for mounting within a rigid enclosure such as a cupboard
KR200343428Y1 (ko)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US20190308808A1 (en) Waste receptacle
US20110308286A1 (en) Household compost receptacle having a cone shaped opening
EP1158313A2 (en) Article handling system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US8109409B1 (en) Garbage can deodorizer
KR102179113B1 (ko)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KR101461218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
KR20080003533A (ko) 쓰레기통
KR20040009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2150249U (zh) 一种双层分类垃圾桶
KR102428335B1 (ko) 종량제 쓰레기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 형 쓰레기통
JP2001240206A (ja) 減容装置を備えたごみ容器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KR200323957Y1 (ko) 재활용품 수거대
US20130322787A1 (en) Bags with multiple and separable units
AU2023250791A1 (en) A bin for soft plastic waste
KR200343427Y1 (ko)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KR200369227Y1 (ko) 스티커보관함이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2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2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